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OODWILL CHURCH/성경사전

(성경사전) 팔다 / 팔뚝 / 팔쇠 / 팟종이 / 팥

팔다 sell 

돈이나 그에 상응하는 대가를 받고 물건이나 노력, 혹은 권리를 남에게 주거나 눈이나 정신을 다른 곳으로 돌린다는 의미이다. 성경에서 팔고 사는 것으로는 곡식(창 41:55-57;47:14;신2:28;암8:5), 토지(창47:20;레27:20,24;행4:37;5:8), 가축(출21:35;22:1), 기름(왕하4:7;마25:8-9), 음식(느13:15), 생선(13:16), 옷(잠31:24), 상속 산업(신18:8), 포로(21:14), 유괴당한 사람(24:7), 자신의 몸(출22:3;레25:39,47;신28:68), 가옥(레25:29,33;행4:34), 참새(마10:29;눅12:6), 비둘기(마21:12), 향유(막14:5), 겉옷(눅22:36), 재산(행2:45) 등이 있다. 이와 관련된 규례를 보면 사람을 유괴하여 판 자는 죽이고(출21:16;신24:7), 소를 훔쳐 판 자는 다섯 배로 갚아야 하며(출22:1) 도둑은 몸을 팔아서라도 배상해야 하고(22:3), 서로 속이고 팔지 말아야 하며(레25:14), 안식일과 월식에는 판매 행위를 하지 말고(느10:31;암8:5), 토지는 모두 하나님의 것이므로 영원히 팔지 말아야 한다(레 25:23) 가난하여 기업을 판 것과 성내의 가옥을 판 것은 무를 수 있으며(레25:25,20), 이방인에게 팔린 자는 속량될 수 있었다(47-50절).
파는 것과 관련된 성경의 교훈을 보면 진리는 사들이 팔지는 말며(잠23:23), 밭에 감추인 보화를 위해 모든 소유를 다 팔아 그 밭을 사는 것과 같이 천국도 이와 같다고 하였다(마13:44-460, 또한 다 팔아 가난한 자를 주면 하늘의 보화를 얻을 수 있고(막10:21), 소유를 팔아 구제하는 것은 하늘에 저축하는 것(눅12:33)이라고 하였다. 한편 파는 것은 이스라엘의 패배(삿2:14:3:8;4:2:10:7), 악에게 이끌림(왕상21:20,25; 왕하17:1718), 이스라엘의 멸망(시44:12;사50:1;52:3), 죄의 노예가 된 상태(롬7:14에 대한 비유 및 상징으로도 사용되었다. 이외에도 에서가 장자의 명분을 팥죽 한 그릇에 판사건(창25:31-33;히12:16, 유다가 예수를 은 삼십에 판사건(마27:3-5)이 있으며, 배반하여 파는 것은 말세의 징조 중에 하나로(딤후3:1-4) 기록되어 있다. 초대교회의 성도들은 모든 소유를 팔아 각 사람의 필요에 따라 나누어 살며 공동생활을 하였다(행2:4447;4:32-35).

팔뚝 arm-hole

팔꿈치로부터 손목까지의 부분을 가리킨다. 성경에서는 거짓 여선지자가 팔뚝에 방석(공동번역 '토시', 새번역 '부적 띠')을 매고 백성의 영혼을 죽이려는 것에 대한 경고에서 나타난다(겔13:18).

팔쇠 bracelet

팔찌와 같은 것. 두 명의 음탕한 여인 오홀라와 오홀리바가 하나님 대신 이방신을 섬기며 음란한 행위를 한 것에 대한 기록에서(겔23:42) '팔쇠' (공동번역 '팔찌' )라는 단어가 사용되었는데, 이는 이방신 즉, 우상에게 매인 바 되었다는 의미로 '팔쇠를 낀 것'으로 표현하였다.

팟종이 palmer-worm 

메뚜기과(科)의 곤충으로서 개역성경에서만 사용된 단어이다(공동번역은 레11:22에서 '귀뚜라미' 로, 욜1:4에서는 '풀무치'로, 암4:9에서는 '메뚜기'로 번역), 이는 식용 곤충의 하나로(레 11:22), 회개하도록 경고하기 위한 자연 현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사용되었다(욜1:4;암4:9).

팥 lentil 

콩과(科)의 식물로 팔레스타인 지역과 그 부근에서는 아주 오랜 고대부터 있었다. 이 식물은 가느다란 줄기와 우상(羽狀)의 잎을 가지고 있으며, 보라색의 꽃이 피는데 그리 좋지 않은 땅에서도 잘 자란다. 성경에서는 야곱이 죽을 쑬 때팥으로 쑨 것으로 기록되어 있고(창25:34), 빵을 만들 때에도 사용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겔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