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야다타 엩 레데트 야알레 살라 홀렐 아얄로트 티쉬몰
개역개정,1 산 염소가 새끼 치는 때를 네가 아느냐 암사슴이 새끼 낳는 것을 네가 본 적이 있느냐
새번역,1 너는 산에 사는 염소가 언제 새끼를 치는지 아느냐? 들사슴이 새끼를 낳는 것을 지켜 본 일이 있느냐?
우리말성경,1 “너는 산양이 언제 새끼를 낳는지 아느냐? 암사슴이 새끼 배는 것을 네가 알 수 있느냐?
가톨릭성경,1 너는 바위 산양이 해산하는 시간을 알며 사슴이 산고를 치르는 것을 살펴보았느냐?
영어NIV,1 "Do you know when the mountain goats give birth? Do you watch when the doe bears her fawn?
영어NASB,1 "Do you know the time the mountain goats give birth? Do you observe the calving of the deer?
영어MSG,1 "Do you know the month when mountain goats give birth? Have you ever watched a doe bear her fawn?
영어NRSV,1 "Do you know when the mountain goats give birth? Do you observe the calving of the deer?
헬라어구약Septuagint,1 ει εγνως καιρον τοκετου τραγελαφων πετρας εφυλαξας δε ωδινας ελαφων
라틴어Vulgate,1 numquid nosti tempus partus hibicum in petris vel parturientes cervas observasti
히브리어구약BHS,1 הֲיָדַעְתָּ עֵת לֶדֶת יַעֲלֵי־סָלַע חֹלֵל אַיָּלֹות תִּשְׁמֹר׃
성 경: [욥39:1]
주제1: [하나님의 첫 번째 말씀(2)]
주제2: [가축을 다스리시는 하나님]
산 염소가 새끼치는 때를 네가 아느냐 - '산 염소'는 구체적으로 '암벽에 사는 야생 염소'를 가리킨다. 이 짐승은 '카프라 왈루'(Capra walu) 또는 '카프라 누비아나'(Capra nubiana)같은 종(種)에 속한 것으로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절벽이나 돌이 많은 황무지에서 살고 있다. 그래서 사람들이 이 산염소를 본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일 뿐만 아니라 더욱이 그것의 분만 시기를 안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그러나 하나님의 섭리와 돌보심은 그러한 산염소에게까지 미치며, 생육하고 번성하도록 인도하신다. 그런데 인간은 한낱 산염소의 분만 시기조차 모르면서 하나님의 섭리에 불만을 터뜨리거나 불의하다고 비난함으로 자신의 무지와 어리석음을 드러낸다.
암사슴의 새끼 낳을 기한을 네가 알 수 있느냐 - '암사슴'(*, 아야라)은 높고 위험한 지역을 다닐 수 있을 정도로 튼튼한 발을 가진 짐승으로(시 18:33) 고대 팔레스틴에 많이 서식하고 있었던 것 같다(창 49:21;신 12:15;왕상 4:23;잠 5:19). 그런데 여기에서 '알다'를 가리키는 히브리어 '솨마르'(*)는 '지키다', '보호하다', '관찰하다'란 뜻이 있는 용어이다. 그래서 본절은 하나님이 욥에게 암사슴의 잉태 기간 동안에 그것을 위험에서 돌보고 있다가 적당한 시기에 새끼들을 낳게 할 수있는가를 묻고 계시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 같은 질문을 욥에게 하시는 것은 인간이 전혀 알 수 없고, 할 수도 없는 일들을 하나님께서는 그의 능력과 세심한 배려를 통하여 이루어가고 있다는 사실을 입증하기 위함이다.
티세폴 예라힘 테말레나 웨야다타 엩 리드타나
개역개정,2 그것이 몇 달 만에 만삭되는지 아느냐 그 낳을 때를 아느냐
새번역,2 들사슴이 몇 달 만에 만삭이 되는지 아느냐? 언제 새끼를 낳는지 아느냐?
우리말성경,2 몇 달 만에 만삭이 되는지 네가 아느냐? 또 언제 새끼를 낳는지 아느냐?
가톨릭성경,2 너는 그것들이 만삭이 되는 때를 셈할 수 있으며 해산하는 시간을 알 수 있느냐?
영어NIV,2 Do you count the months till they bear? Do you know the time they give birth?
영어NASB,2 "Can you count the months they fulfill, Or do you know the time they give birth?
영어MSG,2 Do you know how many months she is pregnant? Do you know the season of her delivery,
영어NRSV,2 Can you number the months that they fulfill, and do you know the time when they give birth,
헬라어구약Septuagint,2 ηριθμησας δε αυτων μηνας πληρεις τοκετου ωδινας δε αυτων ελυσας
라틴어Vulgate,2 dinumerasti menses conceptus earum et scisti tempus partus earum
히브리어구약BHS,2 תִּסְפֹּר יְרָחִים תְּמַלֶּאנָה וְיָדַעְתָּ עֵת לִדְתָּנָה׃
성 경: [욥39:2]
주제1: [하나님의 첫 번째 말씀(2)]
주제2: [가축을 다스리시는 하나님]
그것이...만삭되는지 아느냐 - 원어를 직역하면 '그것들이 만삭되는 달을 셈할 수 있느냐?'이다. 이는 곧 산염소와 암사슴의 잉태 기간을 가리키는 말이다(Lange). 그런데 여기서 '만삭되다'의 기본형 '마레'(*)는 '채우다', '가득하다', '풍만하다','완성하다'란 뜻으로 새끼를 낳기까지의 시기를 의미한다. 따라서 본절은 들짐승들의 잉태 기간에 그것들을 관찰하고 보호하여 새끼를 낳도록 인간이 섭리할 수 있는가에 대해 역설적으로, 또는 암시적으로 질문하는 내용을 담고 있는 것이다.
티크라나 얄레데헨 테팔라흐나 헤브레헴 테솰라흐나
개역개정,3 그것들은 몸을 구푸리고 새끼를 낳으니 그 괴로움이 지나가고
새번역,3 언제 구푸려서 새끼를 낳는지를 아느냐? 낳은 새끼를 언제 광야에다가 풀어 놓는지를 아느냐?
우리말성경,3 산양들이 웅크리고 앉아 그 새끼를 낳으면 그 산고가 끝난다.
가톨릭성경,3 그것들이 몸을 구부려 새끼들을 낳고 배 속에 든 것들을 내보내면
영어NIV,3 They crouch down and bring forth their young; their labor pains are ended.
영어NASB,3 "They kneel down, they bring forth their young, They get rid of their labor pains.
영어MSG,3 when she crouches down and drops her offspring?
영어NRSV,3 when they crouch to give birth to their offspring, and are delivered of their young?
헬라어구약Septuagint,3 εξεθρεψας δε αυτων τα παιδια εξω φοβου ωδινας αυτων εξαποστελεις
라틴어Vulgate,3 incurvantur ad fetum et pariunt et rugitus emittunt
히브리어구약BHS,3 תִּכְרַעְנָה יַלְדֵיהֶן תְּפַלַּחְנָה חֶבְלֵיהֶם תְּשַׁלַּחְנָה׃
성 경: [욥39:3]
주제1: [하나님의 첫 번째 말씀(2)]
주제2: [가축을 다스리시는 하나님]
그것들은 몸을 구푸리고 새끼를 낳아 - '구푸리다'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카라'(*)는 '엎드리다', '구부리다', '웅크리다'란 뜻으로, 여기서는 해산을 위해 몸이나 허리를 굽히는 것을 가리킨다. 그러나 이것은 해산의 과정을 묘사하고 있는 것이지 그 고통 자체에 대해 설명하는 것은 아니다(Hartley, Driver & Gray). 사실 야생 동물은 매우 쉽고 빠르게 새끼를 출산한다. 그런데 본절이 해산으로 인한 고통을 묘사한 것처럼 보이는 것은, 하반절의 '괴로움'을 의미하는 히브리어 '헤벧'(*)이란 단어가 주로 해산의 고통을 가리키는 것에서 유래되었기 때문이다. 그래서인지 유대 주석가들은 '구부리다'의 '카라'를 해산의 진통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하려고 한다(삼상 4:19). 그러나 본절은 분명 들짐승의 '해산을 위한 과정'을 묘사하고 있다.
그 괴로움을 지내어 버리며 - 앞에서 언급했던 바와 같이 '괴로움'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헤벧'(*)은 일반적으로 해산의 고통을 나타낸다. 그러나 여기서는 고통 그 자체를 나타낸다기 보다는 오히려 고통의 열매 곧 그 새끼들을 가리킨다(Lange). 그래서 본절은 해산의 고통이 있은 후에 그 괴로움을 가슴에 담고 새끼들을 멀리 떠나보내는 것을 가리킨다. 사실 야생 동물들은 새끼를 낳아 멀리 보내고, 그 새끼들은 어미의 품으로 다시 돌아오지 않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4절).
야헬레무 베네헴 이르부 밥바르 야체우 웨로 솨부 라모
개역개정,4 그 새끼는 강하여져서 빈 들에서 크다가 나간 후에는 다시 돌아오지 아니하느니라
새번역,4 그 새끼들은 튼튼하게 자라나면, 어미 곁을 떠나가서 다시 돌아오지 않는다.
우리말성경,4 그 새끼들이 무럭무럭 자라 들판에서 강해지면 그 곁을 떠나서 돌아오지 않는다.
가톨릭성경,4 그 어린것들은 들판에서 튼튼하게 자라 떠나가서는 어미에게 다시 돌아오지 않는다.
영어NIV,4 Their young thrive and grow strong in the wilds; they leave and do not return.
영어NASB,4 "Their offspring become strong, they grow up in the open field; They leave and do not return to them.
영어MSG,4 Her young ones flourish and are soon on their own; they leave and don't come back.
영어NRSV,4 Their young ones become strong, they grow up in the open; they go forth, and do not return to them.
