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므란 Hamran
에서의 후손 디손의 아들 중 한 사람으로(대상1:41), 창세기 36:26의 '헴단'과 동일인물이다.
하바라임 Hapharaim
잇사갈 지파에게 기업으로 주어진 성읍 가운데 하나로(수19:19), 오늘날 벧산 북서쪽에 위치한 '에트-타이이베'로 추정된다. 이 지명은 애굽 왕 시삭의 정복 목록에 기록되어 있기도 하다(참고, 시삭의 정복 목록 No. 18).
하바시냐 Habaziniah
성전에서 선지자 예레미야에게 시험을 받았던 레갑 족속야아사냐와 그 형제들의 할아버지다(렘35:3).
하바야 Habaiah
스룹바벨과 함께 바벨론 포로에서 귀환한 한 제사장 가문의 선조로, 출신 종족과 혈통이 호적부에 나타나지 않아서 부정한 사람으로 인정받아 공적 지위에서 배제된 제사장들의 명단 가운데 언급된 이름이다(2:61-63) 느헤미야 7:63의 '호야' 와 동일인물이다.
하박국/-서 The book of Habakkuk
하박국서에 기록되어 있는 예언을 말한 선지자의 이름이다.
1. 저자 및 연대. 소선지서중 여덟번째 책인 하박국서는 “선지자 하박국이 묵시로 받은 경고”(합1:1)라는 제목으로 되어있다. 하박국에 대해서는 하박국서이외에는 전혀 알 길이 없다. 외경에 그에 대한 전설적 언급들이 있긴 하지만 역사적 가치를 지닌 것으로보기 어렵다. 하박국 3장의 음악적 내용을 근거로 그가 레위 지파의 음악가 조직의 일원이었다고 믿는 사람들이 있긴 하지만, 이것도 확실치 않다. 대부분의전통적 학자들은 하박국서는 통일성을 지닌, 한 저자하박국의 작품으로 갈대아 시대 유다에서 기록된 것으로 믿는다. 그 이유들은 이 책 안에서 발견된다. 성전은 여전히 건재하며(2:20;3:19), 갈대아 세력의 발흥이 예견되고 있다(1:5-6). 하박국서는 근대에 들어서그 통일성이 문제가 되었다. 하박국서 3장의 시편은이 책의 나머지 부분과 문체가 다소 다른 것은 확실하지만 이것이 하박국의 작품이 아닌 것으로 볼 충분한이유는 되지 못한다. 모든 시편은 포로 후기의 것이라는 이론은 지금은 신뢰를 받지 못하고 있다. 하박국서의 산문 부분(1-2장)의 주제는 시편의 주제와 동일하다.그리고 언어의 유사성도 명백히 드러난다. 3장은 하박국의 이름을 명시해 놓고 있으며(3:1), 그가 저자가 아니라는 충분한 내적인 근거는 하나도 없어 보인다.
2. 배경. 신바벨론 혹은 갈대아 제국이 처음으로 부각된 것은 바벨론 왕 느부갓네살이 B. C. 605년 갈그미스 전투에서 애굽인들을 격파하고 바벨론을 세계 강국의 자리로 다시 올려 놓았을 때였다. 하박국의 예언을 B. C. 605년 이전의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 예루살렘이 느부갓네살에게 함락된 것은 B. C. 587년이었다.하박국서는 이 두 연대 중간 어디에 위치하는 것이 틀림없으며, 아마도 유다 왕 여호야김 치세 때였을 가능성이 있다. 일부 학자들은 갈대아인들은 갈그미스 전투 이전에 유다에 알려졌다고 믿으며, 하박국서가 갈대아인의 공격을 예상치 못한 점(15)을 강조하면서 이 책의 연대를 좀더 이르게 잡고 있다. 그렇더라도B. C. 605년 직후 정도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 같다.
3. 내용. 하박국서의 처음 두 장은 하박국의 예언적 경고를 밝혀준다. 두번이나 하박국은 당혹하여 하나님에게 질문하여 대답을 듣는다. 먼저 그는 그의 백성, 유다인들의 강포와 죄에 관심을 갖는다. 이런 악인들이 왜 벌을 받지 않는가? (1:2-4). 하나님은 유다를심판하기 위해 바벨론 사람들(갈대아 사람들)을 보낼예정이라고 대답하신다(1:5-11). 이 대답으로 하박국은 더 큰 당혹감에 빠진다. 어떻게 의로우신 하나님이악한 바벨론 사람들을 사용하여 유다를 벌하실 수 있는가? 유다가 비록 변심하였다하나 바벨론 사람들보다는 낫지 아니한가?(1:12-17). 하나님은 교만한 이 정복자들도 또한 벌을 받을 것이라고 대답하신다(2:220). 바벨론 사람들은 교만으로 가득 차 있으며, 이 민족이 재앙을 받을 때에 의인은 그 믿음, 곧 신실로 말미암아 살게 될 것이다. 하박국은 '믿음이냐 혹은 불신앙이냐' 라는 단 두가지 방식으로 삶을 이해한다.하박국의 이 명제(2:4)는 자연히 신약의 저자들에게 중요하게 받아들여져 로마서 1:17;갈라디아서3:11;히브리서 10:38에 인용되고 있다. 하박국에게 주어진 두번째대답은 바벨론 사람들이 당할 일련의 화로 끝을 맺는다(합2:5-20).
하박국 3장은 '선지자 하박국의 기도'(3:1)라 불리운다. 감동적인 서정시 속에 하박국은 하나님의 심판의 메시지에 대한 그의 최종적 응답, 즉 어떤 환난이닥쳐 오더라도 하나님을 신뢰할 것이라고 결론을 내린다(3:16-19), 1940년 후반 사해 근처 쿰란에서 발견된 하박국 1-2장에 관한 주해는 B. C. 1세기에 이곳에있었던 엣세네 공동체가 하박국서를 어떻게 이해했는가를 감지하게 해 주기도 하지만 이 두 장의 의미에 관해서도 작은 빛을 던져준다.
'GOODWILL CHURCH > 성경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경사전) 하사야 / 하사엘 / 하살갓다 / 하살마웻 / 하살수사 (0) | 2022.11.09 |
---|---|
(성경사전) 하볼 / 하봇야일 / 하사댜 / 하사뱌 / 하사손다말 (0) | 2022.11.09 |
(성경사전) 하몰 / 하무달 / 하물1 / 하물2 / 하물며 (0) | 2022.11.09 |
(성경사전) 하만 / 하맛 / 하맛소바 / 하모나 / 하몬곡 (0) | 2022.11.09 |
(성경사전) 하르몬 / 하르보나 / 하림 / 하립 / 하마 (0) | 2022.1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