객실(hall)
손님을 접대하거나 거처하게 하려고 마련한 방. 구약에서 이 단어는 성소와 연결된 홀 또는 방을 나타냈는데, 사무엘이 사울과 그의 사환을 초대한 장소로 사무엘상 9:22에 사용되었다. 예수께서 그의 제자들과 함께 마지막 만찬을 베풀었던 장소로도 언급되었는데(막 14:14; 눅 22:11), 여기에서의 객실은 2층의 큰 다락방으로 불리웠으며(막 14:15), 이곳은 여행자들이 잠자는 독방이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객점(inn)
길 가는 손님이 음식 등을 사먹고 쉬어 가거나 묵어 가던 집을 이르는 말이다. 고대 근동 지방에서 여행자는 일반 집에서도 접대를 받을 수 있었기 때문에 오늘날의 여관과 같은 장소는 필요하지 않았다. 따라서 이곳은 강도나 짐승 등의 위협으로부터 몸을 피하기 위해 존재하는 피난소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이곳은 대체로 뜰 가운데 우물이 있고, 빙둘러서 여행자들이 묵을 방과 가축을 매는 곳이 마련되어 있었다. 침구가 없었기 때문에 여행자는 자신이 휴대한 용구를 사용해야 했고, 또한 식사도 스스로 해결해야 했다. 이들 숙박소는 그 토지의 소유자가 여행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만든 것이 대부분이었다. 이곳은 요셉의 형제들이 애굽으로부터 되돌아올 때에 그들이 묵어 가기 위해 선택했던 장소로서 창세기에서도 여러 번 언급되었다(창 42:27; 43:21, 공동-새번역 '하룻밤 묵어 갈 곳').
거꾸러지다/거꾸러뜨리다(cast down)
거꾸로 넘어지거나 엎어지는 것을 말한다. 대개는 연약함이나 피곤함으로 인해 또는 공격자들로부터 도망갈 때 비틀거리는 것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었고, 하나님의 심판과 관련하여서 언급되기도 하였다. 예레미야는 자신의 죄악을 부끄러워하지 않는 유다인들의 종말을 예언하는 문맥에서 이 말을 사용하였다(렘 6:15; 8:12). 바울은 복음을 전하는 자가 당하는 어려움을 이 단어를 사용하여 설명하면서 동시에 복음의 능력으로 인한 궁극적 승리를 그것과 대비시키고 있다(고후 4:9).
거느리다(lead out)
'손아랫 사람들을 데리고 있거나 지휘 아래에 두다'를 의미한다. 이 말의 히브리어와 헬라어 원어는 둘 다 '인도하다', '내몰다'의 의미로 주로 군대 용어로 사용되었는데, 즉 강제로 사람이나 군인들을 정해진 방향으로 질서있게 인도해 가는 행위를 나타내는 데 쓰여졌다. 성경에서 이 말은 요압, 소박과 같은 군대 장관, 혹은 왕들이 그의 군대를 이끌고 전쟁터로 나아가는 모습을 묘사하는 곳에서 사용되었다(신 20:9; 삼하 10:16; 대상 20:1; 대하 25:11). 경우에 따라서는 난을 일으키는 주동자가 그 추종 세력을 몰아서 행하는 태도로도 언급되었다(행 21:38).
거닐다(stroll)
이리저리 한가로이 걷는 것을 말한다. 물에 떠내려오는 모세를 건져 내기 전의 애굽 시녀들(출 2:5), 우리아의 아내 밧세바를 유혹하기 전의 다윗(삼하 11:2) 그리고 하나님 앞에서 회개하기 전에 교만하던 느부갓네살 왕(단 4:29) 등은 모두 한가로이 걷고 있던 중이었다. 이것은 시원한 하숫가나 지붕 등에서 팔레스타인의 더위를 피하기 위해 취했던 행동으로 보이며, 한가롭게 여유를 즐기던 모습임을 암시한다.
'GOODWILL CHURCH > 성경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경사전) 거라사 / 거루 (0) | 2022.06.16 |
---|---|
(성경사전) 거두다 / 거듭나다 / 거듭하다 (0) | 2022.06.15 |
(성경사전) 개천 / 개키다 / 개펄 / 개혁 / 객 (0) | 2022.06.15 |
(성경사전) 개울 / 개유하다 / 개의하다 / 개창 / 개척하다 (0) | 2022.06.15 |
(성경사전) 개구리 / 개국 / 개동시 / 개량하다 / 개미 (0) | 2022.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