헬라어구약Septuagint,4 απορρηξουσιν τα τεκνα αυτων πληθυνθησονται εν γενηματι εξελευσονται και ου μη ανακαμψουσιν αυτοις
라틴어Vulgate,4 separantur filii earum pergunt ad pastum egrediuntur et non revertuntur ad eas
히브리어구약BHS,4 יַחְלְמוּ בְנֵיהֶם יִרְבּוּ בַבָּר יָצְאוּ וְלֹא־שָׁבוּ לָמֹו׃
성 경: [욥39:4]
주제1: [하나님의 첫 번째 말씀(2)]
주제2: [가축을 다스리시는 하나님]
그 새끼는...길리우다가 - '강하여지다'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하람'(*)은 문자적으로 '살찌다', '튼튼하다', '뚱뚱하게 되다'란 뜻으로 새끼들의 건강이 매우 좋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리고 '길리우다'의 '라브'(*)는 '크게 또는 많게 되다','가득 채워지다'란 뜻으로 새끼들이 강한 몸으로 성장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앞에서 언급한 '하람'과 함께 본 용어는 '동물이 성장하고 숙성해감'을 나타낸다. 한편, '빈 들'(*, 바르)은 광야나 경작지를 가리키는데, 어떤 번역본은 '바르'의 일차적 의미인 '곡초'(corn)나 '밀'로 이해해서 본절을 새끼들이 성장한다는 것으로 그 뜻을 부여했다(KJV).
나가고는 다시 돌아오지 아니하느니라 - '다시'로 번역된 '라모'(*)는 '그들에게로'란 뜻을 지닌다. 그래서 본절은 밖으로 나간 새끼들이 자기들의 어미에게로 돌아가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것은 야생 동물의 특성을 잘 반영한 표현이다.
미 솰라흐 테레 하페쉬 우모세로트 아로드 미 피테하
개역개정,5 누가 들나귀를 놓아 자유롭게 하였느냐 누가 빠른 나귀의 매인 것을 풀었느냐
새번역,5 누가 들나귀를 놓아 주어서 자유롭게 해주었느냐? 누가 날쌘 나귀에게 매인 줄을 풀어 주어서, 마음대로 뛰놀게 하였느냐?
우리말성경,5 누가 들나귀를 풀어 주었느냐? 누가 그 묶인 줄을 풀어 주었겠느냐?
가톨릭성경,5 누가 들나귀를 자유롭게 놓아주었느냐? 돌나귀의 굴레를 누가 풀어 주었느냐?
영어NIV,5 "Who let the wild donkey go free? Who untied his ropes?
영어NASB,5 "Who sent out the wild donkey free? And who loosed the bonds of the swift donkey,
영어MSG,5 "Who do you think set the wild donkey free, opened the corral gates and let him go?
영어NRSV,5 "Who has let the wild ass go free? Who has loosed the bonds of the swift ass,
헬라어구약Septuagint,5 τις δε εστιν ο αφεις ονον αγριον ελευθερον δεσμους δε αυτου τις ελυσεν
라틴어Vulgate,5 quis dimisit onagrum liberum et vincula eius quis solvit
히브리어구약BHS,5 מִי־שִׁלַּח פֶּרֶא חָפְשִׁי וּמֹסְרֹות עָרֹוד מִי פִתֵּחַ׃
성 경: [욥39:5]
주제1: [하나님의 첫 번째 말씀(2)]
주제2: [들짐승을 다스리시는 하나님]
빠른 나귀의...풀었느냐 - '빠른 나귀'에 해당하는 '아로드'(*)는 보통 '야생 당나귀'로 알려져 있다. 이것은 겁이 많아 아주 빨리 도망치는 특성이 있는데, '들나귀'와는 다른 종류의 나귀이지만 인간으로부터 길들여지지 않고 속박당하지 않는다는 점은 서로 같다. 한편, '풀다'의 '하파쉬'(*)는 얽매인 것에서 자유롭게 한다는 의미로서 야생 당나귀의 기질을 잘 묘사하고 있다(신 15:12;사 58:6;렘34:14).
아쉘 사므티 아라바 베토 우미쉬케노타우 멜레하
개역개정,6 내가 들을 그것의 집으로, 소금 땅을 그것이 사는 처소로 삼았느니라
새번역,6 들판을 집으로 삼게 하고 소금기 있는 땅을 살 곳으로 삼게 한 것은, 바로 나다.
우리말성경,6 내가 광야를 들나귀에게 주어 집으로 삼고 소금기 있는 땅을 거처로 삼게 했다.
가톨릭성경,6 내가 광야를 그의 집으로, 소금 땅을 그의 거처로 삼아 주었다.
영어NIV,6 I gave him the wasteland as his home, the salt flats as his habitat.
영어NASB,6 To whom I gave the wilderness for a home, And the salt land for his dwelling place?
영어MSG,6 I gave him the whole wilderness to roam in, the rolling plains and wide-open places.
영어NRSV,6 to which I have given the steppe for its home, the salt land for its dwelling place?
헬라어구약Septuagint,6 εθεμην δε την διαιταν αυτου ερημον και τα σκηνωματα αυτου αλμυριδα
라틴어Vulgate,6 cui dedi in solitudine domum et tabernacula eius in terra salsuginis
히브리어구약BHS,6 אֲשֶׁר־שַׂמְתִּי עֲרָבָה בֵיתֹו וּמִשְׁכְּנֹותָיו מְלֵחָה׃
성 경: [욥39:6]
주제1: [하나님의 첫 번째 말씀(2)]
주제2: [들짐승을 다스리시는 하나님]
내가 들로 그 집을 - 들나귀와 빠른 나귀가 거주하는 곳을 광야로 정했다는 의미로, 이는 사람들이 거주지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들나귀의 야수성을 시사한다(24:5;렘 2:24).
짠 땅(*, 메레하) - 원어의 의미는 '소금의 땅'(NIV, RSV)이다. 들나귀는 염분이 있는 습지와 풀을 좋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특별히 소금기의 섭취를 위해 염분이 많은 땅을 핥는다고 한다(시 107:34).
이세하크 라하몬 키르야 테슈오트 노게스 로 이쉬마
개역개정,7 들나귀는 성읍에서 지껄이는 소리를 비웃나니 나귀 치는 사람이 지르는 소리는 그것에게 들리지 아니하며
새번역,7 들나귀가 시끄러운 성읍에서 멀리 떨어져 있으므로, 아무도 들나귀를 길들이지 못하고, 일을 시키지도 못한다.
우리말성경,7 들나귀는 마을의 북적댐을 보고 비웃고 나귀 모는 사람의 소리도 무시한다.
가톨릭성경,7 그것은 성읍의 소란을 비웃고 몰이꾼의 고함을 듣는 일 없이
영어NIV,7 He laughs at the commotion in the town; he does not hear a driver's shout.
영어NASB,7 "He scorns the tumult of the city, The shoutings of the driver he does not hear.
영어MSG,7 He laughs at his city cousins, who are harnessed and harried. He's oblivious to the cries of teamsters.
영어NRSV,7 It scorns the tumult of the city; it does not hear the shouts of the driver.
헬라어구약Septuagint,7 καταγελων πολυοχλιας πολεως μεμψιν δε φορολογου ουκ ακουων
라틴어Vulgate,7 contemnit multitudinem civitatis clamorem exactoris non audit
히브리어구약BHS,7 יִשְׂחַק לַהֲמֹון קִרְיָה תְּשֻׁאֹות נֹוגֵשׂ לֹא יִשְׁמָע׃
성 경: [욥39:7]
주제1: [하나님의 첫 번째 말씀(2)]
주제2: [들짐승을 다스리시는 하나님]
들나귀는...업신여기니 - 본절의 '지꺼리는 것'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하몬'(*)은 성읍 군중들의 시끄럽게 떠드는 소리, 즉 '큰소리로 말함', '떠들썩함', '소요함'들을 가리킨다. 그리고 '업신여기다'의 '사하크'(*)는 '비웃다', '냉소하다', '조소하다'란 뜻으로 매우 경멸적인 조롱을 의미한다. 그래서 본절은 들나귀가 성읍에서 모여 살아가는 많은 군중들과 그들의 소란함을 싫어하는 습성을 묘사한다. 이것은 들나귀들이 사람들을 두려워해서가 아니라, 그들에게 예속당하는 삶을 좋아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이는 들나귀에게 부여된 자유로운 습성과 야수적 특성 때문이다.
어거하는 자의...아니하며 - '어거하는 자'(*, 누가스)는 '가까이 끌다','접근하다', '끌어내다'의 '나가쉬'(*)에서 파생한 용어로, '(짐승을) 모는 사람', '압제자', '간역자' 등을 가리킨다. 그러나 본절에서는 단순히 '마부'나 '가축상인' 등을 뜻하는 것 같다. 그래서 길들여진 나귀와는 달리 들나귀는 자신을 가축으로 삼으려는 인간들의 외침을 아예 외면하고, 오히려 그들의 접근을 무시함을 나타낸다.
예투르 하림 미르에후 웨아하르 콜 야로크 이드로쉬
개역개정,8 초장 언덕으로 두루 다니며 여러 가지 푸른 풀을 찾느니라
새번역,8 산은 들나귀가 마음껏 풀을 뜯는 초장이다. 푸른 풀은 들나귀가 찾는 먹이다.
우리말성경,8 산지가 그의 초장이니 푸른 것이 있는 데마다 찾아다닌다.
가톨릭성경,8 제 목초지인 산들을 기웃거리며 온갖 풀을 찾아다닌다.
영어NIV,8 He ranges the hills for his pasture and searches for any green thing.
영어NASB,8 "He explores the mountains for his pasture, And he searches after every green thing.
영어MSG,8 He grazes freely through the hills, nibbling anything that's green.
영어NRSV,8 It ranges the mountains as its pasture, and it searches after every green thing.
