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OODWILL CHURCH/성경사전

(성경사전) 포로 / 포박 / 포수 / 포승 / 포식

포로 prisoner

북방의 이스라엘이 앗수르에 의하여, 남방의 유다가 바벨론에 의하여 포로로 이송된 사건, 때때로 “포로” 또는 “포로로 유배됨" 등의 용어는이스라엘과 유다의 바벨론 포로를 언급한다.
구약 시대에 앗수르와 바벨론이 포로들을 이국 땅으로 이송하기 시작하였다. 국외로 이송하는 것은 다른 방법들이 실패하였을 때만 사용되는 보다 가혹한방법으로 생각되었다. 앗수르는 이송 방법보다는 이송할 것을 위협으로 하여 조공을 요구하였다. 일찍이B. C. 842년에 이스라엘 왕 예후는 앗수르의 왕 살만에셀에게 조공을 바쳤다. 디글랏빌레셀(B. C. 745-727)의통치 때가 되어서야 앗수르는 이스라엘과 여러 족속을 이송시키기 시작하였다.
B. C. 734년 디글랏빌레셀은 납달리 성들을 점령하고(왕하15:29) 납달리, 르우벤, 갓 그리고 므낫세 반지파의 거주민들을 포로로 사로잡아 이송시켰다(대상5:26), B, C. 732년 디글랏빌레셀은 시리아의 수도 다마스커스를 점령하였다. 그때에 그가 이스라엘의 마지막 왕인 호세아(B. C. 732-723)를 임명하였다. 호세아는B. C. 723년경 반란을 일으켜 앗수르에 의해 포로로 끌려갔다(왕하17:1-6).
이스라엘의 수도 사마리아는 B. C. 721년초 살만에셀 5세(B. C. 727-722)가 그 성을 포위하기까지 지속되었다. 사마리아는 결국 사르곤 2세(B. C. 722-705)에 의하여 완전히 함락되었다. 이 사건으로 북방의 10개 지파는 사라지게 되었다.
앗수르는 이스라엘 민족을 할라, 고산, 메디아(왕하17:6;18:11;20길)로 이송시키고 바벨론, 구다, 아와, 하맛, 그리고 스발와임으로부터 이스라엘로 포로들을이송시켰다(왕하 17:24;스4:10), 사르곤 2세는 27,290명의 이스라엘인들을 유배시킨 것으로 기록하였다.
선지자 호세아와 아모스는 이스라엘의 멸망을 예언하였다. 이 두 선지자들은 이스라엘의 멸망이 앗수르의 보다 더 뛰어난 군사력에 있기 보다는 그들의 도덕적, 영적 타락에 근거하였다고 선포하였다. 앗수르는 "나(하나님)의 진노의 막대기" 일 뿐이었다(사10.5).
1. 유다의 바벨론 포로의 역사. 바벨론 포로 100여년 전에 선지자 이사야는 이미 유다의 멸망을 예언하였다(사6:11-12;8:14:10:11). 이에 부가하여 선지자 미가,스바냐, 예레미야, 하박국, 그리고 에스겔도 유다가 멸망할 것에 동의하였다.
유대인들은 3회에 걸쳐 바벨론으로 이송되었다. 첫번째는 B. C. 598년에 일어났다(왕하24:12-16). 두번째는 B.C. 587년에 있었다(왕하 25:8-21;렘 39:810;40:7;52:12-34). 두번째 이송 이후 바벨론에 의하여유다의 총독으로 임명된 그달랴가 암살되었다(왕하24:25). 세번째 이송은 그달랴 암살 사건에 대한 징벌로써 B. C. 582년에 일어났다(렘52:30).
2. 바벨론 포로 때의 생활. 바벨론 포로 때의 생활은 이스라엘, 유다, 앗수르, 바벨론, 그리고 이집트 등다섯 곳에서 이루어졌다. 그러나 B. C. 587년과 538년사이에 있었던 이들 지역에서의 사건들에 대한 자료나 정보는 많지 않다.
(1) 이스라엘. 앗수르는 북방 왕국에서 교육받은 지도적인 사람들을 그들이 정복한 다른 나라의 사람들과 교체하였다(왕하17:24), 그들은 이스라엘 땅의 하나님에 대한 종교적인 전통들을 사람들에게 가르칠필요가 있어 그 지역으로 제사장 몇을 다시 보내야 했다(왕하17:27-28). 그러한 제사장들은 이국의 지도자들에 의하여 지배되는 가난한 유대인 농부들을 포함한 사람들을 위하여 봉사하였을 것이다. 바벨론은 이지역을 점령하였을 때 도청을 사마리아에 두었다. 그지역의 지도자들과 다른 도의 지도자들은 성전을 재건하려는 스룹바벨과 그의 백성들을 중지시키려고 연합하였다(스4:1-24). 점차적으로 이민족과 결혼한 사람들도 생겨났다(10장). 그러나 신실한 남은 무리들은 세겜 근처에서 여호와의 신앙을 유지하고자 하여 결국 사마리아 공동체를 형성하게 되었다.
(2) 앗수르. 북방 왕국의 포로들은 앗수르의 여러곳으로 흩어졌다(왕하 17:6). 따라서 작은 무리들로서로 서로 외로이 분리된 유대인들은 민족적인 주체성(Identin)을 유지하도록 많이 허용되지 않았다. 오늘날의 사람들은 이들 민족에게 어떠한 일이 일어났는지 알 수 없으므로 일방적으로 이스라엘의지 파라고 일컫는다. 종국에는 일부가 그들의 본향으로 돌아왔을 것이며 다른 사람들은 후의 역사적 기록에 나타나는 유대인 공동체의 기초를 형성하였을 것이다.
