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OODWILL CHURCH/성경사전

(성경사전) 하르몬 / 하르보나 / 하림 / 하립 / 하마

하르몬 Harmon 

사마리아의 사치한 부유층에 대한 심판 예고 가운데 언급되어 있는 이곳은(암4:3) 포로로 끌려간 사마리아 사람들이 거하게될 지역일 것이나 그 위치는 알려져 있지 않다. 이 단어를 영역본 KJV에서는 'palace' 로, NRSV에서는'Harmon'으로 번역하였다. 한편 탈굼역에서는 이 단어를 '하르-모나', 즉 아르메니아로, 70인역에서는 '로만(Romman)의 산'으로 번역하였다.

하르보나 Harbona

바사 왕 아하수에로의 어전 내시들 가운데 한 사람으로(에1:10),하만이 모르드개를 달고자 오십 규빗 되는 장대를 준비한 사실을 왕께 고발(告)한 자이다(에7:9).

하림 Harim

1. 다윗 왕에 의해 제사장들의 24반차 제도가 마련될 때 세번째 반열로 뽑힌제사장이다(대상24:8). 바벨론 포로에서 귀환한 제사장들 중 1,017명이 그의 후손들이었으며(스2:39;느7:42), 그의 가문에 속했던 마아세야를 비롯한 다섯명의 제사장들은 이방 여인을 취했다가 이혼하였다(10:21).
2. 느헤미야 시대에 율법 엄수의 언약 문서에 인(印)을 쳤던 제사장(느10:5).
3. 스룹바벨과 함께 바벨론 포로에서 귀환한 한 평민 가문의 우두머리이며(스2:32;느7:35), 에스라 시대에이방 여인과 결혼한 것으로 조사된 여덟 사람의 선조이다(스10:31), 이 사람의 후손 말기야는 예루살렘의성벽 중수에 참여하였다(느3:11).
4. 느헤미야 시대에 율법 엄수의 언약 문서에 인(印)을 친 백성의 대표자 가운데 한 사람(느10:27)의 이름으로 이 이름이 가계(家系名)을 가리킬 수도 있다.

하립 Hariph 

스룹바벨과 함께 바벨론 포로에서 귀환한 한 평민 집안의 선조로(느7:24),에스라 2:18의 '요리'와 동일인물로 추정된다. 또한느헤미야의 율법 엄수의 언약 문서에 인을 친 백성의대표자(두목) 가운데 한 사람이기도 하다(느 10:19).

하마 behemoth 

하마과(科)에 속하는 수륙 양생의 포유동물로 몸길이3. 84.6m, 몸높이 1.5m, 몸무게 2-3t 정도이며, 털이 없는 두꺼운 피부를 가지고 있다. 하마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원어는 짐승을 가리키는 '베헤마' 의 복수 형태이다. 그러나 히브리어 원어가 정확히 무엇을 가리키는지 알 수가 없다. 이 단어에 대해서 학자들 사이에는 많은 논란이 있는데, 크게 물과 관계된 큰 짐승으로보는 견해와 신화적인 존재로 보는 견해로 나뉘지만정확한 정의를 내리기는 어렵다. 70인역이나 탈굼 역은 히브리어를 그대로 풀어서 '짐승'의 복수형으로이해하여 '짐승들'로 번역하지만, 이런 번역보다는 벌게이트 역이나 수리아 역의 번역처럼 한 마리의 큰 짐승을 가리키는 말로 보는 것이 나을 것으로 보인다.영역본의 경우에도 히브리어 음을 그대로 옮겨 '베헤모트' (KJV, NIV, RSV : behemoth)로 번역하고 있으나,NIV의 난외주에는 하마나 코끼리일 가능성도 있다고기록하고 있으며 (NIV 난외주 : possibly thehippopotamus or the elephant), 한글 새번역판의 난외주에도 하마나 코끼리로 기록하고 있다. 공동번역의난외주는 거대한 바다 짐승, 하마(?)로 기록되어 있다.성경에서 이 동물은 하나님의 창조능력을 보여주는한 예(例)로 제시되어 있는데, 본문에 묘사되고 있는하마는 초식동물(40:15)이지만 억센 허리와 복부에서 뻗치는 힘(16절), 백향목처럼 뻗은 꼬리와 힘줄이얽혀있는 굵은 다리(17절), 놋처럼 강한 뼈와 철장같은갈비뼈 (18절)로 특징지어지는 늪이나 요단 강에서 사는(21,23절) 육중하고 튼튼한 동물이다. 이 동물의 우람한 모습에 대한 이런 설명들은 욥으로 하여금 자신의 연약성을 철저히 깨닫고 인간적인 교만을 버리게하기 위한 것이었다. 여러 가지 검증들을 통해 하마가나일 강 전역과 요단 강의 늪지에 살았던 것으로 밝혀지고 있으나, 현재는 다른 곳에서는 찾아볼 수 없고 아프리카에서나 볼 수 있을 정도로 그 수효가 줄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