헬라어구약Septuagint,8 κατασκεψεται ορη νομην αυτου και οπισω παντος χλωρου ζητει
라틴어Vulgate,8 circumspicit montes pascuae suae et virentia quaeque perquirit
히브리어구약BHS,8 יְתוּר הָרִים מִרְעֵהוּ וְאַחַר כָּל־יָרֹוק יִדְרֹושׁ׃
성 경: [욥39:8]
주제1: [하나님의 첫 번째 말씀(2)]
주제2: [들짐승을 다스리시는 하나님]
초장이 된 산으로 두루 다니며 - 여기서 '산'(*, 하르)은 사람이 근접하기 어려운 비탈진 언덕이나 바위 등성, 또는 언덕들이 연이어서 줄지어 있음으로 해서 형성된 매우 험한 곳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왜냐하면 들나귀는 흔한 일반적인 산에는 살지 않기 때문이다(Rawlinson). 한편, 본절에 언급된 '두루다니다'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예투르'(*)는 '찾다', '탐색하다'의 '투르'(*)에서 파생된 말로 먹이를 찾아 열심히 배회하는 들나귀의 모습을 잘 표현한 용어이다.
여러 가지 푸른 것을 찾느니라 - 즉, 들나귀의 거주지에는 광활하고 풍부한 초장이없기 때문에 그들은 작은 목초지라도 얻기 위해 열심히 광야의 산들을 탐색하고 다닌다.
하요베 렘 아베데카 임 야린 알 아보세카
개역개정,9 들소가 어찌 기꺼이 너를 위하여 일하겠으며 네 외양간에 머물겠느냐
새번역,9 들소가 네 일을 거들어 주겠느냐? 들소가 네 외양간에서 잠을 자겠느냐?
우리말성경,9 들소가 너를 기쁘게 섬기겠느냐? 네 구유 옆에서 가만히 있겠느냐?
가톨릭성경,9 들소가 너를 섬기려 하겠느냐? 네 구유 옆에서 밤을 지내겠느냐?
영어NIV,9 "Will the wild ox consent to serve you? Will he stay by your manger at night?
영어NASB,9 "Will the wild ox consent to serve you? Or will he spend the night at your manger?
영어MSG,9 "Will the wild buffalo condescend to serve you, volunteer to spend the night in your barn?
영어NRSV,9 "Is the wild ox willing to serve you? Will it spend the night at your crib?
헬라어구약Septuagint,9 βουλησεται δε σοι μονοκερως δουλευσαι η κοιμηθηναι επι φατνης σου
라틴어Vulgate,9 numquid volet rinoceros servire tibi aut morabitur ad praesepe tuum
히브리어구약BHS,9 הֲיֹאבֶה רֵּימ* עָבְדֶךָ אִם־יָלִין עַל־אֲבוּסֶךָ׃
성 경: [욥39:9]
주제1: [하나님의 첫 번째 말씀(2)]
주제2: [들짐승을 다스리시는 하나님]
들소(*, 레엠) - 이 동물은 구약 성경에 다음과 같은 특성을 지닌 짐승으로 자주 나타나고 있다. 즉, (1)강한 힘을 가졌고(민 23:22;24:8), (2)위험하고(시22:21), 고상하고(시 92:10), 위엄있는(신 33:17) 뿔을 가졌으며, (3)힘차고 정열적인(시 29:6) 모습을 가진 동물로 언급되고 있다. 70인역(LXX)은 이를 '외뿔 들소'(KJV,unicorn)라고 부르며, 벌게이트역(Vulgate)은 '무소'(rhinoceros)라고 한다. 혹자는 이를 소과에 속하는 거칠고 힘이 센 영양 종류라고 하나(Lange), 현대의 학자들은 대부분 'Bos primigenius'(원시 소)라는 데에 의견을 같이한다.
외양간에 머물겠느냐 - '외양간'을 가리키는 히브리어 '에부스'(*)는 '먹이를 주다', '살찌게 하다'의 '아바스'(*)에서 파생된 명사형으로 '곳간', '저장소' 또는 '오두막'을 가리킨다. 그리고 '머물다'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룬'(*)은 직역하면 '밤을 지새우다'란 뜻이다. 즉, 본절은 들판에서만 잠을 자던 들소를 욥의 오두막에서 묵게 할 수 있느냐는 것이다. 이는 욥에게는 거친 들소를 온순히 길들일 수 있는 능력이 없음을 강하게 나타내고 있다.
하티크솰 렘 베텔렘 아보토 임 예사데드 아마킴 아하레카
개역개정,10 네가 능히 줄로 매어 들소가 이랑을 갈게 하겠느냐 그것이 어찌 골짜기에서 너를 따라 써레를 끌겠느냐
새번역,10 네가 들소에게 쟁기를 매어 주어서, 밭을 갈게 할 수 있느냐? 들소들이 네 말을 따라서 밭을 갈겠느냐?
우리말성경,10 네가 들소를 밭고랑에 줄로 묶어 둘 수 있느냐? 그것이 네 뒤에서 골짜기를 경작하겠느냐?
가톨릭성경,10 너는 밧줄로 들소를 고랑에다 맬 수 있느냐? 그것이 네 뒤를 따라 골짜기를 갈겠느냐?
영어NIV,10 Can you hold him to the furrow with a harness? Will he till the valleys behind you?
영어NASB,10 "Can you bind the wild ox in a furrow with ropes? Or will he harrow the valleys after you?
영어MSG,10 Can you imagine hitching your plow to a buffalo and getting him to till your fields?
영어NRSV,10 Can you tie it in the furrow with ropes, or will it harrow the valleys after you?
헬라어구약Septuagint,10 δησεις δε εν ιμασι ζυγον αυτου η ελκυσει σου αυλακας εν πεδιω
라틴어Vulgate,10 numquid alligabis rinocerota ad arandum loro tuo aut confringet glebas vallium post te
히브리어구약BHS,10 הֲתִקְשָׁר־רֵים בְּתֶלֶם עֲבֹתֹו אִם־יְשַׂדֵּד עֲמָקִים אַחֲרֶיךָ׃
성 경: [욥39:10]
주제1: [하나님의 첫 번째 말씀(2)]
주제2: [들짐승을 다스리시는 하나님]
네가 능히...갈게 하겠느냐 - 여기에서 '이랑'(*, 텔렘)은 밭고랑을 뜻하며(31:38), '줄'(*, 아보트)은 일반적으로 꼰 끈을 말하나 본절에서는 '고삐 매는 줄'을 가리킨다. 즉, 하나님께서는 들소를 가축과 같이 마음대로 결박할 수 있느냐고 욥에게 묻고 계시는 것이다.
쓰레를 끌겠느냐 - 이에 해당하가 히브리어 '사다드'(*)는 흙덩이를 깨뜨리는 것으로 써레질을 한다는 의미이다. 사실 써레질은 쟁기와는 달리 동물이 사람을 뒤따르기 때문에, 이는 들소를 강제로 일을 시킬 수 없음을 역설적으로 힐문한 것이다. 욥은 과거에 무슨 일이든지 할 수 있는 권세를 가지고 있었지만, 들소로 하여금 써레질을 하게 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었다. 왜냐하면 들소에게는 인간에게 길들여지지 않는 특성이 있기 때문이다.
하티브타흐 보 키 랍 코호 웨하아좁 엘라우 예기에카
개역개정,11 그것이 힘이 세다고 네가 그것을 의지하겠느냐 네 수고를 그것에게 맡기겠느냐
새번역,11 들소가 힘이 센 것은 사실이지만, 네가 하기 힘든 일을 들소에게 떠맡길 수 있겠느냐?
우리말성경,11 들소가 힘이 세다고 네가 의지하겠느냐? 네가 들소에게 무거운 짐을 지우겠느냐?
가톨릭성경,11 그 힘이 세다고 네가 그것을 신뢰할 수 있으며 네 일을 그것에게 맡길 수 있느냐?
영어NIV,11 Will you rely on him for his great strength? Will you leave your heavy work to him?
영어NASB,11 "Will you trust him because his strength is great And leave your labor to him?
영어MSG,11 He's hugely strong, yes, but could you trust him, would you dare turn the job over to him?
영어NRSV,11 Will you depend on it because its strength is great, and will you hand over your labor to it?
헬라어구약Septuagint,11 πεποιθας δε επ' αυτω οτι πολλη η ισχυς αυτου επαφησεις δε αυτω τα εργα σου
라틴어Vulgate,11 numquid fiduciam habebis in magna fortitudine eius et derelinques ei labores tuos
히브리어구약BHS,11 הֲתִבְטַח־בֹּו כִּי־רַב כֹּחֹו וְתַעֲזֹב אֵלָיו יְגִיעֶךָ׃
성 경: [욥39:11]
주제1: [하나님의 첫 번째 말씀(2)]
주제2: [들짐승을 다스리시는 하나님]
네 수고하는 일을...맡기겠느냐 - 욥이 자기의 나귀나 황소를 가사나 농사 일을 위해 활용할 수는 있다. 그러나 더 큰 힘이 필요하다고 해서 들소에게 써레질을 시키지는 못한다. 또한 밭일을 시켜서 소출을 얻도록 만들 수도 없다. 그것은 들소가 자기를 위해 기꺼이 일해 줄 것이라고 신뢰하지 못할 대상이기 때문일 뿐만 아니라, 들소를 자기 마음대로 사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하물며 하나님의 계획과 일들이 자기가 원하는 대로 성취되어야만 한다고 생각하는 것은 얼마나 어리석은 일인가!
하타아민 보 키 야슙 야쉽 잘에카 웨고르네카 예에소프
개역개정,12 그것이 네 곡식을 집으로 실어 오며 네 타작 마당에 곡식 모으기를 그것에게 의탁하겠느냐
새번역,12 들소가, 심은 것을 거두어들여서 타작 마당에 쌓아 줄 것 같으냐?
우리말성경,12 네가 네 곡식을 가져와 타작 마당에 모으는 일을 들소에게 맡기겠느냐?
가톨릭성경,12 너는 그것이 돌아오리라고, 네 곡식을 타작마당으로 모아들이리라고 믿느냐?
영어NIV,12 Can you trust him to bring in your grain and gather it to your threshing floor?
영어NASB,12 "Will you have faith in him that he will return your grain, And gather it from your threshing floor?
영어MSG,12 You wouldn't for a minute depend on him, would you, to do what you said when you said it?
