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녀 harlot
음탕한 여자, 음부(淫婦)를 의미한다. 성경에서는 성적으로 부도덕한 여인을 가리키기도 하지만 포괄적으로 악한 길로 꾀는 존재를 의미한다. 잠언에서는 음녀가 달콤한 말로 유혹하여 일시적 쾌락을 자극하는 것을 물리치라고 권면하고 있다(잠5:3;6:26;7:5;23:27;30:20).
요한계시록에서는 음녀가 바벨론을 가리키는데, 여기서 바벨론은 과거적으로는 로마를 가리키지만 미래적으로는 앞으로 나타날 우상을 숭배하는 모든 것을 포괄하는 한 실체를 가리킨다(계 17:1,5,15).
음란/-하다 harlotry
음탕하고 난잡함. 성경에서는 정상적이지 않은 관계에서의 성행위나 음탕한 행위를 가리키는데(겔43:7;호1:2), 이 말은 이스라엘 백성이 하나님과의 언약을 저버리고 우상을 숭배하는 행위와 더럽혀진 모습에 대한 비유적인 표현으로 사용되었다(출34:16;신31:16;삿2:17;겔16:58), 신약성경에서는 일반적인 의미로도 사용되었지만(마15:19;막7:21;고 후12:21), 사도 바울은 이러한 행위를 육신의 일로 규정하고 있다(롬13:13; 골3:5). 또한 타락한 세태에 대한 표현으로 사용되기도 하였다(마12:39 막8:38).
음령 shade
개역성경에서음령으로 번역된 '레파임'은 '가라앉다', '낙담하다'는 의미의 '라파' 에서 유래된 말로, 흔히 죽은 사람의혼 또는 유령을 가리키는데 이사야서 26:19에서는 '죽은 자'로 번역되고 있다. 성경에서 음령은 흔히 음부에 거하는 자들을 가리킨다. 욥기에서 이 말은 음부에까지 주권이 미치는 하나님의 권능에 대한 욥의 답변에서 언급되었다(욥26:5, 새번역 '죽은 자들').
음료 drink
사람이 갈증을 풀거나 맛을 즐기기 위하여 마시는 액체로서, 이스라엘에서는 기후적인 요건으로 인해서 음료가 아주 귀하였다. 따라서 웅덩이를 파서 빗물을 저장하거나(왕하10:14) 우물이나 샘을 파서 식수를 공급받기도 하였으며(민21:17;삼하23:15), 양이나 염소와 같은 가축에게서 우유를 얻기도 하였다(신32:14). 이러한 팔레스타인의 지역적 · 기후적 특성 때문에 성경에서는물이 아주 귀중한 개념으로 자주 나타나 있으며, 하나님의 사역과 연관지어져 많이 설명되기도 하였다.예레미야 선지자는 하나님을 생수의 근원으로(렘2:13;17:13), 예수께서는 자신을 생수로(요4:10;7:38) 묘사하기도 하셨으며, 출애굽하여 광야에서 갈증으로괴로워할 때 바위를 쳐서 물이 솟아나 마시게 한 사건과 관련하여 그 물을 신령한 음료로 표현하기도 한다(고전10:4). 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예수의 성만찬과 관계된 음료로서 예수께서는 죄인을 구속해 주시기 위해 자신의 살을 찢고 피를 흘리셔야 했다. 이때 예수께서는 대속을 위해 흘리는 자신의 피를 참음료라고 하였으며, 이 음료를 마실 때(주님의 대속을 믿고 성찬에 참예할 때) 주님과 연합하게 된다고하셨다(요6:55).
음부1 hades
죽은 사람들의 거처 혹은 상태를 가리키는 것으로 악한 자들의 최종 처벌과 구별하여 쓰이는 말이다. 음부를 뜻하는 헬라어 '하데스'는 신약성경에 여러번 등장하나 그 의미를 명확히 밝혀주고 있지 않다. 하데스라는 말은 지하 세계의 신을 가리켰던 희랍 신화에서차용한 말이다. 그러나 이 개념 자체는 구약의 쉐올(스올)에서 온 것으로, 쉐올이란 말은 히브리어 구약성경(B. II.S)에 65번 등장한다. 마태복음 11:23(참고, 눅10:15)에서 주님은 가버나움이 하데스에까지 낮아지리라 하신다. '낮아진다'는 표현은 쉐올이 지하 세계라는 구약의 가르침(시139:8;암9:2)을 반영한다. 부자와나사로의 비유(눅16:19-31)에서 부자는 하데스에서 고통을 받으면서 멀리 아브라함과 그의 품에 있는 나사로를 볼 수 있는 것으로 그려져 있다. 부자는 그의 혀를 식힐 물 한 방울과 아직도 지상에 살아있는 그의 다섯 형제들에게 사자를 보내줄 것을 요청하지만 그의 요청은 모두 거절당한다.
최초의 기독교 설교에서 베드로는 시편 16:8-11을인용하여 (참고. 행2:25-31) 주님은 죽은 자 가운데서일어나시고 음부에 버려지지 않으셨음을 증명한다.요한계시록에서 사망과 하데스는 4번이나 결합되어나타나며(1:18;6:8;20:13-14 거의 동의어로 취급되고 있다. 사망과 하데스는 불못에 던져질 것으로, 곧 철저히 파멸할 것으로 예언되어 있다(20:14).
음부2 harlot
성적으로 부도덕한 여자, 즉 정상적이지 않은관계에서 성행위를 하고 음란한 행동을 하는 여자를가리킨다(롬7:3). 성경에서 이 말은 보편적으로 하나님과의 언약을 버리고 우상을 숭배하며 죄의 길로 달려가는 이스라엘에 대한 비유적 표현으로 많이 사용되었는데(겔16:30,35;23:45), 특히 호세아서에서는 남편을 버리고 다른 남자와 간음한 호세아의 아내 고멜에빗대어 타락한 이스라엘의 죄악을 고발한다(호3:1).한편 음부로 번역된 히브리어 '케데샤'는 '거룩함'이라는 의미가 내포된 성창(聖), 즉 성전이나 신전에서종사하는 창녀를 가리킨다(호4:14), 가나안에서는 성창이 동원되어 음행하는 예배가 행해졌으나 이스라엘에서는 금지되었다(참고. 신23:17).
'GOODWILL CHURCH > 성경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경사전) 음예 / 음욕 / 음침 / 음탕 / 음풍 (0) | 2022.10.18 |
---|---|
(성경사전) 음성 / 음식 / 음실 / 음심 / 음악 (0) | 2022.10.18 |
(성경사전) 은혜 / 은휘 / 을래 / 읊다 / 음낭 (0) | 2022.10.18 |
(성경사전) 은주머니 / 은총 / 은택 / 은폐(하다) / 은행 (0) | 2022.10.15 |
(성경사전) 은익 / 은인 / 은잔 / 은장색 / 은적 (0) | 2022.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