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OODWILL CHURCH/성경사전

(성경사전) 허물 / 허비 / 허사 / 허수아비 / 허영

허물 transgression 

일반적으로는 그릇된 실수나 과오를 의미하나, 성경에서는 알면서 거역하는의지나 행동을 의미한다. 구약성경의 원어적 의미를살펴보면 허물로 번역된 히브리어 '페샤'가 죄로도번역되어 거의 같은 의미로 사용되었다. 시편 기자는 하나님께 "내 소시의 죄와 허물을 기억지 말아달라"(시25:7)고 기도하며, "허물의 사함을 얻고 그 죄의 가리우심을 입은 사람은 복이 있다" (32:1) 고 노래하였다. 하지만 신약성경에서는 조금 달리 나타나는데'죄' 라는 말로 주로 번역되고 있는 헬라어 '하마르티아는 윤리적으로뿐만 아니라 지적, 법률적으로도 적용할 수 있는 포괄적인 말로서 범죄에 이르기까지의그릇된 행위를 포함한다. 하지만 '허물'로 자주 번역되는 ‘파라프토마'는 '잘못 인도되다', '실수하다'는의미를 가진다. 따라서 허물은 죄의 개념 안에 포함된다. 이 말은 구약성경에서 특히 많이 언급되는데, 하나님께 거역하고(사1:2), 언약을 어기며(호8:1,11), 사람에게 배반하는(왕상12:19) 것을 나타낸다. 하나님께서는 허물과 죄로 죽었던 죄인들을 그리스도와 함께 다시 살리셨다(엡2:1,5). <참조> 죄

허비 waste

쓸데없는 비용을 쓰는 것을 의미한다. 탕자는 아버지의 재산을 가지고 먼나라에 가서 허랑방탕하게 재산을 허비하였다(눅15:13). 반면에 마리아는 예수의 장례를 예비하면서 자신의 나드 향유를 예수께 부어드렸다. 제자들은 그녀의 행동을 가리켜 쓸데없이 허비하였다고꾸짖었지만, 예수께서는 그녀를 칭찬하였다(막14:4).탕자의 허비는 방탕한 것이지만, 마리아의 허비는 귀한 사랑의 표현이요, 헌신의 상징이다.

허사 vain thing

헛된 일을 의미한다. 구약성경에서는 인간의 죄성과 그에서 나오는 일의 허무함을 표현할 때언급되었다(신32:47;시39:11;127:1). 다윗은 광야에서나발의 양떼를 지켜주었는데, 나발이 그 은혜를 모르고 함부로 말하며 자신들을 접대하지 않자 자신이양떼를 지킨 일이 허사라고 말하며 화를 냈으며(삼상25:21), 복음 전하기가 어려워진 사도들은 “어찌하여 족속들이 허사를 경영하였는고 세상의 군왕들이나서며 관원들이 함께 모여 주와그 그리스도를 대적하도다”(시2:1-2)라고 시편을 인용하여 기도하였다(4:25).

허수아비 scarecrow

새나 들짐승들로부터 농작물의 피해를 지키기 위해 밭이나 논 가운데 막대기와 짚을 사용해 사람 모양을 만들어 거짓으로 세워놓은 형상물을 지칭한다. 히브리어 '토메르'는 '야자나무'를 의미하는 히브리어 '타마르'에서유래된 것으로 보인다. 야자나무를 인간 모습으로 보이도록 만들어 밭에 세워서 새를 쫓는데, 이것은 또한악마를 쫓는다고 여기기도 한 것 같다. 성경에서는 우상을 허수아비에 비유해서, 우상을 섬기는 인간의 허무한 노력을 냉소적으로 표현하였다(렘10:3-5, 개역성경 '갈린 기둥').

허영 conceit

신분에 넘치는 외관상의 영화를 의미한다. 성경에서는 필요 이상의 겉치레를 지칭하는데, 허영을 금하는 성도의 생활을 권면하고 있다(빌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