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교문 모음 (1949) 썸네일형 리스트형 [열왕기상 강해 시리즈] 15강 말씀이 사건이 되다(2) | 열왕기상 12장 1-11절 | 송태근 목사님 | 삼일교회 | 설교문 강해 녹취록 요약 정리 열왕기상의 역사적 배경열왕기상은 기본적으로 역사적인 서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지난 시간의 이야기를 기억하지 못하면, 그 이야기가 금방 잊혀지고 말 것입니다. 그래서 지난 시간에 어떤 이야기가 있었는지 되돌아보고, 오늘 이야기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잠깐 복습을 해보겠습니다. 솔로몬과 여로보암의 만남솔로몬은 왕이 되어 매우 성실하고 부지런한 청년을 만나게 됩니다. 그 청년은 출신이 좋지 않았고, 어릴 적 아버지를 여읜 과부의 아들이었으나, 성실함과 근면으로 왕 솔로몬의 눈에 띄어 그의 부하가 됩니다. 이 청년은 예루살렘을 떠나는 길목에서 선지자 아이야와 운명적으로 만납니다. 아이야는 새로운 옷을 입고 나타나, 열두 조각으로 찢어진 옷을 보여주며 하나님의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내게 열 조각을.. [열왕기상 강해 시리즈] 14강 말씀이 사건이 되다 | 열왕기상 11장 26-36절 | 송태근 목사님 | 삼일교회 | 설교문 강해 녹취록 요약 정리 여로보암의 등장본문에서는 여로보암이 중요한 인물로 등장합니다. 여러보암은 솔로몬의 시종으로 등장하는데, 그가 중요한 왕으로 자리잡게 되는 과정이 그려집니다. 하지만 여기서 강조되는 것은 여러 부암이 아니라, 그의 역할과 솔로몬의 대적자로서의 입지입니다. 원래의 히브리어를 보면 여러 부암이 강조되는 부분이 보이는데, 이는 그가 미래의 중요한 인물로 등장할 것임을 암시하는 부분입니다. 여로보암의 배경여로보암은 에브라임 지파 출신으로, 그의 어머니 이름은 스루아입니다. 히브리 성경에서 어머니의 이름을 명시하는 것은 매우 드문 일이지만, 여로보암의 어머니 이름이 기록된 것은 그가 특별한 역할을 맡게 될 것임을 상징하는 의미입니다. 특히 왕국이 분열되기 전에 그의 이름이 언급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전환점을 나타냅.. [열왕기상 강해 시리즈] 13강 대적자들 | 열왕기상 11장 1-8절 | 송태근 목사님 | 삼일교회 | 설교문 강해 녹취록 요약 정리 솔로몬의 이야기: 실수와 과오이제 오늘로써 솔로몬의 이야기는 끝내려 합니다. 그동안 솔로몬에 대해 다룬 내용을 돌아보면, 많은 실수와 잘못된 의도들이 드러났습니다. 오늘은 그 과오를 넘어서, 왜 솔로몬이 그런 길을 걸었는지, 왜 그토록 많은 부정적인 결과가 있었는지에 대한 원인을 찾아보려 합니다. 솔로몬의 결혼과 여인들오늘 우리는 솔로몬의 700첩과 300명의 첩에 대해 다룹니다. 물론 이것은 상징적인 숫자일 수 있지만, 그것이 나타내는 의미는 결코 작지 않습니다. 솔로몬은 40년간 통치하면서 많은 결혼을 했고, 그로 인해 그의 왕국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솔로몬이 왕위에 오른 초기에 결혼한 상대는 바로의 딸이었고, 이는 당시 고대 국가 간의 정치적 결혼의 한 예였습니다. 이런 결혼은 단순한 사랑의 결.. [열왕기상 강해 시리즈] 12강 스바 여왕의 방문 | 열왕기상 10장 1-8절 | 송태근 목사님 | 삼일교회 | 설교문 강해 녹취록 요약 정리 스바 여왕의 방문과 그 의미현재 우리는 솔로몬 이야기를 계속 다루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스바 여왕의 방문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학자들마다 견해가 다르지만, 그 방문의 정확한 위치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다만, 여러 그림에서 스바 여왕의 얼굴이 어두운 색으로 그려져 있는 모습을 보면, 아마 남쪽 지역의 인물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 고대 시대의 여인이 한 나라를 다스리는 왕이 되었다는 것은 그녀가 단순한 여자가 아니었음을 의미합니다. 이제 이 여왕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스바 여왕의 질문과 궁금증성경 1절을 보면 스바 여왕이 솔로몬의 명성과 지혜를 듣고자 이스라엘을 방문한다고 합니다. 