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OODWILL CHURCH/성경사전

(성경사전) 향품 / 향하다 / 향합 / 허공/ 허다

향품 spice

좋은 냄새를 갖고 있는 것으로서 대개는 식물을 지칭하여 사용된 말이다. 주로 사용된 히브리어 원어 '베셈' 은 '감미로운 냄새가 나는' 을 의미하는데, 이는 몰약, 육계, 창포 등의 방향성 식물들을 섞어서 만든 것을 말한다(출30:23-24). 고대에 향품은 음식과 생활 환경을 보다 낫게 만들기 위해 여러 가지 형태로 사용되었다. 향품은 맛을 돋구는 것뿐만 아니라 그것의 향기 때문에 포도주에 넣기도 하였다(아 8:2). 그리고 시체의 방부처리(대하 16:14. 참고. 요19:39)에 사용되었으며, 향품과 향유는 육체적인 아름다움을 가꾸는 데 필수적인 것으로 여겨졌고, 성적 매력을 주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2:12;아4:10,14;5:1,13;62;8:14), 향품은 사치스러운 무역품목 가운데 하나로 중요하였으며(왕상10:2,10,25;겔27:22;계18:13), 성소에서 분향할 향과 관유를 만드는 데 사용되기도 하였다(출30:25:35:8), 향품은 근동 세계에서 예배드릴 때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는데(25:1-6), 성전에서 레위인들이 이것들을 맡고 있었다(대상9:29). 창세기 37:25과 43:11에서 향품은 보화를 의미한다. 히스기야는 바벨론의 사절단에게 풍부한 향품을 포함해서 성전의 보화들을 남김없이 보여 주었고, 이로 인해서 이사야 선지자에게 책망받았다(왕하20:12-18).
신약성경에서 예수의 장례 때 니고데모가 예수의 몸에 바르기 위해 준비한 것으로 언급된(요19:3940) 향품은 침향을 섞은 몰약이었다. 예수께서 부활하신 줄 모르는 몇몇 여인들이 무덤으로 향품을 가지고 가기도 하였는데(막16:1), 이는 무덤의 냄새를 상쇄하기 위함이었을 것이다(참고. 눅23:56-24:1).

향하다 look toward

바라봄(창18:16;삼상14:47;왕하20:2;마27:61;행9:40), 혹은 비유적으로 마음을 기울임을 의미한다. 성경에서는 특히 하나님께로 마음을 향할 것을 말씀하고 있다(수24:23;삼상7:3;왕상8:58), 이스라엘 백성들은 그 마음이 애굽으로 향해 있었기 때문에 금송아지를 만들었으며 (행7:39), 바울과 바나바는 비시디아 안디옥에서 복음 전하는 것을 비방하는 유대인들에게 "너희가 영생 얻음에 합당치 않은 자로 자처하기로 우리가 이방인에게로 향하노라" (13:46)고 담대하게 말했다.

향합 perfume box

여인들의 장신구 가운데 하나로 향을 넣어 가지고 다니는 작은 기구이다. 이 장신구는 이스라엘 여인들의 사치를 상징하는 것으로 이들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을 전하는 선지자 이사야의 말 속에서 언급되었다(사 3:20, 공동번역 '향수' 새번역 '향수병').

허공 void

아무것도 없이 텅빈 공중을 지칭한다. 개역성경에서 허공으로 번역된 히브리어 원어 '토후'는 '무, 공허, 헛됨'을 의미하는 말로서 창세기에 언급된 창조 이전의 상태인 '공허' 에 해당하는 원어이기도 하다(창1:2), 이런 맥락에서 욥은 하나님의 창조의 능력과 주권을 강조하면서 '허공에 하늘을 펴셨다'고 설명한다(욥26:7). 신약성경에서는 일반적인 의미로만 사용되는데사도 바울은 자신의 삶의 목표가 뚜렷함을 '내가 허공을 치는 것 같이 아니하여' 라는 말로 밝히고 있다(고전 9:26).

허다 multitude

몹시 많음을 의미하는 이 말은 구약성경에서는 이스라엘 왕들과 후대의 유다 왕들에 의해 요구된물질들과 노력의 많은 분량을 기술하는 데 사용되었다(참고. 대하1:15;2:9;4:18), 한편 신약성경에서는 사람의 수의 많음을 가리키거나(마4:25; 눅7:11;행19:26),아니면 ‘모든’ 또는 ‘온갖 종류의’ 라는 뜻으로 사용되었으며(약5:20) 죄의 경중을 떠나 모두 용서되는 사랑의 포용성에 대한 설명에서도 사용되었다(벧전4:8).하만의 유다인 학살 계략으로부터 유다 민족을 구한모르드개는 허다한 유다인들에게 존귀히 여김을 받았다(에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