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OODWILL CHURCH/성경사전

(성경사전) 그릇1 / 그릇2(그릇됨) / 그리다1 / 그리다2 / 그리스도

그릇1(vessel)

고체나 액체로 된 물질을 담는 기구로서, 나무그릇(출7:19;딤후2:20), 돌그릇(출7:19), 질그스(레11:33), 놋그릇(스8:27), 금은그릇(삼하8:10;스1:6), 상아그릇(계18:12), 옥석그릇(계18:12) 등 여러 종류가 있다. 이스라엘 사람들은 대부분 가죽이나 천, 나무 등으로 만든 그릇을 사용했다. 가죽물통과 두레박은 우물에서 물을 길어 올리고 물을 담아 나르는 데 사용되었다. 금속 용기 중 가장 진귀한 것은 놋그릇으로 이것은 전쟁에서 첫번째로 약탈되는 대상물 가운데 하나였고, 주로 희생 제물을 바치는 의식에서만 사용되었다. 성전의 그릇들은 레위 지파와 고핫 자손이 맡아 돌보았따(민3:31). 그릇에는 가증한 물건을 담아서는 안 되며(사65:4), 부정한 그릇은 물에 담그어 정하게 하거나(레11:32) 또는 깨뜨려야 했다(레11:33-35).

그릇은 사람의 됨됨이와 기량을 말하는 데도 쓰였다. 하나님과 인간의 관계는 토기장이와 그릇으로 비유되는 창조자와 피조물의 관계이다(롬9:21-23). 사도바울은 교회 안에 있는 은사와 역할의 다양함을 큰 집에 있는 금과 은그릇, 나무와 질그릇에 비유하여 설명했다(딤후2:20). 또한 인간의 육체가 갖는 한계성과 연약성을 질그릇에 비유하면서 역설적으로 복음, 곧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은 구원의 복음이라는 보배를 이 질그릇에 가졌다고 표현했다(고후4:7). 베드로 사도는 아내를 가리켜 연약한 그릇이라고 표현하였다(벧전3:7).

 

그릇2/그릇됨(err)

그르게 되다, 일이 틀리다(잠10:17;14:22). 임금의 입술에 하나님의 말씀이 있으면 그릇된 판결을 내리지 않는다(잠16:10). 또한 우리는 다 양처럼 길을 잃고 그릇(공동번역 '제 멋대로') 행하였으나 주께서 우리의 죄악을 그에게 지우셨다(사53:6). 무지나 부주의에 의한 죄악을 가리켜 쓰이기도 한다(레5:15,18;민15:24,27).

 

그리다1(Kelita)

'글리다'라고도 불리는 레위 족속으로, 에스라 시대에 하나님의 율법을 읽고 그 뜻을 백성에게 설명해 준 학자 중 한 사람이다(스10:23;느8:7). 율법 엄수의 계약서에 인을 쳤고(느10:10), 에스라의 권고에 따라 포로 중에 취했던 이방 여인과 이혼했다(스10:23). 

 

그리다2(describe)

물건의 형상을 그 그림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벽돌이나 돌 위에(겔4:1;23:14) 그림을 그리거나 돌을 깎아 새기는 것, 기록하는 것을 뜻한다. 

 

그리스도

<보라> 예수 그리스도 <참조> 메시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