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OODWILL CHURCH/성경사전

(성경사전) 정하다1 / 정하다2 / 정하다3 / 정형 / 정혼하다

정하다1 clean

맑고 깨끗함. 제사 의식을 기록한 레위기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이 말은 제의적인 정결함을 의미하며, 하나님의 거룩성과 관련되어 사용되었다(레 11:32:13:6,340. 신약에서는 '구별하여 갈라내다', '심판하다' (thoroughly purge)라는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마3:12눅3:17). <참조> 정결과 부정

정하다2 clean

마태복음 27:59에서 부드럽고 깨끗한 세마포를 '정한 세마포' 로 기록하면서 예수를 향한 아리마대 요셉의 정성에 대해서 표현된 말이다.

정하다3 establish

어떻게 하기로 마음 먹음을 의미. 성경에서는 어떤 양식의 고정된 양(느11:23)이나 땅의 한계(신19:14)또는 장소(겔43:21)를 결정할 때 사용되었으며, 특히 때와 관련하여 사용될 경우는 종교적인 절기나 제사 또는 정기 축제를 의미한다. 정하는 주체는 간혹 사람일 때도 있지만(느11:23) 거의 대개가 하나님이 주체자가 되셨다(창41:32;욥20:29;애2:17). 이렇게 하나님께서 인간 또는 다른 것을 향하여 정하신 뜻을 '섭리' 라고 한다(행2:23). 이러한 결정은 하나님의 명령과(출23:15;민28:2) 하나님의 목적(단8:19;합2:3)에 관련되어 사용되고 있다.

정형

어떤 일이 되어가는 상태를 일컫는 말로 사사기에서 에브라임 산지의 한 레위인이 기브아에서 봉변을 당하고 이를 전 이스라엘에 두루 알렸을 때 베냐민 지파를 제외한 전 이스라엘 회중이 미스바에 모였고, 그 레위인에게 일이 어떻게 일어났는지(공동·새번역)를 물을 때 그것을 '정형' 이라고 표현하였다(삿20:3).

정혼하다 betroth

결혼하기 전에 갖는 일종의 약혼으로 히브리인의 혼인 풍습 중 하나이다. 정혼은 결혼에 준하는 법적 구속력을 가졌다(신 22:23-27). 정혼은 임정한 혼인 약속이었고(신20:7), 대개 빙폐라고 불리우는 결혼 지참금을 남자가 처녀의 아버지에게 줌으로써 혼인이 성립되었다(출22:16). 또한 혼인식 때까지는 동침하지 않아야 했다(마1:18). 이에 대하여는 신약의 마리아와 요셉의 경우가 대표적인 정혼 관게였다(눅 1:27;2:5, 공동번역 · 개정판 '약혼'), 롯은 천사들에게서 소돔성의 멸망을 예고받고 그의 딸들과 정혼한 사위들에게도 말하였으나 그들은 이 말을 듣지 않았다(창19: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