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OODWILL CHURCH/성경사전

(성경사전) 허망(하다) / 허메1 / 허메2 / 허모게네 / 허무

허망/-하다 false

개역성경에서 허망으로번역된 히브리어는 황폐를 의미하는 '샤우'외에도 고통이나 우상숭배, 사악함이나 불의를 의미하는 '아웬', 길을 잘못들다, 떠나다를 의미하는 '루즈', 속이 비었다는 의미의 '나', 혼돈이나 공허를의미하는 ‘토후’등이 사용되었고 헬라어는 헛되고기만적인 것을 의미하는 '마테이오스'가 사용되었다.성경에서는 허망한 말이나 허망한 사람, 허망한 생각이나 행동에 대한 예들이 많이 제시되고 있는데 이러한 것들은 근본적으로는 하나님을 떠난 상황과 더 나아가 우상과 관련된 것들에서 많이 보여진다. 허망한말이란 사악하고 불의한 것이 내재된 못된 말(사58:9)이나 법정소송에 있어서의 근거없는 말(출23:1) 또는헛소리(욥16:3)를 가리키며, 하나님에 대한 참된 지식이 없고 속이 빈 사람(11:11-12)이나 마음과 행위가가치가 없는 자(시26:4, 공동번역 '사기꾼'), 또는 우상을 만드는 사람(사44:9) 성경에서는 허망한 자라고부르고 있다. 허망한 것이나 허망한 생각은 악한 것또는 그것으로 주어지는 재난(욥15:31)이나 하나님으로부터 분리된 삶에서 비롯되는 형식은 있으나 내실은 없는 것(엡4:17)을 가리키며, '헛된 것’또는 '허무한 것' 이라는 말과 함께 우상을 가리키기도 한다(왕하17:15). 또한 구체적으로 하나님을 떠나서 애굽을 의지하려고 한 유다의 그릇된 외교정책에 대해서도 이말이 사용되었다(사30:12).

허메1 Hermes 

바울이 문안한 로마의 신자이다(롬16:14). 가이사의 집의 종이었을듯하다(바울 사역 당시에 허마나 허메는 종의 이름으로 흔히 불리웠었다).

허메2 Hermes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올림포스 12신 중의 하나로 로마 신화에 나오는 '머큐리'와 같은 신이며, 주신 제우스와 아틀라스의 딸 마이아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다. 헤르메스(허메)는 사각 돌기둥에 얼굴과 남근만이 조각된 형태로숭배되었는데, 이는 본래 길가나 경계 부근에 쌓아둔돌산(헤르마), 또는 그 중심에 세워놓은 남근 형태의돌기둥에서 비롯되었다. 그리스신화에서 헤르메스는가축의 증식을 관장하는 점에서 부와 행운의 신, 길을지배하는 점에서 나그네의 수호신, 통역, 상업, 도둑의신 그리고 꿈을 옮겨다주고 죽은 자를 저승으로 안내해 주는 다양한 역할을 맡았다. 미술에서는 차양이 없는 모자를 쓰고, 전령의 지팡이를 손에 들고 날개가 달린 샌들을 신은 경쾌한 복장의 나그네 모습으로 묘사되었다. 또한 신화 속에서 그는 제우스의 수행원 또는신들의 심부름꾼으로 자주 나타난다. 루스드라에서그곳 주민들은 아마도 이런 연유에서 바울을 허메로,바나바를 제우스의 화신으로 여겨 제사하려고 했던것 같다. 그러나 바울과 바나바는 그들의 잘못을 알려주며, 제사를 금지하도록 하였다(행 14:8-18). 개역성경에서는 쓰스와 허메로 번역되어 있는 반면, 공동번역과 새번역에서는 원어대로 제우스와 헤르메스로 번역하고 있다.

허모게네 Hermogenes

보겔로와 아시아 사람들과 함께 바울을 배신한사람이다(딤후1:15).

허무 

<보라> 허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