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설교문 모음/이찬수목사님

소명이 있기에 주저앉지 않습니다 | 마가복음 3장 16-19절 | 이찬수 목사님 | 분당우리교회 | 2021.2.7 설교문 녹취록 요약 정리

직장에서의 소명: 심리학자의 통찰

최근 읽은 책 중에 '이 월요일 아침에 심리학'이라는 책이 있습니다. 이 책은 직장 생활에 힘들어하는 분들을 위해 쓴 책으로, 직장이나 직업에 대한 관점을 세 가지로 나누어 설명합니다.

 

직장에 대한 세 가지 관점

첫 번째 관점은 직장을 단순히 생계수단으로 보는 관점입니다. 두 번째는 직업을 경력 과정으로 보는 관점, 그리고 세 번째는 직업을 소명으로 바라보는 관점입니다. 예일대학교의 에이미 교수팀은 이 세 가지 관점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연구 결과, 직업을 소명으로 바라보는 사람들이 다른 그룹에 비해 직장 생활이 더 즐겁고, 사회적 위치나 직장 내에서 더 높은 자리에 오를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소명 의식의 중요성

왜 직업을 소명으로 바라보는 사람들이 더 행복하고 능률적으로 일할 수 있을까요? 그 이유는 소명 의식을 가진 사람들은 내적 성찰을 통해 자신이 하는 일이 중요하다고 믿고, 이를 주도적으로 실행하기 때문입니다. 그들은 의미를 찾아 일하며, 그로 인해 더 큰 동기와 열정을 가지고 일에 임하게 됩니다.

 

소명 의식을 갖춘 사람들의 삶의 질

또 다른 연구에 따르면, 소명 의식을 가진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삶에 대한 만족도가 높고, 활력 또한 더 뚜렷하게 느껴진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어느 그룹이 가장 적은 만족감을 느끼고 있을까요? 바로 직장을 단순히 생계수단으로 보는 사람들입니다. 이들은 자신의 삶과 직업에 대한 만족도가 낮으며, 직장에서의 경험을 힘든 일로만 여깁니다.

 

소명 의식이 중요함을 느끼게 해준 피아노 조율사

최근에는 한 인터뷰 영상에서 소명 의식이 얼마나 중요한지 다시 한 번 느끼게 되었습니다. 80대 중반의 할아버지는 평생을 피아노 조율사로 살았습니다. 그는 19살에 시작하여 65년 동안 피아노 조율만을 해온 인생을 살았다고 합니다. 그의 인터뷰를 보면서, 그는 자신이 하는 일이 단순히 일이라고 생각하지 않고, 그것이 '연주'와 같다고 이야기합니다. 그는 자신이 하는 일에 대해 확신을 가지고 있으며, 이 확신이 그를 지속적으로 열정적으로 일하게 만듭니다.

 

피아노 조율사의 확신과 소명 의식

그가 책에서 말하는 대로, 피아노 조율은 단순한 기술이 아니라 연주자와의 깊은 연결을 통해 이루어지는 예술입니다. 그가 자신의 일을 예술로 보고 소명 의식을 가지고 일한다는 사실은 그의 삶의 만족도와 직업에 대한 태도에서 분명하게 드러납니다. 이처럼 자신의 일을 소명으로 여기는 사람들은 직업에 대한 자부심과 만족도가 높고, 결국 더 높은 성취를 이룰 수 있습니다.

 

소명 의식이 행복으로 이어진다

이 책을 통해 저는 소명 의식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다시 한 번 깨달았습니다. 직업을 소명으로 여기는 사람이 더 행복하고 능률적으로 일한다는 연구 결과는 매우 흥미롭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은 자신이 하는 일을 단순히 돈을 벌기 위한 수단으로 여기기도 하지만, 다른 사람은 이를 자신의 소명으로 보고 의미를 찾으며 일합니다. 후자가 더 큰 만족과 성취를 느낀다는 것은 매우 중요한 교훈입니다.

 

목회와 소명 의식

제가 이 책을 읽으면서 또 느낀 점은, 목회자들이 자신의 일을 '소명'으로 여길 때, 그 일이 단순한 직업이 아니라 진정한 의미가 있다는 것입니다. 목회도 마찬가지로 소명 의식을 가진 사람이 이끌어야 교회 공동체를 잘 이끌어 갈 수 있습니다. 저는 목회가 단지 '밥벌이'에 그쳐서는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 소명 의식을 가지고 사는 사람들이 진정한 행복을 느끼고, 삶의 의미를 찾아가기 때문입니다.

 

소명의식을 가진 직업인들

직업을 단순한 생계 수단으로 생각하는 사람들보다는 자신이 하는 일을 소명으로 여기는 사람들이 더 큰 만족감을 느낍니다. 이는 목사, 의사, 교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자신이 하는 일을 단지 생계를 위한 수단으로 생각하기보다는, 그것이 하나님께서 주신 소명이라는 인식을 가지고 일한다면, 그 일의 능률도 올라가고, 더 큰 성취와 만족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결론

이 책을 읽고 나서, 다시 한 번 제 직업에 대해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저는 제 직업이 단순히 생계 수단에 그쳐서는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 제 직업도 소명이라고 믿고, 그 소명에 맞게 살아가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직장에서의 만족감은 그 일 자체가 의미를 갖고 있을 때, 그리고 그 일이 '소명'이 될 때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이번 책을 통해 깊이 느꼈습니다.

 

풀버전 영상을 보시려면 아래를 클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