영어NRSV,12 Do you have faith in it that it will return, and bring your grain to your threshing floor?
헬라어구약Septuagint,12 πιστευσεις δε οτι αποδωσει σοι τον σπορον εισοισει δε σου τον αλωνα
라틴어Vulgate,12 numquid credes ei quoniam reddat sementem tibi et aream tuam congreget
히브리어구약BHS,12 הֲתַאֲמִין בֹּו כִּי־[כ= יָשׁוּב] [ק= יָשִׁיב] זַרְעֶךָ וְגָרְנְךָ יֶאֱסֹף׃
성 경: [욥39:12]
주제1: [하나님의 첫 번째 말씀(2)]
주제2: [들짐승을 다스리시는 하나님]
그것이 네 곡식을...의탁하겠느냐 - 이 말은 만약 '추수한 곡식을 실어 오도록 들소를 모냈다고 하더라도, 그것이 집으로 다시 돌아올 것을 기대할 수 없다'라는 의미이다(Driver & Gray). 여기서 '곡식'을 가리키는 히브리어 '제로아'(*)는 원래 씨를 뜻하지만(KJV), 여기서는 수확된 곡물, 즉 성숙한 종자를 가리킨다(사 23:3;학2:19). 그리고 '타작 마당'(*, 고렌)은 밭 어귀의 평평한 약간 높은 곳이나 곡식이 쌓여 있는 바람이 잘 부는 곳으로 곡식을 탈곡하는 장소이다. 그런데 혹자는 본절의 '고렌'을 환유적 의미로 파악하여 곡물 자체로 생각하기도 한다(B.Davidson). 여하튼 들소의 힘은 농사에 관한 모든 일을 수행하기에 적합하지만, 그것의 야수적인 본성 때문에 욥이 원하는 일을 하지 않을 것임이 분명하다.
케나프 레나님 네엘라사 임 에브라 하시다 웨노차
개역개정,13 타조는 즐거이 날개를 치나 학의 깃털과 날개 같겠느냐
새번역,13 타조가 날개를 재빠르게 치기는 하지만, 황새처럼 날지는 못한다.
우리말성경,13 타조가 재빠르게 날개짓을 한다마는 그 날개와 깃털이 황새만은 못하지 않느냐?
가톨릭성경,13 타조가 날개를 즐겁게 푸덕댄다고 과연 그것이 황새의 깃이며 털이 될 수 있느냐?
영어NIV,13 "The wings of the ostrich flap joyfully, but they cannot compare with the pinions and feathers of the stork.
영어NASB,13 "The ostriches' wings flap joyously With the pinion and plumage of love,
영어MSG,13 "The ostrich flaps her wings futilely-- all those beautiful feathers, but useless!
영어NRSV,13 "The ostrich's wings flap wildly, though its pinions lack plumage.
헬라어구약Septuagint,13 πτερυξ τερπομενων νεελασα εαν συλλαβη ασιδα και νεσσα
라틴어Vulgate,13 pinna strutionum similis est pinnis herodii et accipitris
히브리어구약BHS,13 כְּנַף־רְנָנִים נֶעֱלָסָה אִם־אֶבְרָה חֲסִידָה וְנֹצָה׃
성 경: [욥39:13]
주제1: [하나님의 첫 번째 말씀(2)]
주제2: [타조를 어리석게 하시는 하나님]
타조(*, 레나님) - '외치다'의 '라난'(*)에서 파생한 복수 명사형으로 날카로운 소리로 우는 새, 또는 슬퍼서 째지는 듯한 소리를 내는 새를 가리키는데, 일반적으로 암타조를 말한다. 그런데 본문에서는 암타조의 야수성과 어리석음이 하나님의 창조와 지혜를 입증하기 위해 역설적으로 사용되었다.
즐거이 그 날개를 친다마는 - '즐거이 치다'의 '알라스'(*)는 원래 '크게 기뻐하다'란 뜻으로(20:18), 타조의 날개가 뽐내며 움직이는 것을 나타낸다(RSV).
그 깃과 털이 인자를 베푸느냐 - 본절은 해석하기가 매우 난해한 구절이다. 직역하면 '그것이 인자한 깃과 털이냐?'(RSV), 즉 '타조는 부드러운 날개와 사랑스런 깃털을 가지고 있느냐?'라는 말이다. 그런데, 이와는 달리 '인자'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하시다'(*)를 '황해'(stork)로 보는 경향이 학계에는 만만치 않게 대두되고 있다. 그래서 새끼를 다루는데 매우 세심하고 애정이 깊은 황새를 타조와 비교하는 것으로 본절을 해석하는 경우가 왕왕 있는데, 이때는 본절이 '그것이 황새의 깃과 털에 비교될 수는 없다'(NIV)란 의미가 된다. 그리고 또 다른 해석이 있는데 이것은 '하시다'(*)를 '결핍', '부족'이란 뜻의 '하세라'(*)로 바꾸는 것이다. 이 경우엔 '타조의 깃털이 부족할지라도'라는 의미로 그 뜻이 변하게 된다. 그러나 본절은 타조의 무정함과 지혜 없음을 예증하는 구절이다. 즉, 본절의 의미는 타조의 날개가 비록 뽐내며 푸드덕거리지만, 그 깃과 털은 황새의 그것과 같지 않다는 뜻이다. 이러한 본절은 타조에게는 황새와 같이-알을 품고 새끼를 까는 과정에 있어서-애정어린 관심과 세심하게 돌보는 마음이 없음을 나타낸다.
키 타아좁 라아레츠 베체하 웨알 아파르 테함멤
개역개정,14 그것이 알을 땅에 버려두어 흙에서 더워지게 하고
새번역,14 타조가 땅바닥에다가 알을 낳는 것은, 흙이 그 알을 따스하게 해주기를 바라기 때문이다.
우리말성경,14 타조는 그 알들을 땅에 낳고 흙 속에서 따뜻하게 되도록 내버려 두고
가톨릭성경,14 타조는 땅에 알을 낳아 놓고 흙 위에서 따뜻해지라고 버려두고서는
영어NIV,14 She lays her eggs on the ground and lets them warm in the sand,
영어NASB,14 For she abandons her eggs to the earth, And warms them in the dust,
영어MSG,14 She lays her eggs on the hard ground, leaves them there in the dirt, exposed to the weather,
영어NRSV,14 For it leaves its eggs to the earth, and lets them be warmed on the ground,
헬라어구약Septuagint,14 οτι αφησει εις γην τα ωα αυτης και επι χουν θαλψει
라틴어Vulgate,14 quando derelinquit in terra ova sua tu forsitan in pulvere calefacis ea
히브리어구약BHS,14 כִּי־תַעֲזֹב לָאָרֶץ בֵּצֶיהָ וְעַל־עָפָר תְּחַםֵּם׃
성 경: [욥39:14]
주제1: [하나님의 첫 번째 말씀(2)]
주제2: [타조를 어리석게 하시는 하나님]
그것이 알을 땅에 버려 두어 - 여기에서 '버리다'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아자브'(*)는 '놓다', '두다', '떠나다'란 뜻으로 은밀한 장소에 알을 숨기지 않고 함부로 방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타조에게 본능적으로 자기 알을 땅 위 아무 곳에서나 까버리는 속성이 있음을 나타낸다.
모래에서 더워지게 하고 - 일반적으로 타조는 모래 속에 알을 넣고 태양열로써 부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Delitzsch). 그러나 해가 진 밤중에는 알을 타조가 직접 품는다는 기록도 있다(Rawlinson). 어쨌든 본절의 강조점은 모래에서 그 알이 부화되고 있다는 것인데, 이것은 알을 부화시키는 과정에서 타조의 역할이 매우 미미하다는 것을 암시한다.
와티쉬카흐 키 레겔 테주레하 웨하야트 핫사데 테두쉐하
개역개정,15 발에 깨어질 것이나 들짐승에게 밟힐 것을 생각하지 아니하고
새번역,15 그러나 그 알이 발에 밟혀서 깨어질 수 있음을 알지 못한다. 들짐승이 그 알을 짓밟을 수도 있음을 알지 못한다.
우리말성경,15 누가 발로 밟든, 들짐승이 깨뜨리든 상관 않고 잊어버린다.
가톨릭성경,15 그것을 발이 뭉개는지, 들짐승이 짓밟는지 잊어버리고 만다.
영어NIV,15 unmindful that a foot may crush them, that some wild animal may trample them.
영어NASB,15 And she forgets that a foot may crush them, Or that a wild beast may trample them.
영어MSG,15 Not caring that they might get stepped on and cracked or trampled by some wild animal.
영어NRSV,15 forgetting that a foot may crush them, and that a wild animal may trample them.
헬라어구약Septuagint,15 και επελαθετο οτι πους σκορπιει και θηρια αγρου καταπατησει
라틴어Vulgate,15 obliviscitur quod pes conculcet ea aut bestiae agri conterant
히브리어구약BHS,15 וַתִּשְׁכַּח כִּי־רֶגֶל תְּזוּרֶהָ וְחַיַּת הַשָּׂדֶה תְּדוּשֶׁהָ׃
성 경: [욥39:15]
주제1: [하나님의 첫 번째 말씀(2)]
주제2: [타조를 어리석게 하시는 하나님]
발에...생각지 아니하고 - 타조의 많은 알들 가운데 일부는 모래로 덮혀 있지만, 상당수가 모래 위에 그냥 방치되어 있다. 그러기에 자기의 발에 밟힐 수도 있고, 다른 들짐승의 먹이가 될 수도 있다. 그러나 타조는 그러한 것에 관심을 두지 않는다. 한편 이와 같은 알의 부화에 대한 타조의 무관심이 어떤 특별한 경우에는 매우 잔인하게 나타난다고 한다. 즉, 자기의 보금자리가 다른 동물에 의해 발견되어진 것들을 타조가 알면 자신의 알을 짓밟아 깨뜨리고 다른 곳에 보금자리를 새롭게 만든다는 것이다(Delitzsch).
