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걸하다 beseech
'슬피 하소연하여 비는 것'을 뜻하는 말로, 요셉은 형들에 의해 구덩이에 던져지고 미디안 사람들에게 팔릴 때에 살려달라고 애걸하였다. 이 말은 요셉의 형제들이 그 사건을 회상하면서 뉘우칠 때에 사용하였다(창42:21).
애곡 mourning
‘슬픔으로 흐느껴 곡하는 일'을 뜻하는 말로, 죽은 자를 위한 애도의 표현 방식 가운데 하나로서 동양적인 전통이다. 애곡은 애통한 마음이 일어나는 모든 자들, 특히 그 가족들이 하였고(창23:2;50:10;삼하11:26), 여자가 주된 역할을 맡았다(렘9:17-18). 애곡은 임종 후 즉시 시신 앞에서 행해졌으며(창23:2) 일정 기간 동안 계속되었다. 일반적으로는 7일간 행해졌으나(창50:10;삼상31:13;대상 10:12), 모세와 아론을 위해서는 30일간(민20:29;신 34:8), 야곱을 위해서는 70일간(창50:3) 애곡하였다. 유대인의 보수적인 성향으로 인하여 애곡 관례는 구약과 신약 시대를 거쳐오면서 거의 변하지 않았다. 이처럼 애곡은 죽은 자에게 경의를 표하는 중요한 수단이었으며, 이러한 관례가 생략되는 것은 상황이 비일상적(非日常的)이거나 난국에 처해 있음(렘 16:4-7; 겔 24:15-17)을, 또는 존경하지 않음(렘 22:18-19)을 나타내는 표시이다. 직업적으로 애곡하는 사람을 고용한 사실은 애곡을 중요시했음을 강조해 준다(전12:5;마9:2324). 가족들을 따라서 울음꾼들은 죽은 사람을 위하여 소리내어 울부짖고 눈물을 흘렸고(왕상13:30;렘9:17-18;22:10,18;34;5;암5:16; 11:17) 뿐만 아니라 전통적인 에가와 특별히 작곡한 애가를 연주하고 노래하였다(삼하1:17-27:3:33-34,렌9:20-22). <참조> 애가
애곡에 사용되는 악기로는 피리가 자주 애용되었는데, 이는 피리가 높고 낮은 음을 연속적으로 낼 수 있기 때문이었다(렘48:36), 옷을 찢거나(삼하1:11) 굵은 삼베옷을 입는 것도(창37:34;삼하3:31) 하나의 관습이었는데, 머리를 밀거나(욥1:20;사22:12;렘7:29;미1:16)몸에 상처를 내는 일(렘41:5) 등의 자해행위는 몇몇 고대 근동문화의 특징이었지만 '거룩한 백성'인 이스라엘인들에게는 금지되었다(레19:27:신14:1-2. 참고, 신4:1). 제사장들이 애곡하는 것은 매우 제한되었는데 의식의 정결함을 유지하기 위하여 필요했기 때문이었다(레21:1-5,10-12). 눈물의 선지자 예레미야는 애곡에 관하여 많은 언급을 하였다. 그는 유다가 바벨론에 포로될 것을 말하면서 곡하는 부녀들에게 애곡을 하고 딸들과 이웃에게 그것을 가르치라고 했으며(렘9:1720), 유다 땅을 위하여 애곡했으며(10절) 유다 땅의 애곡하는 소리를 들었다(12:4,11;14:2; 23:10). 그리고 라헬의 애곡을 언급했다(31:15-16). 그는 이스라엘이 자신의 죄로 인하여 애곡할 것을 선포하였고 (4:8;6:26;7:29) 남몰래 스스로 나라를 위하여 애곡하였다(9:1;13:17). <참조> 장례, 애통, 슬퍼하다
애굽 Egypt
애굽은 아프리카 동북부에 위치한 나라로 고대 문명의 발상지 중의 하나이며, 동쪽으로는 홍해, 서쪽은 리비아 사막, 남쪽은 폭포와 골짜기로 둘러싸였고, 북쪽으로는 지중해를 끼고 있다. 애굽은 크게 두 지역, 즉 나일 강의 계곡 지역인 상부 애굽과 델타 지역이라고 불리는 나일강 삼각주를 포함한 하부 애굽으로 나뉘어진다. 애굽에 흐르는 나일 강은 우기에 내리는 폭우로 인하여 범람하고, 주변지역에는 퇴적물이 쌓여 옥토가 된다. 이 퇴적물 때문에 애굽을 검은 땅이라 부르기도 했다. 성경에서는 애굽의 국경을 '믹돌에서부터 수에네까지' (겔29:10)라고 기록하고 있는데, 이는 애굽 삼각주 지역의 최북단에 있는 도시에서 나일 강 폭포가 있는 최남단까지를 가리키는 것 같다.