(3) 유다. 바벨론은 유다를 완전히 말살시키지는 않았다. 그들은 농부들을 그 땅을 돌보도록 남겨두었다(렘52:16), 바벨론의 침공 이전에 피난했던 사람들도예루살렘이 멸망한 후 되돌아왔다(렘40:12). 바벨론은사마리아에 있던 도청과 독립적일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는 관청을 예루살렘에 두었다. 다윗 왕가에 충성하였던 유대인들은 총독 그달랴를 암살했다(왕하25:25). 그 후 많은 사람들이 이집트로 피난하였다(왕하25:26;렘43장). 그 땅에 남아 있던 백성들은 폐허가된 성전에서 예배 드리기를 계속하였고 하나님의 소망의 말씀을 구하였다(예레미야애가). 많은 사람들은아마도 그 땅의 소유권과 지도적 위치를 요구하면서바벨론으로부터 돌아오는 유대인들 보기를 무척 꺼렸을 것이다.
(4) 바벨론. 유대인 생활의 중심은 에스겔과 같은지도자의 지도 아래 바벨론으로 옮겨갔다. 바벨론은열왕기하 25:27과 바벨론의 문서들 가운데서 발견되는것처럼 유다의 왕족들을 인정하기조차 하였다. 포로된 유대인들은 그들의 달력을 B. C. 597년 여호야긴 왕의 포로된 해에 기초한다(겔1:2;33:21;40:1). 여호야긴의 손자 스룹바벨이 B. C. 538년에 바벨론으로부터 다시 돌아오는 첫번째 포로들을 인도하였다(스2:2;학1:1). 바벨론에 있던 대부분의 포로들은 근동지역의보통 관습들을 따랐고, 바벨론에 속한 땅의 농부들이되었다. 바벨론 문서들을 보면 일부 유대인들은 바벨론에서 성공한 상인들이 되었다고 한다. 분명 에스겔과 같은 종교적 지도자들은 종교적인 모임을 지도할수 있었을 것이다(겔8:1;스8:15-23과 비교하라). 유다에 머물던 사람들과 포로 지역의 사람들 사이에 서신이 계속 교류되었었으며(렘29장), 유다 장로들은 포로들 가운데 지도자가 되었다(렘29:1;겔8:1;14:1; 20:1).
역대상 1-9장, 에스라 그리고 느헤미야서는 족보와 가족의 기록이 포로된 자들의 신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것이었음을 보여준다. 사람들은 경제적으로 자립하였으며 일부는 자신의 종도 거느리고 있었다(스2.65), 또 예루살렘으로 돌아가는 귀환을 경제적으로지원할 원들도 갖고 있었다(스1:6;2:69). 여전히 많은사람들이 예루살렘을 그리워하며 바벨론에서는 주의노래를 부르지 않았다(시137편), 그들은 재건된 성전과 재기하는 유다 백성을 소망하면서 에스겔 같은 선지자와 연합하였다. 그들은 바벨론의 신들을 불에 타다 남은 막대기처럼 여겼다(사44:9-17;45:9-10;46:1-2,6-7;렘1:16;겔20:29-32). 바벨론의 유대인 공동체는 이렇게설립되어 오랜 후에 페르시아의 고레스가 유대인들을고향으로 귀환하도록 허용 하는 강한 영향을 행사하였다. 이 유대인들은 그들의 신앙을 지켰으며 성경들을 수집하여 아람어로 번역하고 해석하여 바벨론 탈무드를 만들었고, 또한 예루살렘의 유대인들을 계속하여 도왔다.
(5) 이집트. 유대인들은 하나님께서 금지하셨음에도 불구하고(렘42:13-44:30) 이집트로 피난하였다(왕하25:26. 분명히 많은 유대인들은 북쪽 경계의 요새들에 배치된 이집트 군사의 일부가 되어 바벨론의 침공을 방어하였다. 이로써 그들은 그 전에 이집트로 온유대인들과 연합하였을 수도 있다. 고고학자들은 이집트 남부에 있는 엘레판틴에서 대규모의 유대인 파견대가 그곳에도 있었음을 보여주는 비문들을 발견하였다. 분명히 그들은 그곳에 성전을 건축하고 다른 신들과 함께 여호와를 경배하였다. 이들 군사 공동체들은 결국에는 사라졌으나 이집트에서의 유대인의 영향은 남아 있었다. 마지막으로 알렉산드리아에 있던 큰무리의 공동체가 형성되어 최초의 히브리 성경의 그리스어 번역본인 70인역 성경을 만들었다.
B.C. 538년 고레스 칙령은(대하36:22-23;스1:1-4) 바벨론 유대인들을 그들의 고향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해방시켰다. 비록 고향의 상황은 참담하였지만, 많은 유대인들이 되돌아왔다. 학개 스가랴(B. C. 520-519)는 되돌아온 유대인들로 하여금 예루살렘에 그들의성전을 건축하도록 권면하였다. 성전은 B. C. 515년에완공되었으며 이 날은 바벨론 포로의 시대를 끝맺는해였다.


