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설교문 모음/송태근목사님

[누가복음 강해 시리즈] 5강 예수님의 성장 | 누가복음 2장 40-52절 | 송태근 목사님 | 삼일교회 | 설교문 강해 녹취록 요약 정리

누가복음 2장 1절에 대한 성경적 배경

지난주에 참석한 성도님들 중에 많은 분들이 이 부분을 기억하실 것입니다. 저도 고집이 좀 있는 편이라, 참석하지 못한 분들을 위해 간단히 복습을 하겠습니다. 왜냐하면 이 본문은 누가복음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누가복음이 역사적으로 중요한 성경 기록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일부 역사적 오해와 잘못된 기록이 성경의 권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누가복음 2장 1절의 역사적 사실

누가복음 2장 1절을 보면 "그때가 이사 아구스토 황제가 영을 내려 천하로 다 호적하라 하였으니"라는 구절이 있습니다. 이 호적 조사는 굴레네가 수리아 총독으로 임명되었을 때 처음으로 시행된 것이었습니다. 이 호적은 역사적으로 두 번 이루어졌습니다. 첫 번째는 오늘 우리가 읽은 누가복음 2장 1절의 기록이며, 두 번째는 사도행전 5장에 등장하는 호적 조사입니다. 요세푸스의 역사 기록에 따르면, 굴레네 총독이 정식으로 총독 임명을 받은 해는 AD 6년입니다. 그래서 사도행전 5장의 호적 조사는 두 번째 호적 조사를 의미합니다.

 

누가복음의 성경적 의미

누가복음 2장 4-10절에서 아기 예수의 자라나는 과정에 대해 기록하고 있습니다. “아기가 자라며, 지혜가 충만하고 하나님의 은혜가 그 위에 있었다”는 구절을 읽을 때, 당시 유대인들은 이 표현을 사무엘의 성장 과정과 비교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구약에서 사무엘은 하나님과 사람에게 사랑을 받으며 성장한 인물로, 이 표현은 예수님의 성장에 대한 중요한 힌트를 제공합니다.

 

사회적 통념과 성경 해석의 중요성

2002년 한국에서 월드컵의 영광을 떠올리듯, 성경을 해석할 때에도 당시 사람들의 사회적 통념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유대인들은 "아기가 자라며 강하여지고 지혜가 충만하며 하나님의 은혜가 그 위에 있었다"는 구절을 읽으면 사무엘을 떠올렸을 것입니다. 이는 당시 사람들에게 중요한 사회적 통념이었기 때문입니다. 사무엘은 12살부터 예언을 시작한 인물로, 그 시대 사람들에게 그의 성장은 특별한 의미를 가졌습니다. 마찬가지로 예수님의 성장도 사무엘과 비교하여 이해할 수 있습니다.

 

예수님과 사무엘의 비교

예수님의 성장과정은 사무엘의 성장과정을 많이 닮았습니다. 예수님은 12살 때 성전에 올라가셨고, 사무엘도 어린 시절부터 하나님 앞에서 자라났습니다. 이와 같은 성장 과정을 통해 누가는 예수님의 탄생과 사무엘의 역할을 비교하며, 예수님이 이스라엘 역사 속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할 것임을 암시하고 있습니다.

 

엘리 제사장과 이스라엘 사회의 상태

사무엘 시대, 엘리 제사장과 그의 아들들, 홉니와 비느하스는 하나님 앞에서 큰 실수를 저질렀습니다. 엘리 제사장은 하나님의 말씀을 제대로 전하지 않았고, 그의 아들들은 제사장으로서의 임무를 저버린 채 죄를 지었습니다. 이 시대 이스라엘 백성들의 영적 상태는 매우 부패해 있었고, 하나님의 말씀이 희귀하게 느껴졌습니다. 이는 그 당시 사회적, 종교적 혼란을 반영하는 부분입니다.

 

사회적 배경과 예수님의 탄생

예수님의 부모님은 유월절을 기념하여 예루살렘에 올라갔습니다. 그 당시 가난한 이들이 드릴 수 있는 제물은 비둘기였습니다. 이는 당시 종교 지도자들이 가난한 사람들에게 과도한 요구를 했음을 보여주는 부분으로, 예수님은 그런 시대의 종교적 부패를 고발하시고 새로운 길을 열어가실 것입니다. 예수님은 단순히 가난한 자를 돕는 것을 넘어, 당시 사회적, 종교적 체계의 문제를 지적하시고 하나님의 나라를 선언하셨습니다.

 

결론: 예수님의 성장과 사회적 의미

예수님의 성장 이야기는 단순한 시간의 흐름을 기록한 것이 아니라, 그 시대의 사회적, 영적 상황과 연결됩니다. 예수님의 탄생과 성장은 단지 한 가정의 이야기나 개인적인 사건이 아니라, 이스라엘의 역사 속에서 중요한 변화의 시작을 알리는 사건입니다. 누가는 예수님의 성장과 사무엘의 성장을 비교하며, 예수님이 이스라엘을 구속할 메시아임을 강조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풀버전 영상을 보시려면 아래를 클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