그녀는 1,200마일 이상을 여행하며 많은 재물과 수행원들을 데리고 왔습니다. 그 목적은 단순히 국가의.. [열왕기상 강해 시리즈] 11강 솔로몬의 두 개의 프레임 | 열왕기상 9장 1-10절 | 송태근 목사님 | 삼일교회 | 설교문 강해 녹취록 요약 정리 내 인생을 바꾸는 작은 변화이 문장을 한번 보십시오. '나는 무엇을 바꾸면 내 인생이 바뀔 수 있을까?' 이 질문에 대해 서울대의 최인철 교수는 강의에서 중요한 질문을 던졌습니다. 그 질문은 내가 무엇을 바꿔야 내 인생이 바뀔 수 있을까, 입니다. 하버드 대학교의 심리학자 윌리엄 제임스도 비슷한 이야기를 했습니다. 그는 '인간은 유일하게 더 나은 삶을 지향하는 존재'라고 말했습니다. 이 말에 대해 저는 깊이 공감합니다. 우리는 모두 더 나은 삶을 원하고 그것을 위해 고민하죠. 태도와 프레임의 중요성그렇다면 우리는 무엇을 바꿔야 할까요? 내가 어떤 사람인지에 대한 태도와 프레임이 중요합니다. '태도'라는 단어는 다른 말로 '프레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프레임이란, 세상을 바라보는 창틀과 같은 역할을 합.. [열왕기상 강해 시리즈] 10강 솔로몬의 연설 | 열왕기상 8장 12-21절 | 송태근 목사님 | 삼일교회 | 설교문 강해 녹취록 요약 정리 역대 통치자들의 건축 프로젝트어느 시대나 언어 역사 속에서 통치자들은 자신이 재임하는 동안 어떤 성과와 업적을 남기고 싶어 합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효과적으로 드러날 수 있는 프로젝트가 바로 건축물입니다. 그래서 역대 통치자들은 많은 건축물을 남기곤 했습니다. 이와 같은 신뢰는 고대 역사에서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성경에도 많은 건축물의 흔적들이 등장하죠. 하나님의 성전 건축 계획마찬가지로, 왕이 된 이후에 평안한 시기가 찾아오자, 그는 하나님의 성전 건축을 계획하게 됩니다. 왕은 평안의 시기를 맞아 하나님의 언약궤가 여전히 휘장 안에 있는 것을 보고, 성전을 건축할 결심을 하게 되죠. 하지만 하나님은 그 계획을 허락하지 않으셨습니다. 그 대신, 하나님은 나단 선지자를 통해 그 계획을 거절하셨습니다. .. [열왕기상 강해 시리즈] 9강 솔로몬의 성전 건축(4) | 열왕기상 8장 1-11절 | 송태근 목사님 | 삼일교회 | 설교문 강해 녹취록 요약 정리 언약궤의 이동오늘은 언약궤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우리는 언약궤를 ‘법궤’라고도 부르지만, 사실 ‘법궤’라는 말은 원문에 없으며, 습관적으로 그렇게 표현하는 것입니다. 정식 명칭은 언약궤가 맞습니다. 솔로몬이 언약궤를 옮기기 위해 다윗의 성으로 이동을 시작합니다. 이 과정에서 이스라엘 백성들이 어떻게 그 과정을 수행했는지에 대한 내용이 나옵니다. 언약궤와 이스라엘의 두려움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언약궤는 단순히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매우 두려운 일입니다. 이는 하나님께서 지시하신 대로 움직여야 하며, 과거에 있었던 사건들이 이를 잘 보여줍니다. 예를 들어, 다윗은 언약궤를 모셔 오려 했지만, 그 과정에서 위험한 상황이 발생합니다. 이 사건은 하나님께서 언약궤를 어떻게 다뤄야 할지에 대한 중요한 교훈을 제.. [열왕기상 강해 시리즈] 8강 솔로몬의 성전 건축(3) | 열왕기상 7장 51절 | 송태근 목사님 | 삼일교회 | 설교문 강해 녹취록 요약 정리 성전 건축과 왕궁 건축의 구조적 비교이제 드디어 성전 건축이 마무리되는 모습이 보입니다. 솔로몬 왕이 여호와의 성전을 위해 만드는 모든 일을 마쳤다는 51절의 내용이 그것을 보여주죠. 그러나 7장 1절을 보면 성전 건축이 끝난 것이 아니라, 이 성전 건축과는 다른 내용인 왕궁 건축 이야기가 등장합니다. 솔로몬 왕은 왕궁을 13년 동안 건축했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건축의 의미적 배열이 내용은 단순히 시간의 순서대로 나열된 연대기적인 기록이 아니라, 의미적으로 배열된 것임을 이해해야 합니다. 성전 건축은 5장부터 시작하여 본격적인 공사는 6장에서 진행됩니다. 그 후, 7장에서는 갑자기 왕궁 건축 이야기로 바뀌는 구조적 변화가 나타납니다. 성경 기자는 이 중간에 왕궁 건축 이야기를 삽입하면서, 의도적인 메시.. 이전 1 2 3 4 5 6 7 8 ··· 2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