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OODWILL CHURCH/성경사전

(성경사전) 담무스 / 담보하다 / 담부 / 담즙 / 담책하다

담무스(Tammuz)

메소포타미아, 시리아, 팔레스타인 등에서 풍요의 신으로 널리 예배되어지던 남신이다. 이집트의 오시리스, 그리스의 아도니스와도 동일한 신이다. 그는 여신 이쉬타르(Ishtar)의 남편이었으며, 그들에 대한 제사는 매우 음란하게 이루어졌다. 담무스는 들에서 그의 양을 치다가 멧돼지의 공격을 받고 죽임을 당했으나 그의 부인 이쉬타르가 지하 세계에서 그를 구해 낸 것으로 전해진다. 그는 겨울이 막 시작될 무렵에 죽었는데, 오랜 건기가 끝나고 봄비가 내릴 때 다시 소생하였다고 한다. 바벨론 달력과 포로기 후의 유대 달력 제4월(태양력6-7월)은 그의 이름을 따서 불렀다. 성경에는 그의 이름이 에스겔 8:14에서 나타나는데, 에스겔이 환상 가운데서 여호와의 전으로 들어가는 문 앞에서 담무스를 위하여 애곡하는 여인들을 보았다고 기록하고 있다. 

 

담보하다(surety)

어떤 물건을 맡아서 보관하거나 빚진 사람이 빚을 갚지 못할 경우를 생각해서 그 대신 물건을 맡기는 것으로(창43:9), 이 말의 헬라어 원어는 히브리어 어근에서 왔다. 히브리어 어근은 헬라어뿐 아니라 라틴어, 프랑스어에도 그대로 차용되었다. 성경에서는 '보증하다'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었다. <참조> 보증

 

담부(burden)

등에 지고 어깨에 맴. 성경에서는 건축하는 일에 동원된 노동자를 가리키는 말로 '담부하는 자'라 표기했다(대하34:13;느4:10,17). 

 

담즙(gall)

척추동물의 간장에서 만들어지는 소화액의 한 가지. 원어적으로는 어떤 식물의 머리를 가리키는 말이었는데, 후에는 '쓸개즙', '독'을 가리키는 말이 되었다. 개역성경에 '담즙'(행8:23) 혹은 '쓸개즙', '쓸개'로 되어 있는 것은 '매우 쓴 모양'을 비유적으로 나타낸 경우가 많다. 권위있는 히브리어 사전인 BDB는 이 단어가 항상 비유적으로 쓰였다고 한다(애3:5,19).

 

담책하다

일을 담당하여 맡는 것을 말한다. 이 단어는 사사기 19:20에서 나타나는데, 원문에는 이에 해당하는 단어가 없고, 문맥상 의미를 분명히 하기 위해 삽입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