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OODWILL CHURCH/성경사전

(성경사전) 하하 / 하히롯 / 학 / 학가단 / 학개

하하 aha 

감탄사로서 기뻐서 입을크게 벌리어 웃을 때 나는 소리' 또는 '기막힌 일을 당했을 때 탄식하여 내는 소리' 이다(겔36:2). 이 말은 시편에서 곤경에 빠진 의인의 모습을 보고 승리감에 젖어 있는 원수들의 모습을 표현한 데서도 찾아볼 수 있다(시35:21;40:15), 개역성경에서는 이 말보다는 '아하'로 번역되어 있는 곳이 더 많이 있다. <참조> 아하

하히롯 Pi-Hahiroth

애굽 북동쪽의 한 지역으로 이스라엘 백성들이 홍해를 건너기전에 진쳤던 곳이다(민33:8). '비하히롯'으로도 불리웠다(출14:2,9;민33:7). <참조> 비하히롯

학 stork

두루미목(目) 두루미과(科)의 새로 목과 다리가 길고 긴 부리를 가지고 있으며, 흰색과 회색의 바탕에 목과 날개가 검은 것도 있다. 이 새는 주로 파충류, 물고기, 새 등을 먹이로 삼는다. 학으로 번역된 히브리어 원어는 '애정 있는 새'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는데, 실제로 학은 새끼들을 잘 돌보는 새로 알려져 있다. 학은 성경에서 부정한 짐승과정결한 짐승에 대한 규례에서 부정하여 먹지 못하는조류로 구분되어 있다(레11:19;신14:18). 또한 학은 철새로서 봄에 팔레스타인을 거쳐 북쪽으로 이동하는데, 이것은 계절의 징조를 알고 거기에 순응하기 때문이다. 선지자 예레미야는 인간보다 못한 새들의 이러한 습성을 비유로 들어 인간의 어리석음을 책망하였다(렘8:7).

학가단 Hakkatan 

아스갓 자손으로, 에스라와 함께 바벨론 포로에서 귀환한 족장 요하난의 아버지이다(스8:12).

학개 Haggai 

예루살렘 성전 재건과 관련하여 유다에서 활동한 포로기 이후(B. C. 6세기경)의 선지자로 '학개서'의 저자이다. 성경은 학개의 출신 가계나 고향, 생애에 관하여 전혀 언급하고 있지 않으며, 다만 '선지자 (스5:1;6:14;학1:1), 또는 '여호와의 사자' (1:13)라고만 소개하고 있다.
'학개' 라는 이름은 유월절이나 오순절, 초막절 등의 순례절들과 연결되는 히브리어 ‘하그’(‘축제’를 뜻하는 말)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측되며, 그로 보건대 아마도 그는 중요한 유대의 절기 중 어느 하나와 관련된 기간 동안에 태어났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의 출생지는 바벨론이었을 것이며, 다리오 왕(B, C. 521-485) 2년에 예루살렘에 있었던 것으로 보아(학1:1) 그 이전 어느 시기엔가 그곳에 왔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학개서 2:3의 내용으로 보아 그는 예루살렘이 함락될 당시 B. C. 586) 파괴된 솔로몬 성전의 모습을 본 적이 있는 인물이며, 이것이 맞는 추측이라면 그가 예언을 시작했을 때의 나이는 매우 많았을 것으로 여겨진다. 스가랴와는 동시대의 인물로, 이스라엘 백성들로 하여금 중단된 성전 건축을 재개하도록 함께 도전하고 격려하였다(스5:1;6:14. 참고. 슥1:16. 그의 사역은 매우 짧았지만(B. C. 520년 다리오 왕 69월, 태양력으로 9-12월까지 4개월간) 어떤 선지자도 그보다 더 강한 영향력을 미치지는 못했다. 그는 선지자 중에 가장 실제적인 인물로 성전 재건을 동기로 하여 백성들의 영적 각성 촉구와 함께 현세적 이익과 물질적 번영을 들어 귀환민을 고무하고 격려하여 새 열정으로 그 공사를 필역케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