히케쉬아흐 바네하 렐로 라흐 레리크 예기아흐 벨리 파하드
개역개정,16 그 새끼에게 모질게 대함이 제 새끼가 아닌 것처럼 하며 그 고생한 것이 헛되게 될지라도 두려워하지 아니하나니
새번역,16 타조는 알을 거칠게 다루기를 마치 제가 낳은 알이 아닌 것같이 하고, 알을 낳는 일이 헛수고가 되지나 않을까 하고 걱정도 하지 못하니,
우리말성경,16 타조는 자기 새끼가 제 것이 아닌 듯 신경 쓰지 않는다. 산고가 헛수고가 되는 것쯤은 두렵지 않다.
가톨릭성경,16 새끼들을 제 것이 아닌 양 거칠게 다루고 제 노고가 허사 됨을 두려워하지도 않으니
영어NIV,16 She treats her young harshly, as if they were not hers; she cares not that her labor was in vain,
영어NASB,16 "She treats her young cruelly, as if they were not hers; Though her labor be in vain, she is unconcerned;
영어MSG,16 She's negligent with her young, as if they weren't even hers. She cares nothing about anything.
영어NRSV,16 It deals cruelly with its young, as if they were not its own; though its labor should be in vain, yet it has no fear;
헬라어구약Septuagint,16 απεσκληρυνεν τα τεκνα αυτης ωστε μη εαυτη εις κενον εκοπιασεν ανευ φοβου
라틴어Vulgate,16 duratur ad filios suos quasi non sint sui frustra laboravit nullo timore cogente
히브리어구약BHS,16 הִקְשִׁיחַ בָּנֶיהָ לְּלֹא־לָהּ לְרִיק יְגִיעָהּ בְּלִי־פָחַד׃
성 경: [욥39:16]
주제1: [하나님의 첫 번째 말씀(2)]
주제2: [타조를 어리석게 하시는 하나님]
그 새끼에게 무정함 - '무정함'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카솨흐'(*)는 '강퍅하게 하다', '무지하게 대하다'란 뜻으로, 새끼들을 거칠게 다루는 것을 의미한다(NIV,RSV). 사실 자기 새끼가 아닌 것처럼 잔혹하게 다루는 타조의 습성은 애가서에도 언급되어 있어 타조의 무정은 일반적이기까지 하다(애 4:3). 그러나 타조에게도 새끼들을 위험에서 보호하려는 본능이 있음을 지적하는 학자도 있어(Rawlinson)어느 정도는 보호 본능이 있는 것으로 판명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조가 새끼들에게 무정한 동물이라는 사실에는 변함이 없다.
키 핫솨흐 엘로하 호크마 웨로 할랔 라흐 밥비나
개역개정,17 이는 하나님이 지혜를 베풀지 아니하셨고 총명을 주지 아니함이라
새번역,17 이것은 나 하나님이 타조를 어리석은 짐승으로 만들고, 지혜를 주지 않았기 때문이다.
우리말성경,17 이는 나 하나님이 타조에게서 지혜를 없애고 지각을 주지 않았기 때문이다.
가톨릭성경,17 하느님께서 그것에게 지혜를 허락하지 않으시고 슬기를 나누어 주지 않으셨기 때문이다.
영어NIV,17 for God did not endow her with wisdom or give her a share of good sense.
영어NASB,17 Because God has made her forget wisdom, And has not given her a share of understanding.
영어MSG,17 She wasn't created very smart, that's for sure, wasn't given her share of good sense.
영어NRSV,17 because God has made it forget wisdom, and given it no share in understanding.
헬라어구약Septuagint,17 οτι κατεσιωπησεν αυτη ο θεος σοφιαν και ουκ εμερισεν αυτη εν τη συνεσει
라틴어Vulgate,17 privavit enim eam Deus sapientia nec dedit illi intellegentiam
히브리어구약BHS,17 כִּי־הִשָּׁהּ אֱלֹוהַּ חָכְמָה וְלֹא־חָלַק לָהּ בַּבִּינָה׃
성 경: [욥39:17]
주제1: [하나님의 첫 번째 말씀(2)]
주제2: [타조를 어리석게 하시는 하나님]
타조가 어리석은 행위를 하는 것은 하나님께서 지혜를 주시지 않았기 때문이다. 본문의 '품부하다'에 해당하는 '나솨'(*)는 '빌려주다'란 뜻으로 어떤 것을 증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세상의 모든 지혜가 하나님께로부터 비롯되었음을 암시한다. 그리고 '주다'의 '할라크'(*)도 어떤 것을 분배하여 소유하게 한다는 뜻으로, 지혜가 분깃으로 나뉘어 지는 것임을 시사한다. 그런데 타조는 하나님으로부터 이와 같은 지혜를 분배받지 못했기 때문에 어리석은 동물이 된 것이다.
카에트 밤마롬 탐리 티세하크 랏수스 우레로케보
개역개정,18 그러나 그것이 몸을 떨쳐 뛰어갈 때에는 말과 그 위에 탄 자를 우습게 여기느니라
새번역,18 그러나 타조가 한 번 날개를 치면서 달리기만 하면, 말이나 말 탄 사람쯤은 우습게 여긴다.
우리말성경,18 그러나 타조가 그 몸을 높이 쳐들고 뛸 때는 말과 그 기수를 우습게 여기는 법이다.
가톨릭성경,18 그러나 그것은 날개를 높이 칠 때면 말과 기수를 우습게 여긴다.
영어NIV,18 Yet when she spreads her feathers to run, she laughs at horse and rider.
영어NASB,18 "When she lifts herself on high, She laughs at the horse and his rider.
영어MSG,18 But when she runs, oh, how she runs, laughing, leaving horse and rider in the dust.
영어NRSV,18 When it spreads its plumes aloft, it laughs at the horse and its rider.
헬라어구약Septuagint,18 κατα καιρον εν υψει υψωσει καταγελασεται ιππου και του επιβατου αυτου
라틴어Vulgate,18 cum tempus fuerit in altum alas erigit deridet equitem et ascensorem eius
히브리어구약BHS,18 כָּעֵת בַּמָּרֹום תַּמְרִיא תִּשְׂחַק לַסּוּס וּלְרֹכְבֹו׃
성 경: [욥39:18]
주제1: [하나님의 첫 번째 말씀(2)]
주제2: [타조를 어리석게 하시는 하나님]
그러나...떨쳐 뛰어갈 때에는 - '떨쳐 뛰어가다'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바마롬 타므리'(*)는 '높이 일어나다'의 '룸'(*)과 '날개치다'의 '마라'(*)를 연결한 것이다. 이것은 암타조가 달릴 때 꼬리를 깃털을 돛처럼 높이 펼쳐 세우는 모습을 시사하는 것 같다. 즉 이것은 암타조가 사냥꾼이나 다른 추적자로부터 몸을 피하기 위해 매우 빨리 도망치는 모습인데, 이때에 암타조는 먼저 다리를 쭉 뻗어 몸을 세운 다음, 꼬리 깃털을 펼치고 신속하게 달린다(NIV, RSV).
하티텐 랏수스 게부라 하탈비쉬 차와로 라마
개역개정,19 말의 힘을 네가 주었느냐 그 목에 흩날리는 갈기를 네가 입혔느냐
새번역,19 욥은 대답해 보아라. 말에게 강한 힘을 준 것이 너냐? 그 목에 흩날리는 갈기를 달아 준 것이 너냐?
우리말성경,19 네가 말에게 힘을 주었느냐? 휘날리는 갈기를 그 목에 둘러 주었느냐?
가톨릭성경,19 너는 말에게 힘을 넣어 줄 수 있느냐? 그 목을 갈기로 입힐 수 있느냐?
영어NIV,19 "Do you give the horse his strength or clothe his neck with a flowing mane?
영어NASB,19 "Do you give the horse his might? Do you clothe his neck with a mane?
영어MSG,19 "Are you the one who gave the horse his prowess and adorned him with a shimmering mane?
영어NRSV,19 "Do you give the horse its might? Do you clothe its neck with mane?
헬라어구약Septuagint,19 η συ περιεθηκας ιππω δυναμιν ενεδυσας δε τραχηλω αυτου φοβον
라틴어Vulgate,19 numquid praebebis equo fortitudinem aut circumdabis collo eius hinnitum
히브리어구약BHS,19 הֲתִתֵּן לַסּוּס גְּבוּרָה הֲתַלְבִּישׁ צַוָּארֹו רַעְמָה׃
성 경: [욥39:19]
주제1: [하나님의 첫 번째 말씀(2)]
주제2: [말에게 힘과 용맹을 주시는 하나님]
말(*, 수스) - 여기서는 특별히 전쟁용 군마를 언급한다.
힘을 네가 주었느냐 - '힘'에 해당하는 '게부라'(*)는 매우 강력한 힘을가리키는데, 그것은 군마의 열정과 흥분, 그리고 겁없는 용맹성과 담대성을 시사한다.
그 목에...입혔느냐 - '흩날리는 갈기'로 번역된 '라아마'(*)는 '천둥치다'의 '라암'(*)에서 파생되었지만, '천둥'(KJV, thunder)이란 뜻보다는 '떨다','진동하다'란 의미가 더 적합한 듯하다. 이것을 (1)공포(70인역), (2)말의 울음(벌게이트역), (3)투구(수리아역), (4)힘(탈굼역, RSV), (5)흘러내린 갈기(NIV) 등으로 다양하게 해석하지만, 그중에서 (5)의 견해가 가장 타당한 것으로 이해된다. 이처럼 욥에게는 바람에 흩날리는 갈기의 멋진 모습을 보고서 감탄할 수 있는 감성은 있지만 그것을 직접 만들어서 말의 목에 입힐 수 있는 능력은 없는 것이다.
헤타르이쉔누 카아르베 호드 나흐로 에마
개역개정,20 네가 그것으로 메뚜기처럼 뛰게 하였느냐 그 위엄스러운 콧소리가 두려우니라
새번역,20 네가 말을 메뚜기처럼 뛰게 만들었느냐? 사람을 두렵게 하는 그 위세 당당한 콧소리를 네가 만들어 주었느냐?
