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OODWILL CHURCH/성경사전

(성경사전) 토하다 / 톱(질) / 통1 / 통2 / 통간

토하다 vomit

일반적으로 먹었던 음식 따위를 뱉어내는 것을 뜻하는이 말은(잠23:8:25:16;26:11) 어떤 지역에서 쫓아내는 것(레18:25.28:20:22)이나 취했던 것을 다시 내어놓는 것을 가리키기도 하지만(20:15) 마음을 털어놓는 기도(시62:8)를 의미하기도 하였다. 특히 어떤 지역에서 쫓아내는 것은 우상숭배로 더러워졌기 때문이며 쫓겨나지 않기 위해서는 하나님의 규례와 법규를 지켜 행하여야 했다(레18:25,28;20:22). 또한 독기를 품거나 폭력을 휘두르는 행위를‘토하다’ 라고 표현하기도 하였고(시27:12), 미지근한 신앙상태에 있었던 라오디게아 교회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을 나타내기도 한다(계3:16).그 외에도 하나님의 심판을 받은 자의 모습을 비유적으로 묘사할 때 언급되기도 하였고(렘25:27) 죄의 근성을 비유적으로 나타낼 때 토한 것이라는 말로 사용되었다(벧후2:22).

톱/-질 saw 

목재, 금속, 석재, 플라스틱 등을 절단하기 위한 것으로얇은 강판의 가장자리에 작은 날을 새겨놓은 공구.톱은 석기시대부터 알려져 왔다. 나무나 뼈를 자르기 위한 석제의 톱은 청동기시대에도 목재 가공용으로 널리 사용되었다. 애굽에서는 청동으로 만든 톱이 이미근대의 것과 비슷한 외형을 갖추었고 로마에서는 건축용 석재를 절단하는 데에 수동의 철제톱이 사용되었다. 성경에서는 이스라엘의 왕정시대에 이미 성전에 사용되는 석재를 자르는 데 사용된 것으로 언급되어 있다(왕상7:9). 선지자 이사야는 톱을 하나님을 모르는 자, 즉 앗수르의 왕과 군대에 대한 비유로 사용하였다(사10:15). 한편 톱질은 써레질과 도끼질 그리고벽돌구이와 함께 아주 힘든 노역에 속했으며 주로 포로나 노예들이 이런 노역을 하였다(삼하12:31;대상20:3). 또한 사람의 신체를 톱질한 경우도 있는데, 이는 고문의 한 수단이었다(히11:37).

통1 bucket

나무나 쇠붙이 따위로만들어진 것으로 물이나 곡식을 담는 데 쓰이는 그릇을 가리키는 말이다. 성경에서는 물을 담거나(민24:7;왕상18:33:사40:15), 양식을 담는 데 사용된 것으로 나와 있으며(왕상17:12,14,16), 성막의 번제단 기구로도사용되었다(출27:3;38:3).

통2 firkin

액체의 부피와 양을 재는 단위로 신약시대의 한 통은 약 38 1 에해당하는데 영역본들은 한 통을 10갤런으로 계산하고있다. 따라서 개역성경의 두세통은 영역에서는 20-30갤런(NIV, LB, NRSV:twenty to thirty gallons)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이는 약 100L 쯤 되는 양으로 보인다(요2:6).

통간 lie with

배우자 이외의 이성과 성적 관계를 갖는 것. 성경에서는 성범죄에 대해아주 단호하게 징계하고 있으며, 이 범죄에 대한 법적용도 아주 상세히 언급되어 있다. 가령 통간의 경우기혼자가 배우자 이외의 이성과 정을 통하면 둘 다 사형에 처했다(신22:22). 하지만 약혼했을 경우는 통간이 자의냐 타의냐에 따라 법적용이 달라졌는데 처녀인 여자가 약혼한 후 다른 남자를 만나 성읍에서 통간하였으면 둘 다 사형에 처했다. 그렇지만 야외(들)에서 통간했으면 남자만 사형시켜 여성의 한계성을 인정해 주었다(신 22:23-27). 그러나 한 남자가 약혼하지아니한 처녀를 통간했으면 결혼 지참금으로 처녀의아비에게 은 50세겔을 주고 그 처녀로 아내를 삼아야하였다(신22:2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