포박 bind

붙잡아서 결박하는 것을 의미한다. 마가복음 15:7에서 민란을 꾸미고 살인을 했던 바라바는 포박된 상태였다(공동번역 '감옥에갇혀 있던', 새번역 '갇혀 있었다').

포수 hunter

총으로 짐승을 잡는 사냥꾼을 이르는 말이다. 구약성경에서 이 단어는 하나님을 거역하게 되면 하나님께서는 자기를 거역한 자들을 포수가 사냥을 하듯이 할 것이라는 말씀에서 사용되었다(렘 16:16). 즉 하나님에 대한 불순종은 전지전능하신 하나님 앞에 숨길 수 없는 것으로 하나님의 심판을 당하게 된다는 의미이다.

포승 band

죄인을 묶는 노끈을 뜻한다. 구약성경에서는 악한 여인의 올무를 뜻하는 것으로 사용되었는데, 하나님을 기뻐하는 자는 이악한 자의 올무에 걸려들지 않으나 죄인은 그렇지 않고 잡히게 된다고 한다(전7:26, 공동번역 ‘사슬’).

포식

배부르게 먹음. 구약성경에서 보면 '의인은 포식하여도 악인의 배는 주린다'(잠13:25)는 기록에서 나타나는데, 이는 하나님을 믿고의지하는 자들에게는 육신적인 배부름만이 아니라 하나님의 은혜로 인하여 영적으로도 결핍된 것이 없이항상 풍요로울 것임을 의미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