우리말성경,20 네가 말이 메뚜기처럼 잘 뛰게 할 수 있느냐? 그 위엄 있는 콧소리가 무섭지 않느냐?
가톨릭성경,20 너는 말을 메뚜기처럼 뛰게 할 수 있느냐? 거만한 콧김으로 공포를 자아내는 그런 말을?
영어NIV,20 Do you make him leap like a locust, striking terror with his proud snorting?
영어NASB,20 "Do you make him leap like the locust? His majestic snorting is terrible.
영어MSG,20 Did you create him to prance proudly and strike terror with his royal snorts?
영어NRSV,20 Do you make it leap like the locust? Its majestic snorting is terrible.
헬라어구약Septuagint,20 περιεθηκας δε αυτω πανοπλιαν δοξαν δε στηθεων αυτου τολμη
라틴어Vulgate,20 numquid suscitabis eum quasi lucustas gloria narium eius terror
히브리어구약BHS,20 הְתַרְעִישֶׁנּוּ כָּאַרְבֶּה הֹוד נַחְרֹו אֵימָה׃
성 경: [욥39:20]
주제1: [하나님의 첫 번째 말씀(2)]
주제2: [말에게 힘과 용맹을 주시는 하나님]
네가...뛰게 하였느냐 - '뛰게 하다'의 '라아쉬'(*)는 원래 '흔들다', '떨게하다'란 뜻으로 어떤 물체를 진동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말이 놀라서 앞으로 뛰쳐나가는 모습을 상기시키는데, 혹자는 이를 말이 좌우로 반회전하며 회선형으로 뛰는 동작과 관련시켜 이해한다(Delitzsch). 그러나 어떤 학자는 땅이 흔들릴 때 농작물 위에서 메뚜기 떼가 하강하는 것처럼 말이 뽐내며 달려가는 것을 묘사한다고 한다(Gordis). 여하튼 본절은 군마를 메뚜기같이 뛰게 할 수 있는 능력이나 위엄이 욥에게는 없다는 사실을 강조하고 있다.
그 위엄스러운 콧소리가 두려우니라 - 여기서 '위엄'(*, 호드)은 콧소리의 우렁찬 울림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사실 말의 콧소리가 얼마나 우렁찬지 듣는 사람에 따라서는 공포를 느낄 정도이다.
야흐페루 바에메크 웨야시스 베코아흐 예체 리케라트 나쉐크
개역개정,21 그것이 골짜기에서 발굽질하고 힘 있음을 기뻐하며 앞으로 나아가서 군사들을 맞되
새번역,21 앞 발굽으로 땅을 마구 파 대면서 힘껏 앞으로 나가서 싸운다.
우리말성경,21 말은 앞발로 땅을 차며 그 힘을 과시하고 무장한 사람들을 맞으러 달려간다.
가톨릭성경,21 그것은 골짜기에서 기분 좋게 땅을 차다가 적의 무기를 향하여 힘차게 달려간다.
영어NIV,21 He paws fiercely, rejoicing in his strength, and charges into the fray.
영어NASB,21 "He paws in the valley, and rejoices in his strength; He goes out to meet the weapons.
영어MSG,21 He paws the ground fiercely, eager and spirited, then charges into the fray.
영어NRSV,21 It paws violently, exults mightily; it goes out to meet the weapons.
헬라어구약Septuagint,21 ανορυσσων εν πεδιω γαυρια εκπορευεται δε εις πεδιον εν ισχυι
라틴어Vulgate,21 terram ungula fodit exultat audacter in occursum pergit armatis
히브리어구약BHS,21 יַחְפְּרוּ בָעֵמֶק וְיָשִׂישׂ בְּכֹחַ יֵצֵא לִקְרַאת־נָשֶׁק׃
성 경: [욥39:21]
주제1: [하나님의 첫 번째 말씀(2)]
주제2: [말에게 힘과 용맹을 주시는 하나님]
골짜기에서 허위고 - '허위고'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하파르'(*)는 '파다'(dig), '탐색하다', '정탐하다', '앞발로 긁다'란 뜻이다. 이것은 주로 말이 앞발로 땅을 세게 차거나 긁는 모습을 묘사한다. 그런데 히브리어의 원문을 보면 '허위고'의주어가 단수가 아닌 복수이기 때문에 본문을 '말탄 자(군사)들이 골짜기에서 정찰(탐색)하다'란 뜻으로 생각하여 본절을 싸움의 시작을 가리키는 부분으로 이해하기도 한다(Lange). 그러나, 이와는 달리 대부분의 학자들은 말이 골짜기에 가득 차 있는 모습을 묘사한다고 본다(Driver & Gray, 사 22:7). 이때에 골짜기는 전투장이나 야영지로 생각할 수 있다(창 14:8;삿 7:1). 한편, '골짜기'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에메크'(*)를 우가릿어와 아카디아어에 연관시켜서 볼 때는 '맹렬하게'(fiercely)란 뜻으로 해석하기도 한다(NIV, Pope). 이 경우엔 땅을 맹렬하게 긁어대는 말의 힘센 모습을 나타낸 것이라고 볼 수 있다.
힘 있음을 기뻐하며 - 이는 전투를 앞에 두고 기뻐하는 전마(戰馬)의 열광적인 위용을 표현한다(Rawlinson). 이처럼 말의 힘은 말 스스로의 자신감에 의해 입증된다.
앞으로 나아가서 군사들을 맞되 - 원어를 문자적으로 직역하면 '말이 무기를 맞으러 앞으러 나아갔다'(RSV)란 뜻이다. 여기에서 '무기'의 '네쉐크'(*)는 '군사'또는 '싸움'(NIV, fray)을 의미하는데, 이는 군마의 위풍당당함과 공격적으로 돌격하는 모습을 묘사한 것이다.
이세하크 레파하드 웨로 예하트 웨로 야슈브 미페네 하레브
개역개정,22 두려움을 모르고 겁내지 아니하며 칼을 대할지라도 물러나지 아니하니
새번역,22 그것들은 두려움이라는 것을 모른다. 칼 앞에서도 돌아서지 않는다.
우리말성경,22 말은 두려움을 비웃고 무서움을 모르며 칼을 보아도 뒤를 보이지 않으니
가톨릭성경,22 두려움을 비웃으며 당황하지 않고 칼 앞에서도 돌아서지 않는다.
영어NIV,22 He laughs at fear, afraid of nothing; he does not shy away from the sword.
영어NASB,22 "He laughs at fear and is not dismayed; And he does not turn back from the sword.
영어MSG,22 He laughs at danger, fearless, doesn't shy away from the sword.
영어NRSV,22 It laughs at fear, and is not dismayed; it does not turn back from the sword.
헬라어구약Septuagint,22 συναντων βελει καταγελα και ου μη αποστραφη απο σιδηρου
라틴어Vulgate,22 contemnit pavorem nec cedit gladio
히브리어구약BHS,22 יִשְׂחַק לְפַחַד וְלֹא יֵחָת וְלֹא־יָשׁוּב מִפְּנֵי־חָרֶב׃
성 경: [욥39:22]
주제1: [하나님의 첫 번째 말씀(2)
]주제2: [말에게 힘과 용맹을 주시는 하나님]
두려움을 비웃고 - 7절 주석 참조. 칼을...아니하니 - 즉, 적들의 위험한 무기를 전혀 두려워하지 않고 용감하게 돌진하는 것을 말한다.
알라우 티르네 아쉬파 라합 하니트 웨키돈
개역개정,23 그의 머리 위에서는 화살통과 빛나는 창과 투창이 번쩍이며
새번역,23 말을 탄 용사의 화살통이 덜커덕 소리를 내며, 긴 창과 짧은 창이 햇빛에 번쩍인다.
우리말성경,23 화살통과 번쩍이는 창과 방패가 그 앞에서 흔들려도
가톨릭성경,23 그 위에서는 화살 통이 덩그렁거리고 창과 표창이 번뜩거리지만
영어NIV,23 The quiver rattles against his side, along with the flashing spear and lance.
영어NASB,23 "The quiver rattles against him, The flashing spear and javelin.
영어MSG,23 The banging and clanging of quiver and lance don't faze him.
영어NRSV,23 Upon it rattle the quiver, the flashing spear, and the javelin.
헬라어구약Septuagint,23 επ' αυτω γαυρια τοξον και μαχαιρα
라틴어Vulgate,23 super ipsum sonabit faretra vibrabit hasta et clypeus
히브리어구약BHS,23 עָלָיו תִּרְנֶה אַשְׁפָּה לַהַב חֲנִית וְכִידֹון׃
성 경: [욥39:23]
주제1: [하나님의 첫 번째 말씀(2)]
주제2: [말에게 힘과 용맹을 주시는 하나님]
전동(*, 아슈파) - 화살을 넣는 전통을 가리킨다. 이는 말 탄 자가 메거나말에다 메어 놓았다.
빛난 작은 창과 큰 창 - '작은 창'(*, 하니트)은 던질 수 있는 짧은 창으로 치명적인 무기를 말한다(삼상 18:11;20:33). 그리고 '큰 창'(*, 키돈)은 주로 투창을 가리키는 것으로 생각되어 왔다(41:29). 혹은 이를 창이 아닌 칼의 일종으로 간주해 '낫 모양의 칼', 또는 '초생달처럼 굽어진 곡선형 칼'(scimitar)로 이해하기도 하나 정확한 것은 아니다. 한편, '빛난'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라하브'(*)는 원래 '불꽃'을 뜻하나, 여기서는 창끝이나 칼날처럼 예리한 부분을 묘사하고 있다.
쟁쟁하며 - 이에 해당하는 동사 '라나'(*)는 '덜거덕거리다' 또는 '쟁쟁 거리는 소리를 내다'란 뜻으로, 화살통이 말의 목에 부딪히거나 창과 칼이 서로 부딪혀나는 소리를 표현한 것 같다.
베라아쉬 웨로게즈 예감메 아레츠 웨로 야아민 키 콜 쇼파르
개역개정,24 땅을 삼킬 듯이 맹렬히 성내며 나팔 소리에 머물러 서지 아니하고
새번역,24 나팔 소리만 들으면 머물러 서 있지 않고, 흥분하여, 성난 모습으로 땅을 박차면서 내달린다.
