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설교문 모음/송태근목사님

[창세기 강해 시리즈] 9강 아벨의 제사 | 창세기 4장 1-8절 | 송태근 목사님 | 삼일교회 | 설교문 강해 녹취록 요약 정리

가인과 아벨의 제사: 새로운 마음으로 들어가는 말씀

오늘 다시 창세기 강해를 시작하려고 합니다. 오늘은 우리가 모두 잘 알고 있는 가인과 아벨의 제사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이 이야기는 너무나 익숙하여 그 내용을 대충 알고 계시겠지만, 오늘 말씀을 통해 우리가 얻을 수 있는 새로운 깨달음이 있기를 바랍니다. 성령의 인도하심을 따라 이 시간을 경청했으면 좋겠습니다.

 

하와의 득남과 가인의 의미

창세기 4장 1절을 보면 아담과 하와가 관계를 맺고 가인을 낳습니다. 우리말 성경은 이 부분을 잘 번역한 것 같습니다. 히브리어에서 '야다'라는 단어는 '알다'라는 의미인데, 이 말은 좀 더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관계를 의미합니다. 가인을 낳은 하와는 '여호와로 말미암아 득남했다'고 말합니다. 그런데 이 '득남'이라는 단어는 매우 특별합니다. 원래 창조를 의미하는 '카라'라는 단어가 사용되었기 때문입니다. 하와는 가인이 여자의 후손이라는 하나님의 약속을 오해했던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가인의 이름은 무엇을 의미할까요? 가인이라는 이름은 '소유' 또는 '얻다'라는 뜻입니다. 하와는 가인을 낳으면서 하나님께서 주신 약속의 성취라고 생각했을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이후 가인은 예상과는 다른 인물로 성장합니다.

 

아벨의 이름과 그 의미

두 번째 아들인 아벨은 '허무' 또는 '티끌'이라는 이름을 가집니다. 이 이름은 매우 특이하게도 아들이 태어난 기쁨을 반영하는 이름이라기보다는, 부모의 깊은 고뇌와 상실감을 나타내는 것처럼 느껴집니다. 가인의 성장이 기대와 달리 문제를 일으키고, 부모는 그로 인해 깊은 고민을 했을 것입니다. 아벨은 이러한 부모의 마음을 대변하는 이름일 수 있습니다.

 

제사의 의미와 차이

가인과 아벨은 각각 다른 방식으로 제사를 드립니다. 가인은 땅에서 난 소산으로 제물을 드린 반면, 아벨은 양의 첫 새끼와 기름으로 제물을 드렸습니다. 성경은 가인의 제사를 거절하고 아벨의 제사를 받으셨다고 기록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제사의 내용 자체보다는 그 제사의 동기에 있습니다. 하나님은 제물이 아니라, 제물 뒤에 있는 믿음을 보셨습니다.

하나님은 '믿음으로' 드려진 제사를 받으셨습니다. 아벨의 제사는 믿음의 표현이었으며, 이는 하나님께서 그의 믿음을 인정하셨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가인은 제사의 동기가 없었고, 형식적인 제사에 불과했습니다. 하나님은 우리의 마음을 보시고, 우리가 드리는 제사의 진정성을 보십니다.

 

세월이 지난 후: 우리의 예배

창세기 4장 3절에서 "세월이 지난 후"라는 표현이 나옵니다. 이 표현은 단순히 시간이 흐른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닙니다. '세월'은 심판과 종말을 향해 가는 시간을 나타냅니다. 이는 결국 우리 각자가 하나님 앞에서 심판을 받게 될 시간을 의미합니다. 우리의 예배도 시간이 지나면서 그 진정성과 결과가 드러나게 됩니다.

우리는 예배자로서, 가인과 아벨처럼 결국 하나님 앞에 서게 됩니다. 우리의 예배는 하나님의 평가를 받게 될 것입니다. 우리가 드리는 예배의 동기와 진정성이 중요하며, 이를 통해 우리는 하나님의 인정과 심판을 받게 됩니다.

 

믿음으로 드리는 제사

히브리서 11장 4절에서는 "아벨은 믿음으로 더 나은 제사를 하나님께 드렸다"고 기록합니다. 이 말은 아벨이 그의 제사로 의로운 자가 되었음을 의미합니다. 제사 자체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그 제사에 담긴 믿음이 중요한 것입니다. 아벨은 하나님을 향한 깊은 믿음으로 제사를 드렸기 때문에 하나님은 그의 제사를 받으셨습니다.

 

결론: 우리는 어디에 속해 있는가?

우리의 예배가 무엇인지, 그리고 그 예배가 어떻게 하나님께 받아들여지는지에 대해 생각해야 합니다. 예배는 단순히 외적인 행동이 아니라, 우리의 마음과 믿음이 담긴 것입니다. 아벨처럼 믿음으로 드리는 제사가 중요합니다. 결국, 우리는 가인의 자리가 아니라 아벨의 자리에 속한 존재로서, 예배를 드려야 한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합니다.

 

풀버전 영상을 보시려면 아래를 클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