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OODWILL CHURCH/성경사전

(성경사전) 하볼 / 하봇야일 / 하사댜 / 하사뱌 / 하사손다말

하볼 Habor

유브라데 강의 상류로흘러드는 지류로, 메소포타미아 북부 고산 지역을 거쳐 흐르는 강이다. ‘불’ 이라고 불리는 앗수르의 디글랏 빌레셀과 이스라엘의 호세아 왕 9년에 사마리아를함락시킨 앗수르의 살만에셀에 의해 이스라엘 백성일부가 포로로 이송되어 이 하숫가에 거주하였다(왕하17:6;18:11;대상5:26). 이곳은 오늘날 '카부르' 라고 불린다.


하봇야일 Havoth-jair

원래는 옥의 나라였던 아르곱 온 지방, 즉 마산에있던 여러 개의 성읍들로서 므낫세의 후손 야일에게정복된 후 그의 이름을 따라 붙여진 지명이다(민32:41:신3:14. 한편 이 성읍들의 수(數)에 대해서는 본문에따라 각각 다르게 나타나는데, 신명기 3:4과 여호수아13:30에서는 60개로, 사사기 10:4에서는 30개로, 역대상2:22에서는 23개로 기록되어 있다. 이는 아마 분쟁지의 특성상 생겨난 일시적인 유동성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솔로몬의 치세 때까지 이스라엘의 지배하에 있었던 이 성읍들은 후에 그술과 아람에 의해 정복당하였다(대상2:23).

하사댜 Hasadiah

바벨론 포로생활에서 귀환할 때 이스라엘의 지도자였던 스룹바벨의 아들 가운데 한 사람이다(대상3:20).

하사뱌 Hashabiah

1. 레위 지파 가운데 므라리 족속인 아마시야의 아들로, 다윗 왕때에 성전 음악가로 활약한 에단의 선조이다(대상6:44-45).
2. 바벨론 포로에서 돌아와 예루살렘에 거한 레위사람 스마야의 증조부이다(대상9:14;느11:15).
3. 여두둔의 아들 중 한 사람으로(대상25:3), 다윗이24반열로 구성된 성전 성가대를 조직할 때 열두번째성가대를 맡았다(대상25:19).
4. 헤브론 자손으로, 그의 동족 일천칠백 인과 함께요단 서편의 이스라엘을 주관하도록 다윗으로부터 임명받은 사람이다(대상26:30).
5. 그무엘의 아들로, 다윗 시대에 레위 지파의 관장이었던 사람이다(대상27:17).
6. 요시야 왕 때 유월절 의식을 위해 자신의 소유를 내어놓은 레위 지파의 두목들 가운데 한 사람이다.(대하35:9).
7. 아하와 강가에서 귀환민의 무리에 합류한 에스라 시대의 제사장으로, 하나님의 전을 위하여 예루살렘으로 옮기는 금, 은, 기명(器)들을 맡도록 따로 구별된 열두 사람 중 하나였다(스8:19,24). 느헤미야의율법 준수의 언약 문서에 인(印)을 친 레위 사람 하사뱌(느10:11)와 성전에서 노래하던 하사뱌(느12:24)가이 사람과 동일인으로 추정된다.
8. 그일라 지방의 절반을 다스린 레위 사람으로, 그지방을 대표하여 예루살렘 성벽 중수에 참여한 자이다(느3:17).
9. 예루살렘에 거하는 레위 사람의 감독이 되어 하나님의 전을 맡아 다스린 웃시의 할아버지로, 아삽의 후손이다(느11:22).
10. 대제사장 요야김 때 제사장 가문인 힐기야 족속의 족장된 자이다(느12:21).
11. 개역성경 에스라 10:25에 언급된 포로귀환 후이방인 아내를 내어보낸 사람 가운데 한 사람인 말기야의 70인역 표기로, (개역성경과) 맛소라 사본과 영역본 KJV, NIV는 이 사람을 '말기야'로 기록하고 있지만,70인역과 영역본 RSV, NRSV, LB는 '하사바'로 기록하고 있다. <참조> 말기야1의 4항

하사손다말 Hazazon-tamar 

아브라함 시대에 엘람 왕 그돌라오멜과 동맹한 왕들에 의해서 정복된 사해 서쪽 해안에 위치한 아모리 족속의 성읍으로(창14:7), 역대하에서는 엔게디와 같은 지역으로 기록하고 있는데, 이곳은 유다 왕 여호사밧을 치기 위해 온 암몬 연합군이 집결한 곳이기도 하다(대하20:2). 이곳은 오늘날 아인지디의 북서쪽에 위치한 '와디 하사사'로 추정된다. 학자들에 따라서는 이곳을 유다의 성읍 '다말'과 동일한 곳으로 보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