우리말성경,24 말은 힘차게, 무섭도록 한달음에 내달리고 나팔소리도 개의치 않는다.
가톨릭성경,24 흥분과 광포로 땅을 집어삼킬 듯 뿔 나팔 소리에도 멈추어 서지 않는다.
영어NIV,24 In frenzied excitement he eats up the ground; he cannot stand still when the trumpet sounds.
영어NASB,24 "With shaking and rage he races over the ground; And he does not stand still at the voice of the trumpet.
영어MSG,24 He quivers with excitement, and at the trumpet blast races off at a gallop.
영어NRSV,24 With fierceness and rage it swallows the ground; it cannot stand still at the sound of the trumpet.
헬라어구약Septuagint,24 και οργη αφανιει την γην και ου μη πιστευση εως αν σημανη σαλπιγξ
라틴어Vulgate,24 fervens et fremens sorbet terram nec reputat tubae sonare clangorem
히브리어구약BHS,24 בְּרַעַשׁ וְרֹגֶז יְגַמֶּא־אָרֶץ וְלֹא־יַאֲמִין כִּי־קֹול שֹׁופָר׃
성 경: [욥39:24]
주제1: [하나님의 첫 번째 말씀(2)]
주제2: [말에게 힘과 용맹을 주시는 하나님]
땅을 삼킬듯이 맹렬히 성내며 - '맹렬히'로 번역된 히브리어 '라아쉬'(*)는원래 덜커덩거리는 것을 나타내나, 여기서는 군마의 말발굽 소리를 가리킨다. 그리고 '성내며'에 해당하는 '로게즈'(*)는 말의 격노와 흥분을 묘사한다. 즉, 이것은 전쟁터를 매우 빨리 질주하는 말의 모습을 은유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땅을 삼키는 것에 비유되고 있다.
나팔 소리를...아니하고 - '머물러 서다'에 해당하는 '아만'(*)은 원래 '믿다', '신뢰하다', '양육하다'라는 뜻이기 때문에, 본절을 '말이 나팔 소리를 믿지 않는다'(KJV)라고 이해할 수도 있다. 이는 말이 너무 기쁘고 흥분한 나머지, 전투의 신호 소리를 전혀 믿지 않는 것을 뜻한다. 그러나 본절의 '아만'을 '제자리에 서 있다'란 뜻으로 보는 것이 더욱 타당하다. 즉, '나팔 소리가 날 때에 말은 가만히 서 있지 않는다'(NIV, RSV)란 의미로 본절을 해석해야 한다. 왜냐하면 본문은 전투의 시종을 알리는 나팔 소리가 울릴 때의 군마의 당당함과 위용스러운 기백, 즉 사기 추천한 모습을 묘사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베데 쇼팔 요말 헤아흐 우메라호크 야리아흐 밀하마 라암 사림 우테루아
개역개정,25 나팔 소리가 날 때마다 힝힝 울며 멀리서 싸움 냄새를 맡고 지휘관들의 호령과 외치는 소리를 듣느니라
새번역,25 나팔을 불 때마다, "힝힝" 하고 콧김을 뿜으며, 멀리서 벌어지는 전쟁 냄새를 맡고, 멀리서도 지휘관들의 호령과 고함 소리를 듣는다.
우리말성경,25 나팔소리가 울리면 말은 콧소리로 ‘히히힝!’ 하고는 멀리서부터 싸움 냄새를 맡고 장군들의 우레 같은 소리와 함성을 듣는다.
가톨릭성경,25 뿔 나팔이 울릴 때마다 " 히힝!" 하고 외치며 멀리서도 전투의 냄새를 맡고 장수들의 우레 같은 고함과 함성을 듣는다.
영어NIV,25 At the blast of the trumpet he snorts, 'Aha!' He catches the scent of battle from afar, the shout of commanders and the battle cry.
영어NASB,25 "As often as the trumpet sounds he says, 'Aha!' And he scents the battle from afar, And thunder of the captains, and the war cry.
영어MSG,25 At the sound of the trumpet he neighs mightily, smelling the excitement of battle from a long way off, catching the rolling thunder of the war cries.
영어NRSV,25 When the trumpet sounds, it says 'Aha!' From a distance it smells the battle, the thunder of the captains, and the shouting.
헬라어구약Septuagint,25 σαλπιγγος δε σημαινουσης λεγει ευγε πορρωθεν δε οσφραινεται πολεμου συν αλματι και κραυγη
라틴어Vulgate,25 ubi audierit bucinam dicet va procul odoratur bellum exhortationem ducum et ululatum exercitus
히브리어구약BHS,25 בְּדֵי שֹׁפָר יֹאמַר הֶאָח וּמֵרָחֹוק יָרִיחַ מִלְחָמָה רַעַם שָׂרִימ* וּתְרוּעָה׃
성 경: [욥39:25]
주제1: [하나님의 첫 번째 말씀(2)]
주제2: [말에게 힘과 용맹을 주시는 하나님]
나팔 소리 나는 대로 - '나는 대로'에 해당하는 '베데'(*)는 전치사 '베'(*)와 '충분한'을 뜻하는 '다이'(*)가 결합된 형태이다. 그래서 본절은 '나팔 소리가 날 때마다'란 뜻으로 해석된다. 그런데 이 나팔 소리는 주로 진격 명령을 알리는 전투 신호로 싸움의 진퇴(進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렘 4:19;암 3:6).
소소히 울며 - 원문을 직역하면 "'아하'(*, 헤아흐)라고 말하다"란 뜻이다. 그런데 '아하'는 주로 기쁨을 나타내는 감탄사로 사용되기 때문에(시 35:21;사 44:16;겔 25:3), 본절은 말이 전투를 기뻐하는 모습을 묘사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떠드는 소리 - 즉, 전쟁으로 인한 요란한 소리이다(NIV, battle cry). 아마 이것은 전투를 위한 군대의 행진을 나타내는 것 같다(왕하 7:6;사 5:29;렘 8:16).
함밉비나테카 야아벨 네츠 이프로스 케나포 케나파우 레테만
개역개정,26 매가 떠올라서 날개를 펼쳐 남쪽으로 향하는 것이 어찌 네 지혜로 말미암음이냐
새번역,26 매가 높이 솟아올라서 남쪽으로 날개를 펴고 날아가는 것이 네게서 배운 것이냐?
우리말성경,26 매가 떠올라서 남쪽으로 그 날개를 뻗고 나는 것이 네 지혜로 인한 것이냐?
가톨릭성경,26 네 슬기로 매가 날아오르고 남녘을 향해 그 날개를 펴느냐?
영어NIV,26 "Does the hawk take flight by your wisdom and spread his wings toward the south?
영어NASB,26 "Is it by your understanding that the hawk soars, Stretching his wings toward the south?
영어MSG,26 "Was it through your know how that the hawk learned to fly, soaring effortlessly on thermal updrafts?
영어NRSV,26 "Is it by your wisdom that the hawk soars, and spreads its wings toward the south?
헬라어구약Septuagint,26 εκ δε της σης επιστημης εστηκεν ιεραξ αναπετασας τας πτερυγας ακινητος καθορων τα προς νοτον
라틴어Vulgate,26 numquid per sapientiam tuam plumescit accipiter expandens alas suas ad austrum
히브리어구약BHS,26 הֲמִבִּינָתְךָ יַאֲבֶר־נֵץ יִפְרֹשׂ [כ= כְּנָפֹו] [ק= כְּנָפָיו] לְתֵימָן׃
성 경: [욥39:26]
주제1: [하나님의 첫 번째 말씀(2)]
주제2: [매와 독수리에게 지혜를 주신 하나님]
매(*, 네츠) - 레 11:16과 신 14:15에 나오는 '새매'(falcon)로서 매우 높이나는 것으로 유명하다. 특히 날개의 펼침과 그 힘은 새 가운데서 아주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남방으로 - 이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테만'(*)은 주로 남풍을 가리키는것으로 쓰이지만(시 78:26;아 4:16), 여기서는 계절에 따른 새의 이동을 나타내는 것같다(렘 8:7). 즉, 매가 겨울에는 남쪽으로 이주하는 지혜를 가지고 있음을 언급하는 것이다.
임 알 피카 약비하 나쉘 웨키 야림 킨노
개역개정,27 독수리가 공중에 떠서 높은 곳에 보금자리를 만드는 것이 어찌 네 명령을 따름이냐
새번역,27 독수리가 하늘 높이 떠서 높은 곳에 보금자리를 만드는 것이 네 명령을 따른 것이냐?
우리말성경,27 독수리가 하늘로 날아오르고 높은 곳에 그 둥지를 만드는 것이 네 명령으로 인한 것이냐?
가톨릭성경,27 또 네 명령에 따라 독수리가 치솟고 높은 곳에 둥지를 트느냐?
영어NIV,27 Does the eagle soar at your command and build his nest on high?
영어NASB,27 "Is it at your command that the eagle mounts up, And makes his nest on high?
영어MSG,27 Did you command the eagle's flight, and teach her to build her nest in the heights,
영어NRSV,27 Is it at your command that the eagle mounts up and makes its nest on high?
헬라어구약Septuagint,27 επι δε σω προσταγματι υψουται αετος γυψ δε επι νοσσιας αυτου καθεσθεις αυλιζεται
라틴어Vulgate,27 aut ad praeceptum tuum elevabitur aquila et in arduis ponet nidum suum
히브리어구약BHS,27 אִם־עַל־פִּיךָ יַגְבִּיהַּ נָשֶׁר וְכִי יָרִים קִנֹּו׃
성 경: [욥39:27]
주제1: [하나님의 첫 번째 말씀(2)]
주제2: [매와 독수리에게 지혜를 주신 하나님]
독수리(*, 네쉐르) - 아마 금 독수리 또는 황실 독수리를 포함한 대부분의 독수리를 가리키는 것 같다(9:26;렘 49:16). 이들은 시리아와 메소포타미아 지역에 흔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언제나 높은 곳에 보금자리를 짓는 것이 특징이다.
