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OODWILL CHURCH/성경사전

(성경사전) 이전1 / 이전2 / 이제 / 이족 / 이종하다

이전1 ancient times

'오래 전, 이왕(已往), 그 전' 을 의미하는 말이다. 원어상의 의미를 살펴볼 때 성경에서의 이 말은 둘 중에서 시간상으로 '먼저' 를 가리키거나(왕하17:34;느5:15;사41:22;65:16;미4:8;학2:3;슥7:7), ‘그전' 을 뜻한다(수3:4;요6:62), 그리스도인들이 예수를 믿기 전의 종교적 관계들과 태도들을 고려한 표현이기도 하다(고후5:17).

이전2 turn unto

사물의 소재를 옮김. 이 단어는 예레미야 6:12에서 불순종으로 말미암아 이스라엘이 저주를 받게 될 때의 비참한 상황을 묘사하는 말로 사용되었다. “집과 전지와 아내가 타인의 소유로 이전되리니”(공동번역 '넘어가다')에서 이 말은 바벨론으로 인하여 농작물이 약탈당하고 아내가 능욕을 당해도 어찌할 도리가 없는 무능한 민족이 되고 말 것이라는 것을 뜻하는 말이다(참고. 신 28:30).

이제 now

일반적으로 '지금, 현재, 말하고 있는 바로 이때'를 의미한다(창 29:35:30:20). 사도 바울이 기록한 서신서들과 누가복음, 요한복음, 히브리서 등 주로 신약성경에 많이 나타나는 이 단어는 대체로 시간적 의미를 갖는 말이나 때로는 시간적 의미가 매우 약화된 채 사용되기도 하였다. 논리상 반대를 나타내는 말로 쓰이는 경우가 그런 경우인데, 예를 들면 예수께서 빌라도에게 심문 받으실 때 "내 나라는 이 세상에 속한 것이 아니라 만일 내나라가 이 세상에 속한 것이었더면 내 종들이 싸워 나로 유대인들에게 넘기지 않게 하였으리라 이제 내나라는 여기에 속한 것이 아니니라"(요18:36 고 하신 말씀에서 사용된 이제가 그것이다. 이와 같은 경우에 '이제'의 의미는 '실제로는', '사실상'으로 비시간적 개념에 해당된다.
이 단어가 시간적 의미를 갖는 말일 때 그 용법은 다음의 몇 가지로 나타난다. 첫째는 경계를 나타내는 제한적 개념으로 쓰인 경우인데, 이 경우에는 시작되는 것, 예컨대 새 시대, 구원의 때, 또는 개인적 축복의 때 등과 같이 하나님께서 지정하신 시대의 시작을 가리킨다(눅1:48;5:10). 예수의 이 땅에서의 삶의 마지막은 초림과 재림 사이의 기간, 즉 비탄의 시대인 동시에 그리스도께서 통치하시는 시대의 시작이었다(눅22:18-19). 두번째 용법은 기간을 나타내는 개념으로 사용된 경우이다. 신약성경에서는 그리스도의 사건, 곧 그리스도의 삶과 죽음과 부활이라는 역사적 과거가 하나님께서 시간 안으로 뛰어드신 것으로서 현존한다. 따라서 역사는 독특한 방식으로 현재화되는데, 이것은 그리스도인들에게는 매우 중요하다(롬5:9;골 1:22). 그들은 그리스도의 역사를 현재로서 경험한다. 그리고 이 현재는 영원까지 연장되는 현재를 가리키는 바, 이 현재를 의미하는 '이제' 라는 단어는 '초림과 재림 사이의 기간'을 나타내는 표현인 것이다. '이제' 라는 말이 시간적 개념으로 사용된 또 다른 예는 그것이 과거와 미래에 관한 계명으로 쓰인 경우에서 발견된다. '이제' 라는 말은 방금 일어난 일로 인하여 시작된 상태나 과정(행7:52)을 지시하거나 믿음의 확실성에 대한 표현으로서, 가까운 미래를 가리키기도 한다(요12:31;롬11:31). 바울은 각 그리스도인들에게 적용되는 구원 역사의 과거와 현재를 말함에 있어서 이 단어를 사용하였다(눅1:48;2:29;롬5:9;6:2122;7:6;몬11절).

이족 nation

다른 혈족, 다른 민족, 다른 종족 등을 의미한다. 개역성경에서 이 단어가 나타날 때 그것은 보통 이방 민족, 곧 이교도를 가리키는 말이나(왕상11:8), 히브리어 원어상 이 단어의 본래적 의미는 '나라' 혹은 '백성' 이다. 따라서 이 단어는 특정하게 한정된 정치적, 인종적 혹은 지역적인 집단의 사람들을 가리키며, 특정 종교나 도덕적인 의미의 함축은 없었다. 그러나 아브라함의 자손들이나 하나님과 특정한 계약 관계에 있는 별개의 인정된 정치적, 인종적 집단의 백성이 되는 순간부터 이 말은 점점 민족집단들로 간주되는 비계약 불신 백성들을 가리키는 '이방인'의 의미를 가지게 된다. 한편 구약성경에서 사용된 이 단어는 이방신들에게 제사하는 솔로몬의 후비들을 지칭하는 말이며(왕상11:8), 요엘 1:46에서는 이스라엘 땅에 엄습한 '큰 메뚜기 떼' 에 대한 비유적 표현으로 사용되었다.

이종하다 set

모종을 옮겨 심는 것, 즉 이식(移植)을 의미한다. 이 단어는 히브리어 원어상 '씨를 뿌리다', '심다' 라는 말 - 이 단어 속에는 사실상 농사의 전과정이 요약되어 있음 - 에서 유래된 단어이며, 비유적으로 사용되어 우상 숭배를 가리키기도 한다. 이사야 17:10에서 사용된 '이종' 이란 이스라엘이 순수한 언약 신앙에 이방의 종교를 '혼합’ 함으로써 하나님과의 관계에 부정을 저지르고 있음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