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OODWILL CHURCH/성경사전

(성경사전) 정자 / 정절 / 정제하다 / 정조 / 정죄(하다)

정자 garden house

아하시야가 '동산 정자 길로 도망하였다'는 구절에서 나오는 말로서, 개역성경은 히브리어 원어의 뜻을 풀어서 '동산 정자' 라고 번역하였지만 그 자체가 고유명사일 가능성도 있다(왕하9:27, 공동번역 '벳하깐 Bethhaggan', 새번역 외주 '정원의 집').

정절 purity

변하지 않는 곧고 굳은 절개. 신앙적으로 순수함을 유지하는 것을 의미하는 정절은 바울이 디모데를 가르침에 있어서 신앙의 실제적인 삶에서 믿는 자의 본이 되어야 할덕목 중의 하나로 묘사한다(딤전4:12).
요한계시록에서는 예수와 하나님께 속한 자로 예수께서 인도하는 대로 따라가는 자를 정절을 지키는자로 묘사하고 있다. 이는 육적으로 부도덕한 관계를가지지 않음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신앙적으로 우상숭배나 배교를 하지 않음을 의미하기도 한다(계14:45). 바울은 구원을 얻기 위해서는 믿음과 사랑과 거룩함에 거해야 하는데 정절로써 거해야 한다고 가르친다(딤전2:15).

정제하다 keep rank

바로잡아 가지런함. 성경에서 사울이 전사한 후 새로운 통치자로 부각된 다윗을 좇는 군대가 계속적으로 모여 엄청난 숫자가 되었는데, 그 많은 군사들이 질서 정연하게 늘어서서 전투 준비를 마친 상태를 묘사할 때 사용되었다(대상 12:38 새번역 '전투채비를 하다).

정조 faith

정절 또는 믿음을 가리키는 말로서, 일반적으로 곧고 깨끗한 절개, 또는 성적 관계의 순결을 가리키지만, 성경에서는 하나님을 떠나 우상숭배에 열중하던 이스라엘 백성에 대하여 쓰였다(호5:7).

정죄/-하다 condemn

죄가 있는 것으로 판정함. 성경에서 정죄의 개념은 욥기 시편 잠언에서 잘 나타나고 있는데, 이것에 대한 개념은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사용되었으며, 하나님의 객관적 공의의 법에 의한 판단을 일컫는 말이었다(시32:2). 정죄는 죄의 행위 및 그 결과들 그리고 그 범죄에 해당하는 형벌 모두를 가리키며(신25:1-3), 정죄당한 자의 결과는 하나님으로부터 분리되거나 소외되는 것이었다(사59:2). 레위기에서는 여호와의 금령을 정하여 이스라엘 백성들로 지키게 하였는데, 만일 이것을 어기면 정죄당하게 되었고, 속죄 제사를 통하여 회복되었다(레46장). 여기에는 하나님과 그의 백성의 관계가 올바르게 되기를 바라는 하나님의 사랑이 내포되어 있는데, 이것은 제의적이면서 윤리적이었다. 구약에서는 대부분이 하나님의 율법을 범하고 율례를 어기고 언약을 파기한 자들이 정죄의 대상으로 여겨졌다(사24:6). 그러나 하나님께 피하는 자들(시34:22), 의인들(시37:33), 하나님의 종들(사54:17)은 정죄를 당하지 않았다. 특히 욥기에 나타난 정죄의 개념은 삶의 결과만 가지고 정죄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가르쳐 준다(욥32:3).
신약에서는 정죄를 예수 그리스도를 믿지 않고 부정하는 것(마12:37; 막16:16;요3:19)과 회개치 않는 것(마12:41), 믿음으로 좋아하지 아니하는 것(롬14:23) 등으로 정의한다. 이러한 정죄는 회개하여 하나님께 인도하게 하고 믿음을 유지하고 성장하게 해주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고후7:3). 정죄하는 권한은 하나님께만 있기 때문에 사람이 사람을 정죄해서는 안 되었다.로마서에서는 아담 한 사람으로 인하여 정죄가 많은 사람에게 이르렀지만 예수 그리스도 한 분으로 말미암아 의롭다 하심을 받아 생명에 이른다고 하였다(롬 5:18). 따라서 예수 그리스도 안에 있으면 결코 정죄함이 없다(롬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