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OODWILL CHURCH/성경사전

(성경사전) 일광 / 일구이언 / 일군 / 일기 / 일깨우다

일광 sun

햇빛을 의미한다. 해는 주로 축복으로 여겨졌고(참고, 신33:14), 사람들을 살게 하기 때문에 장수의 표시로도 사용되었던 비참고, 시89.360, 이 단어는 악인의 잠깐 동안의 번성을 햇빛 아래서 있는 싱싱한 식물로 묘사하는 본문에서(욥8:16 그리고 악인이 출생하자마자 죽어버려 전혀 해를 보지 못함 같이 되기를 기도하는 악인에 대한 저주의 본문에서 나타난다. 한편 이사야 18:4에서 하나님이 그의 처소에서 조용히 내려다 보심을 쬐이는 일광' (새번역 뙤약볕이 고요히 내리쬐듯이' )에 비유하였다.

일구이언 double-tongued

한 입으로 이랬다 저랬다 여러 가지 말을 하는 것을 가리키는 것으로, 신실하지 못하고 성실하지 못한 것을 뜻하는 말이다. 신약성경에서는 집사될 자격의 하나로서 '일구이언하지 아니함'을 들고 있으나(딤전3:8) 그 의미가 무엇인지는 분명하지 않다. 헬라어 원어는 ‘두번'을 의미하는 '디스' 에서 파생된, ''반복' 또는 '반복하다'를 의미하는 말이나, 본문에서 의도하는 것이 단순히 같은 말을 되풀이하지 말라는 것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따라서 원어상의 이 단어가 두 가지 언어를 사용하는 것 뿐만 아니라 위선적인 것, 속이는 것을 뜻하기도 하는 라틴어 'bilinguis' 에서 왔을 수도 있다는 점은 주목해 볼 만한 것이다. 다른 역본들에서 이 단어는 '진실한, 거짓없는, 위선적이 아닌'의 의미로 번역되어 있다.

일군 

<보라> 일꾼

일기 book

'날마다 있던 사실', 또는 '느낌 같은 것을 적은 기록'을 가리킨다. 히브리어 원어상의 이 단어는 '기록하다' 라는 동사에서 유래된 것으로, '조서, 책, 증거, 편지, 기록부, 두루마리' 등의 의미를 함축하고 있는 바, 에스더서에서는 페르시아 왕국의 궁중 기록을 가리키는 말로 언급되어 있다(에2:23;6:1;10:2). 이것은 수사관(史官)이 왕궁의 사건이나 특히 왕에 관한 일은 빠짐없이 기록한 것으로 왕의 목숨을 구한 모르드개의 공적과 왕이 모르드개를 높이 존귀케 한 사적과 관련하여 나타나고 있다.

일깨우다 watch

'분발시키다', '각성시키다', '자는 사람을 깨우다' 라는 뜻으로, 잠자는 상태에서 완전히 깨어나 정신차리고 활동할 수 있게 하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말이다. 그리스도인들에게 신앙의 침체 상태에서 깨어나 진리수호에 전력을 기울일 것을 권면하는 베드로의 서신에 언급되어 있다(벧후1:13;3:1). 바울은 에베소 교회 장로들에게 고별설교를 하면서 “너희가 일깨어 내가 삼년이나 밤낮 쉬지 않고 눈물로 각 사람을 훈계하던 것을 기억하라" (행 20:31)고 권면하였고, 요한은 사데교회의 사자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너는 일깨워 그 남은 바 죽게 된 것을 굳게 하라... 만일 일깨지 아니하면 내가 도적같이 이르리니" (계3:2-3)라는 말씀을 환상중에 보고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