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OODWILL CHURCH/성경사전

(성경사전) 공성퇴 / 공세 / 공수 / 공순 / 공양하다

공성퇴(battering ram)

성 안으로 진입하기 위하여 상대방의 성벽 또는 성문을 무너뜨릴 때 사용된 공격용 무기이다. 공성퇴는 크고 단단한 통나무의 끝부분에 뽀죽한 쇳덩이를 붙여 바퀴달린 수레에 고정시켜 상대의 성을 공격하였는데, 거기에는 적으로부터 날아오는 돌이나 화살을 막을 수 있도록 만들어진 커다란 나무판이 있었다. 예루살렘에 임박한 심판을 효과적으로 알리기 위한 에스겔의 상징적인 행위 속에서 사용된 도구의 하나로 언급되었다(겔4:2). 공성퇴를 베푼다는 것은(21:22) 하나님의 심판을 상징하며, 역사적으로 바벨론의 침공을 가리켰다(26:9, 공동번역 '성벽을 허무는 쇳덩이', 새번역 '쇠망치').

 

공세(tax)

나라에 바치는 세금을 말한다. 구약에서는 피정복자가 정복자에게 바친 금품이나 조공을 가리켜 쓰였고(시72:10), 신약에서는 국가에 대한 납세 의무 이행을 강조하면서 언급되었다(롬13:6,7).

 

공수(empty-handed)

빈 손. '완전히 비우다'는 뜻에서 나온 말로 '성공하지 못한', '헛되이', '까닭없이', '빈손으로'라는 의미를 갖는다(창31:42;욥22:9;눅1:53). 하나님께서는 동족이 종으로 섬겼을 경우 6년 후에는 돌려보내되 공수로 보내지 말 것과 이스라엘 백성 중 남자는 유대인의 3대 절기에 하나님께 나오되 공수로 보이지 말 것을 명령하셨다(신15:13;16:16).

 

공순(calmness)

성격이 어렴성이 있고 고분고분한 것을 뜻한다. 전도자는 통치자가 화를 낼 때 자리르 뜨지 않고, 공순(공동-새번역 '침착')하면 큰 잘못을 막을 수 있따고 말한다(전10:4).

 

공양하다(minister)

어른에게 음식을 드리는 것을 말하는데, 생각날 때 어쩌다 한 번 공궤하는 것이 아니라 늘 함께하며 돌보고 시중드는 것을 말한다. 예수께서 말씀하신 '양과 염소'의 비유에서 악인들이 하나님께 정죄받게 된 이유로 어려운 이웃을 '공양하지 않은 것'(공동번역 '모른 체하고 돌보아 주지 않았다')을 말씀하셨다(마25:44). <참조> 섬기다. <비교> 공궤/-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