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리다(offer)
윗사람에게 물건을 주거나 말씀을 여쭙는 것, 신께 정성을 바치는 것을 뜻한다. 수확한 산물을 여호와께 드리는 것(출23:19;느10:35). 날마다 또는 절기 때마다 번제시에 전제물을 드리는 것(민28:7-8)에 사용되었다.
드리우다(let down)
'아래로 늘이다'는 뜻으로(삼하22:10;겔1:25;행11:5), 다윗은 블레셋 사람과 싸워 이긴 후에 하나님께 "저가 또 하늘을 드리우고 강림하시니 그 발 아래는 어둑캄캄하도다"라고 노래하였다(삼하22:10, 공동번역 '하늘을 밀어 젖히시고', 새번역 '하늘을 가르고').
드발리야(Tebaliah)
므라리 자손 호사의 셋째 아들이자 레위 사람으로 다윗 시대에 성전 문지기였다(대상26:11).
드보라(Deborah)
1. 브두엘의 딸 리브가의 유모로 리브가가 이삭의 아내가 되기 위해 가나안으로 갔을 때 동행하였따(창24:59). 메소보다미아의 하란 출신인 그녀는 벧엘에서 객사하여 '알론바굿'이라 불리워진 상수리 나무 아래 장사되었다(35:8).
2. 이스라엘 네번째 사사로, 랍비돗의 아내였으며, 에브라임의 라마와 벧엘 사이의 이스라엘 지역을 통치하였다(삿4:4-5). B.C.1200년경 가나안 왕 야빈이 이스라엘을 학대했을 때 드보라는 주저하고 있는 아비노암의 아들 바락을 설득하여 가나안 사람과 싸우게 하고 자신도 거기에 참가하여 야빈의 군대장관 시스라와의 싸움에서 승리하였다(5-23절). 후에 승리의 노래를 지은 것이 드보라의 노래이다(5:2-31). 이 노래는 구약성경 중 최고시의 하나이고, 당시의 역사와 종교, 문학을 이해하는데 귀중한 자료로서의 가치가 있다. 또한 이 작품은 이스라엘 백성이 아직 어떠한 영속적 부속 조직으로도 연합하지 못한 채 팔레스타인 산악 지방에 고립되어 있었음과 당시에 이르러서야 비옥한 평야와 통상로를 지배하고 있던 가나안에 도전할 수 있었음을 보여준다. 사사 시대의 시 중 현재까지 보존되어 있는 유일한 시문인 이 노래는 여사사 드보라에 의해 지어진 것으로 추측되며, 처음에는 시인이나 음악가들에 의해 구두로 전승되었다가 민족적 행사나 큰 절기 때에 두루 낭독 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이 노래에는 4장에 산문적으로 묘사되어 있는 승리의 사건들이 더욱 상세하고 생생하게 표현되어 있으며, 하나님께 대한 신앙과 애국적 정열이 넘쳐 흐른다. 하나님을 향한 찬양으로 시작하여 여호와께 대한 간구로 끝나는 본 시가는 크게 3부로 나누어진다.
서론 부분(2-11절)은 출애굽 이후부터 드보라의 등장에 이르기까지 이스라엘을 보호해 주신 하나님의 위엄과 사랑을 찬양함과 아울러 불순종으로 말미암아 압제자 치하에서 황폐해진 이스라엘의 가련한 처지와 이런 곤경에서 벗어나게 하신 여호와의 은총을 대조하여 기술하였다. 12-30절은 4장에서 설명한 전쟁의 경과 및 상황과 대적자의 비참한 말로를 소상히 묘사하였고, 31절은 여호와의 적에게는 저주를, 자기 편에게는 축복을 기원하는 결론으로서 공의와 사랑이 충만한 하나님께만 간절히 매어달리고자 하는 열망을 표현하고 있다. '이스라엘의 어머니의 노래'라고도 불리우는(삿5:7) 드보라의 노래에서는 히브리어 특유의 평행법이 사용되어 시적 운율을 살리고 의미를 강조하였다. 7절의 점층과 19-20절의 대구법이 그 예이다. 어쨌든 드보라는 하나님의 영에 의해 감동받은 카리스마적 지도자로서 흩어진 이스라엘 지파들에게 일체감과 여호와에 대한 충성심을 갖도록 일깨워준 탁월한 인물이었다.
'GOODWILL CHURCH > 성경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경사전) 득의 / 득죄하다 / 든든하다 / 듣다 / 들 (0) | 2022.08.13 |
---|---|
(성경사전) 드빌 / 드우엘 / 드합느헤스 / 드힌나 / 득남하다 (0) | 2022.08.13 |
(성경사전) 드로비모 / 드로아 / 드루배나 / 드루보사 / 드루실라 (0) | 2022.08.12 |
(성경사전) 드라빔 / 드라크마 / 드러나다 (0) | 2022.08.12 |
(성경사전) 드다 / 드단 / 드라고닛 (0) | 2022.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