공중에...의지함이냐 - 본절은 두 가지를 묻고 있다. 즉, '욥 너의 명령으로 독수리가 높이 치솟느냐?' 그리고 '독수리가 너의 명령으로 높은 곳에 보금자리를 만드느냐?' 이다. 이것은 독수리의 힘과 탁월한 능력을 묘사하기 위해 질문되었다. 한편, 성경에서 독수리의 날개침과 높이 솟아오름은 피곤치 않는 새 힘에 비유된다(시 103:5;사 40:31). 그리고 높은 바위 위에 둥지를 만들고 새끼를 돌보는 습성은 종종 하나님의 보호와 돌보심이 탁월하다는 사실을 상징하기도 한다(신 32:10,11).
셀라 이쉬콘 웨이트로난 알 쉔 셀라 우메추다
개역개정,28 그것이 낭떠러지에 집을 지으며 뾰족한 바위 끝이나 험준한 데 살며
새번역,28 독수리는 바위에 집을 짓고 거기에서 자고, 험한 바위와 요새 위에 살면서,
우리말성경,28 독수리는 바위에 살고 바위틈과 든든한 장소에 있으면서
가톨릭성경,28 그것은 바위 위에 살며 밤을 지내니 바위 벼랑 끝이 그의 성채다.
영어NIV,28 He dwells on a cliff and stays there at night; a rocky crag is his stronghold.
영어NASB,28 "On the cliff he dwells and lodges, Upon the rocky crag, an inaccessible place.
영어MSG,28 Perfectly at home on the high cliff-face, invulnerable on pinnacle and crag?
영어NRSV,28 It lives on the rock and makes its home in the fastness of the rocky crag.
헬라어구약Septuagint,28 επ' εξοχη πετρας και αποκρυφω
라틴어Vulgate,28 in petris manet et in praeruptis silicibus commoratur atque inaccessis rupibus
히브리어구약BHS,28 סֶלַע יִשְׁכֹּן וְיִתְלֹןָן עַל־שֶׁן־סֶלַע וּמְצוּדָה׃
성 경: [욥39:28]
주제1: [하나님의 첫 번째 말씀(2)]
주제2: [매와 독수리에게 지혜를 주신 하나님]
낭떠러지에 집을 지으며 - 히브리어 문장을 직역하면 '그가 낭떠러지에 거주한다'(NIV)이다. 그런데 여기에서 '낭떠러지'의 '세라'(*)는 '울퉁불퉁한 돌', '바위', '강하고 높은 성'들의 뜻으로, 본절에서는 매우 가파른 절벽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렘 49:16).
뾰족한 바위 끝 - 원문에는 '바위의 이빨'(*, 쉔)로 되어 있다. 이는 험하고 울퉁불퉁할 뿐만 아니라 끝이 뾰족한 바위를 은유적으로 표현한 것이다(삼상 24:2).
험준한 데 거하며 - '험준한 데'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메추다'(*)는'감시하다', '조사하다'란 의미의 용어에서 유래한 말로, 강한 산성이나 견고한 요새(stronghold)를 가리킨다. 독수리는 인간과 다른 동물이 근접할 수 없는 요새에서 밤을 묵으며 살아간다.
이솸 하파르 오켈 레메라호크 에나우 야비투
개역개정,29 거기서 먹이를 살피나니 그 눈이 멀리 봄이며
새번역,29 거기에서 먹이를 살핀다. 그의 눈은 멀리서도 먹이를 알아본다.
우리말성경,29 거기에서 먹이를 찾되 그 눈은 멀리서도 먹이를 볼 수 있다.
가톨릭성경,29 거기에서 먹이를 찾아 살피고 그 눈은 멀리까지 바라본다.
영어NIV,29 From there he seeks out his food; his eyes detect it from afar.
영어NASB,29 "From there he spies out food; His eyes see it from afar.
영어MSG,29 From her perch she searches for prey, spies it at a great distance.
영어NRSV,29 From there it spies the prey; its eyes see it from far away.
헬라어구약Septuagint,29 εκεισε ων ζητει τα σιτα πορρωθεν οι οφθαλμοι αυτου σκοπευουσιν
라틴어Vulgate,29 inde contemplatur escam et de longe oculi eius prospiciunt
히브리어구약BHS,29 מִשָּׁם חָפַר־אֹכֶל לְמֵרָחֹוק עֵינָיו יַבִּיטוּ׃
성 경: [욥39:29]
주제1: [하나님의 첫 번째 말씀(2)]
주제2: [매와 독수리에게 지혜를 주신 하나님]
거기서 움킬 만한 것을 살피나니 - 먹이를 찾는 독수리의 모습을 나타낸 것인데, 이같은 독수리의 탐색은 구약 성경의 여러 곳에서 이스라엘을 공격하려는 이방 민족들의 포악한 모습에 비유되고 있다(신 28:49;합 1:8). 그리고 이와 더불어 이것은 이방 민족을 심판하는 도구로 상징되기도 한다(렘 48:40;49:22).
그 눈이 멀리 봄이며 - '보다'의 '나바트'(*)는 하나님께서 인간을 감찰하시듯이(28:24;시 33:13) 예의 주시하여 지속적으로 바라보는 것을 말한다. 사실 이와같이 독수리의 눈이 아주 멀리까지 모든 사물을 간파한다는 사실은 학자들에 의해 이미 입증되었다.
웨에프로호 웨에프로하우 예알레우 담 우바아쉘 할라림 솸 후
개역개정,30 그 새끼들도 피를 빠나니 시체가 있는 곳에는 독수리가 있느니라
새번역,30 독수리 새끼는 피를 빨아먹고 산다. 주검이 있는 곳에 독수리가 있다.
우리말성경,30 그 새끼들도 피를 빨아먹으니 주검이 있는 곳에는 독수리가 있다.”
가톨릭성경,30 그 새끼들은 피를 들이켜고 주검이 있는 곳에는 독수리도 있다.
영어NIV,30 His young ones feast on blood, and where the slain are, there is he."
영어NASB,30 "His young ones also suck up blood; And where the slain are, there is he."
영어MSG,30 Her young gorge themselves on carrion; wherever there's a roadkill, you'll see her circling."
영어NRSV,30 Its young ones suck up blood; and where the slain are, there it is."
헬라어구약Septuagint,30 νεοσσοι δε αυτου φυρονται εν αιματι ου δ' αν ωσι τεθνεωτες παραχρημα ευρισκονται
라틴어Vulgate,30 pulli eius lambent sanguinem et ubicumque cadaver fuerit statim adest
히브리어구약BHS,30 [כ= וְאֶפְרֹחֹו] [ק= וְאֶפְרֹחָיו] יְעַלְעוּ־דָם וּבַאֲשֶׁר חֲלָלִים שָׁם הוּא׃ ף
성 경: [욥39:30]
주제1: [하나님의 첫 번째 말씀(2)]
주제2: [매와 독수리에게 지혜를 주신 하나님]
그 새끼들도 피를 빠나니 - '새끼들'에 해당하는 '에프로아흐'(*)는 '싹트다', '움트다', '발하다'란 뜻의 '파라흐'(*)에서 파생된 것으로 새의 새끼를 의미한다(신 22:6). 그리고 '빨다'로 번역된 히브리어 '알라'(*)는 그 어근이 불확실하여 그 의미를 정확히 알기는 어렵다. 혹자는 아랍어와 관련시켜서 '핥다'라는 뜻으로 해석하나(Dhorme), 새의 부리에는 어울리지 않는 표현이다. 그래서 다른 학자는 이를 독수리가 피를 섭취하기 위한 방법을 묘사한 것으로 이해하고, '뽑아내다'(extract)란 의미를 제안한다(Pope). 어쨌든 본절은 독수리의 새끼들이 동물의 몸에 있는 피를 먹는 습성이 있음을 묘사하고 있다. 한편, 하나님께서 이러한 동물의 잔인한 습성을 말씀하신 이유는 욥이 하나님 당신을 자신있게 판단하고 비난하고 있는 근거가 어디에 있는가를 집요하게 묻기 위해서인 듯하다.
살륙 당한 자...거기 있느니라 - '살륙 당한 자'(*, 할림)는 치명적인 상처를 입고 죽은 자들을 의미한다. 여기서는 아마 전쟁이나 재앙으로 인해 몰살된 자들을 가리키는 듯하다. 사실 이러한 주검들 위에 독수리가 모인다는 사실은 그리스도에 의해 언급되기도 하였다(마 24:28;눅 17:37). 그런데 이러한 사실이 본절에 언급된 이유는 아마도 독수리의 본능적 습성이 매우 잔인하다는 것을 암시하기 위함인 듯하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잔인한 본능을 독수리에게 부여하신 분이 하나님이라는 점이 강조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인간의 주검을 통해서도 독수리를 부양하시는 하나님의 섭리가 은연 중 암시되어 있다.
라틴어Vulgate,31 et adiecit Dominus et locutus est ad Iob
라틴어Vulgate,32 numquid qui contendit cum Deo tam facile conquiescit utique qui arguit Deum debet respondere ei
라틴어Vulgate,33 respondens autem Iob Domino dixit
라틴어Vulgate,34 qui leviter locutus sum respondere quid possum manum meam ponam super os meum
라틴어Vulgate,35 unum locutus sum quod utinam non dixissem et alterum quibus ultra non addam
'HEBREW BIB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히브리어 욥기 41장 전체 원어 원문 성경 공부 주석 강해 설교 해설 해석 (0) | 2020.10.11 |
---|---|
히브리어 욥기 40장 전체 원어 원문 성경 공부 주석 강해 설교 해설 해석 (0) | 2020.10.11 |
히브리어 욥기 38장 전체 원어 원문 성경 공부 주석 강해 설교 해설 해석 (0) | 2020.10.11 |
히브리어 욥기 37장 전체 원어 성경 공부 주석 강해 설교 (0) | 2020.10.11 |
히브리어 욥기 36장 전체 원어 성경 공부 주석 강해 설교 (0) | 2020.1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