본문 바로가기

GOODWILL CHURCH/성경사전

(성경사전) 우르바노 / 우리1 / 우리2 / 우리아1 / 우리아2

우르바노 Urbane 

우르바노는 로마인 성도이다. 우르바노스라는 이름은 로마 노예의 일반적인 이름이다. 그러나 그가 노예였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고, 다만 바울이 그에 대해 동역자라고 한 것으로 보아 과거에 바울의 복음 사역을 도왔던 것으로 보인다(롬16:9).


우리1 Uri 

1. 유다 지파 훌의 아들이며, 성막과 성막의 기구를 만들었던 브사렐 아버지(출31:2;35:30;38:22;대상2:20;대하1:5).
2. 솔로몬 시대에 이스라엘의 열두 행정구의 하나인 길르앗 땅을 다스리던 게벨의 아버지(왕상 4:19).
3. 포로기 때 이방 여인을 취했던 자 가운데 하나로 귀환 후 이방 아내를 내어 보내기로 약조했었던 성전 문지기 가운데 한 사람(스10:24).

우리2 fold

짐승을 가두어 두거나 가두어 기르는 곳. 팔레스타인에서는 주로 돌담을 쌓아서 우리를 만들고 양을 지켰다. 선지자 이사야는 비옥하고 풍부한 목초지를 양떼의 우리로 묘사하여 하나님의 복을 나타내는 말로 사용하였으며(사65:10), 예레미야 선지자는 멸망한 유다를 우리에 비유하여 유다의 회복을 양무리가 우리로 돌아오는 것으로 묘사하였다(렘23:3). 한편 예수께서는 자신을 통하여 얻어지는 하나님 나라를 비유적으로 나타내기 위하여 이 말을 사용하기도 하셨다(요10:1,16).

우리아1 Uriah

예루살렘에 살던 헷 족속 사람으로, 다윗의 30용사 가운데 하나이며 엘리암의 딸인 밧세바의 남편이었다(삼하11:3;23:39;대상11:41). 그는 그의 이름에서도 나타나듯이 하나님을 잘 섬기는 자였는데, 그가 암몬과의 전쟁에서 전투를 치르고 있을 때 다윗 왕에 의해 그의 아내가 임신하게 되자 다윗은 여러 방법을 써서 우리아를 밧세바와 동침시키려 하였다. 하지만 그 계획이 실패하자 다윗은 다른 계략을 써서 우리아를 최전선으로 보내 그곳에서 전사하게 하였다(삼하 11:227). 이후 다윗은 밧세바를 아내로 삼았고 솔로몬을 아들로 얻게 되는데, 예수의 족보에서는 솔로몬의 어머니를 우리아의 아내로 기록하고 있다(마1:6). 마태복음 1:6에는 '우리야'로 기록되어 있다.

우리아2 Uriah

제사장. 학교스의 손자이며 예루살렘 성벽 재건에 참여하였던 므레못의 아버지(스8:33;느3:4,21). 느헤미야 3:21에는 '우리야'로 기록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