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물 offering
감사의 마음으로 하나님께 바치는 물건을지칭한다. 하나님께 바쳐진 헌물은 레위인에게 돌아갔다(참고, 민18:21,26). 헌물을 바칠 때에는 즐거운 마음으로 드리라고 권면하고 있다(출25:2). 하나님의 성전이 건축될 때는 많은 사람들이 즐거이 드린 갖가지귀한 헌물이 사용되었다(참고. 대상29:5-6,9,14,18). 신약성경에서는 예수께서 미석과 헌물로 지어진 성전을가리켜 돌 하나도 돌 위에 남지 않을 것이라고 말씀하셨다(눅21:5). 하나님께서는 말라기 선지자를 통해 토색한 물건, 저는 것, 병든 것을 헌물로 가져오는 이스라엘 백성들을 책망하셨다(막1:13). 그러나 언약의 사자가 임하여 레위 자손을 연단하면 그들이 드리는 의로운 헌물을 하나님께서 기쁘게 받으실 것이라고 말씀하셨다(말3:1-4).
헌신 devotion
자기의 이해를 돌보지 않고 전력을 다하는 것을 의미한다. 구약성경에서는 하나님께 죄의 용서를 받고 은혜를 얻기 위해 바치는 생물의 희생을 지칭한다. 즉 하나님을위해 자신을 희생하는 것을 일컫는다(출32:29, 공동번역 ‘충성’, 새번역 ‘자신을 드리다'), 그리스도인의 참된 헌신이란 하나님과 이웃을 위해 사랑과 봉사를 다하는 것이다.
헐다 destroy
성벽이나 집, 요새 등을 무너뜨림으로써 파괴하는것을 의미한다. 시내산에서 모세는 백성들이 산으로 돌파하여 너무 가까이 접근하는 것을 막기 위해 산 주위에 울타리를 세우도록 지시하였다(출19:21,24). 이울타리를 하는 것은 하나님의 성소에 대한 파괴적 행동이다. 하나님께서 기드온을 통하여 그의 아버지가사람들을 주목하게 하고 우상의 중요성을 강조할 때마일(삿6:25)에게 바치는 그의 아버지의 제단을 헐음으로써 구원의 역사를 시작하셨다(삿6:28-35). 이스라엘은 가나안 족속들의 우상을 파괴하고 단을 헒으로써(출34:13;삿2:2) 저들의 사기를 꺾어 물리쳐야 했다.
허는 대상에는 성벽(겔 13:14), 기지(30:4), 곳간(욜1:17), 성읍(왕하3:25;대상20:1) 등이 포함되는데, 그 파괴는 하나님에 의한 것일 수도 있고(애2:2), 사람에 의한 것일 수도 있다(대상20:1), 어리석은 사람은 자기집을 무너뜨리고(잠14:1), 뇌물을 받아 재판을 굽게 하는 왕은 그가 본래 지키게 되어 있는 왕국을 파괴시킨다. 그들의 성벽이 무너졌을 때 항복하지 않는 성들을파괴하는 것이 전쟁의 방침이었다(신 20:10-14;대상20:1). 죄인들이 성중에서 발하는 악한 생각은 외적을저지하려는 의지와 도덕성을 침식함으로써 성의 파괴를 가져온다(잠11:11). 게으른 자의 태만은 토지 재산의 경계인 정원 돌담의 황폐를 야기시킨다(잠24:31).예수를 치려는 거짓 증인들은 예수께서 성전을 헐고사흘에 지을 수 있다고 말하였다고 거짓 증거하였으며(마26:61), 예수께서 십자가에 달리셨을 때 지나가던사람들은 "성전을 헐고 사흘에 짓는 자여" 라는 말로 예수를 모욕하였다(27:40).
헐떡이다 sniff
계속해서 숨을 가쁘게 쉬는 것을 의미한다. 성경에서는 상징적인 표현으로 쓰이고 있는데, 주를 향한 헐떡거림은 하나님의 은혜에 대한 간절한 바람을 의미한다(1:20). 또한 인간적인 욕망의 들끓음을 표현할 때(렘2:24)와 고난을 의미할 때(시119:131;사42:14)도 사용되었다.
헐벗다 in nakedness
떨어진 옷을 입음, 즉 가난을 의미한다. 욥은 의인으로서 가난하여 헐벗은 자를 도와 주었다(욥22:6). 사도 바울은 복음 전파의 사명을 감당하다 굶고 헐벗음의 고난에 처하기도 하였다(고후11:27). 한편 그리스도인은 마땅히 헐벗고 가난한 자를 도와야 한다(약2:15).
'GOODWILL CHURCH > 성경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경사전) 헝겊/ 헤개/ 헤나/ 헤나닷/ 헤들론 (0) | 2022.11.10 |
---|---|
(성경사전) 험악/ 험준/ 험하다/ 헛것/ 헛되다 (0) | 2022.11.10 |
(성경사전) 허위 / 허위다 / 허탄 / 허하다 / 헌데 (0) | 2022.11.10 |
(성경사전) 허물 / 허비 / 허사 / 허수아비 / 허영 (0) | 2022.11.10 |
(성경사전) 허망(하다) / 허메1 / 허메2 / 허모게네 / 허무 (0) | 2022.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