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OODWILL CHURCH/성경사전

(성경사전) 험악/ 험준/ 험하다/ 헛것/ 헛되다

험악 difficult

길이나 날씨 따위가 험난함을 의미한다. 구약성경에서는 고난과 파란 많은 인생을 이 말로써 표현하고 있다(창47:9;잠15:15).

험준 strong

매우 높고 가파름을 의미한다. 특히 가파르고 오르기 힘든 산을 표현할 때 언급된다(욥39:28).

험하다 rough

지세가 사나워서 걷기가 어려움을 의미한다. 이사야 선지자는 포로된 이스라엘의 회복에 대해 예언할 때, 험한 곳이 평지가 되어 그리로 이스라엘이 귀향하게 될 것이라고 예언하였다. 이사야 선지자의 이러한 예언은 메시야에 대한 언급이기도 하다(사40:4;눅3:5).

헛것 vain

헛것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헤벨'은 기본적으로 '바람' 혹은 '숨'을 의미하는 말로, 있는 듯하나 잡히지 않는 것을 지칭한다. 구약성경에서는 하나님의 백성에 의해 숭배되었던 그릇된 신들, 즉 우상을 지칭하는 말로 사용되었다(렘10:15;51:18. 참고. 신32:21; 왕상 16:13,26;왕하17:15;렘2:5;8:19). 또 이 말은 인간의 허망한 감정을 표현하기도 하며 (시39:5;사49:4), 잘못된 행동이나 그릇된 태도를 표현할 때도 사용되는데, 행함이 없는 믿음과 자기 혀를 다스리지 못하는 사람의 경건은 헛것이라는 언급(약1:26;2:20)이 이에 해당된다.

헛되다 in vain

보람이 없이 쓸데없음을 의미하는 말로서, 전도서에서 특별히 많이 언급되어 있다. 전도서 기자는 이 말을 통해서 어떤 일을 성취할 수 없는 자신의 무력함, 즉 창조적인 존재가 되고자 하는 데 있어서의 그 자신의 실패뿐만이 아니라, 그 자신의 소유물들을 임의로 처리하는 특권을 조절하고 통제할 수 없는 능력의 결여도 나타내 준다(전2:19,21,23;4:4,8;6:2). 이 구절들에 있어서 이 단어는 '허무함', '헛됨'을 의미한다. 두번째는 전도서 기자가 세상 살이 속에서의 부조리 현상에서 갈등을 일으키고 있는 구절들이다. 이것은 삶에 대한 변칙으로서 '헛된 것' 이다(2:15;6:7-9;8:10-14). 세번째는 전도서 기자가 삶의 짧음, 즉 삶의 '헛됨'을 한탄하고 있는 구절들이다(3:19;6:12; 11:8,10). 삶은 그 질에 있어서 '공허' 하거나 '빈' 것이며, 그 양에 있어서 '일시적인' 것이다. 이것은 전도서 기자에 의하여 내려진 삶에 대한 최종적인 결론들이라기보다는 오히려 저자의 삶의 방법과 그의 숨겨진 전제를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하나님의 거룩한 계시와 중재의 도움에 의해서만 삶의 진정한 의미가 있다는 것이다. 그렇지 않은 인생은 항상 헛수고이며 헛된 삶일 뿐이다. 바울은 고린도 교회에 보내는 서신에서 자신에게 부으신 하나님의 은혜가 헛되지 아니하여 사도가 되었다고 고백하였으며(고전15:10), 하나님의 은혜를 헛되이 받지 말라고 권면하였다(고후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