애굽은 함의 나라라고 불리기도 했으며(시 105:23,27), 미스라임이라 불리기도 했다(창50:11). 애굽의 왕은 통상적으로 바로(Pharaoh)라고 불렀으며(출 1:22) 400년 동안 이스라엘을 속박하기도 했다(1-14장), 애굽의 역사는 각 왕조로 구성되었으며, 각 왕조는 때로는 번성하기도 했지만 반대로 약화되기도 하는 과정 속에서 이스라엘과 관계를 맺었는데, 이런 기사들은 성경 속에 잘 언급되어 있다. 애굽이 성경에 최초로 언급된 것은 아브라함이 애굽으로 내려갔던 때로(창12:10) 이때는 애굽의 12왕조 때였을 것으로 추측된다. 12왕조는 마메네트 1세에 의해 창건되었고, 애굽 고전 문학의 황금기였다고 전해진다. 성경에서 요셉의 이야기가 기록된 때는 애굽의 소위 힉소스 왕조라 불리는 15-16왕조 때였으며(창37장), 이 왕조는 이방 민족, 즉 셈족의 두령이 세운 왕조였다. 애굽에서 총리가 된 요셉(창41:41), 그에 의해 아버지 야곱이 가족을 이끌고 애굽으로 내려온 이야기 (46:7), 출애굽전까지 고센 땅에 살았던 이야기 (47:6-11), 또한 이들의 자손이 증가했다는 이유로 노역에 시달리는 고난을 겪은 이야기(출1:9-14) 등이 애굽과 관련되어 성경 기록되어 있다. 역사학자들은 이때를 19왕조의 세티 1세 때로 보고 있으며, 하나님의 인도에 의해서 출애굽하던 때의 시기를 라암세스 2세로 추정하고 있다. 후기 애굽은 전반적으로 쇠퇴해 가는 모습을 보이게 되었다. 그러나 이스라엘은 옛날 애굽의 영화를 생각하고 그들에게 도움을 청하기도 했는데 선지자들은 이런 것에 대해 통렬하게 비난하면서, '상한 갈대 지팡이 애굽'을 의지하지 말고 하나님만 의지하라고 외쳤다(왕하18:21-22;30:7; 31:1;36:6).
애굽 시내/-강 river of Egypt
가나안의 남서쪽 국경을 표시했던 한 시내로(민34:5; 왕하24:7;겔47:19) 유다 지파의 남쪽 경계이기도 하다(수15:4,47). 우기에는 물이 풍부하여 수많은 지류의 물이 모여 바다로 빠지며, 여름에는 물이 마르는 개울(와디)이 된다. 애굽 시내는(왕하 24:7;27:12) 시내 반도 중앙부에서 발원하여 가사의 남서 80km에서 지중해로 흘러 들어가는 '와디 엘-아리쉬' 로서 애굽의 국경을 이루는 데서는 애굽 강이라고도 불리운다(창15:18).
애굽인 Egyptian
자칭 선지자 행세를 하였던 애굽 사람을 가리킨다(행 21: 38). 역사가 요세푸스의 기록에 의하면 AD 54년경 애굽의 한 거짓 선지자에 의해 예루살렘에 반란사건이 발생했다고 한다. 스스로를 위대한 선지자로 자처한 이 애굽인은 자신의 추종자 3만여 명을 이끌고 예루살렘으로 와서 광야와 감람산 등에 은거하면서 예루살렘 성벽이 파괴될 것과 로마군의 멸망을 예언하였다. 그리고는 때를 보아서 반란을 일으키려 하였다. 그러나 그 애굽인은 로마 총독 벨릭스에 의해 참패당하였으며, 그를 따르던 수많은 유대인들은 죽임을 당하였다. 이에 그는 애굽으로 몰래 도망을 갔다. 로마의 천부장 클라우디우스 리시아스는 바울을 이애굽인으로 오해했었다. 그러나 바울이 헬라 말을 할 줄 아는 다소 출신의 유대인임을 확인하자 바울이 백성들에게 변명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GOODWILL CHURCH > 성경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경사전) 애찬 / 애통(하다) / 애호 / 애호자 / 액수 (0) | 2022.10.02 |
---|---|
(성경사전) 애논 / 애니아 / 애매히 / 애석 / 애쓰다 (0) | 2022.10.02 |
(성경사전) 앞머리 / 앞서다(앞서가다) / 앞잡이 / 앞치마 / 애가 (0) | 2022.10.01 |
(성경사전) 앙망하다 / 앙모하다 / 앙장 / 앙화 / 앞 (0) | 2022.10.01 |
(성경사전) 앗소 / 앗수르1 / 앗수르2 / 앗술 / 앗실 (0) | 2022.1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