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대/-자 deal hardly/oppressor
혹독하게 괴롭히는 것을 학대라 하고, 그러한 행동을 하는 사람을학대자라 한다. 성경에서 이 말은 주로 가난한 자와약한 자를 압제하는 행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었으며, 원어상으로는 무력으로 빼앗는 것, 폭력, 사기, 불의 등의 개념을 함축하고 있다.
잠언 14:31 은 가난한 사람을 학대하는 자는 그를 지으신 이를 멸시하는 자라고 언급하고 있거니와 학대하는 것은 이스라엘이 하나님께로부터 엄중한 어조로경고를 받은 크나큰 죄악이었다. 그 대상이 종이든,나그네든(신24:14), 아니면 자기보다 더 천한 계급의사람이든, 어느 누구에게라도 악한 행위가 행해지거나 계획되어서는 안 되는 일이었다. 이런 학대 행위는하나님께 대하여 신실치 못한 행위로 간주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패역한 이스라엘 백성들은 그러한행위를 하기에 서슴지 않았으며(암4:1;미 2:2), 에브라임은 우상을 따르다가 다른 민족에 의해 압제를 당하기까지에 이른다(호5:11-12), 적대자들에 의해 이스라엘이 받은 억압과 고통은 사사 시대에도 자주 겪어야 했던 일이었으며(삿4:3:10:8), 또한 성경의 몇몇 본문들은하나님께서 범죄한 이스라엘에게 보내신 압제자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다(왕하13:322; 암6:14).
출애굽기 1:12에서 언급된 이스라엘이 당한 학대는애굽인이 이스라엘을 괴롭힌 정도가 아니라 노예에게대하는 것 이상의 행위였음을 의미한다. 사라가 하갈을 괴롭게 한 그 학대도 이와 같은 의미를 담고 있다.한편 이 말은 타국인에 대한 사랑의 선포(레19:34)와 반대 개념을 전달하는 말로 사용되기도 하는데, 이것은어떤 사람에게 불의를 행하는 것과 관련된 표현이었다(레19:33;겔18:7;22:29). 한편 출애굽기 22:21은 이스라엘사람들이 이방인이나 나그네를 학대해서는 안 되는 이유에 대하여 기록하고 있는데, 그것은 그들 역시 한때압제자인 애굽의 학대하에 나그네로 있었기 때문이다.
구약성경에서는 종종 하나님이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학대자를 보내시는 분으로 묘사되기도 하는데(왕하13:3,22;암6:14), 그것은 악의에서 기인된 것이아니라 회개에 대한 하나님의 요구를 거절한 죄인들에 대한 심판이며, 동시에 회개를 촉구하시기 위하여 사용하시는 고통의 한 방법이다. 이것은 구약에서 계속해서 반복되는 주제이다. 선지자 예레미야는 하나님께서는 또한 자신이 고통당하게 한 이스라엘을 학대에서 회복시키시는 주체자이심을 강조하고 있다(렘50:17,33-34). 신약성경에서 학대는믿음의 선진들이 이겨낸 세상의 핍박 가운데 하나(히11:37)로, 그리고 신앙 공동체가 이행해야 할 사랑의 구체적인 방법을 설명하는 문맥 (13:3) 중에 언급되어 있다.
학모니 Hachmoni
다윗 왕의아들들의 배종(從)이었던 여히엘의 아버지이다(대상27:32).
학몬 사람 Hachmonite
다윗의 용사들 중의 한 사람인 야소암이 속한 가문이다(대상11:11). 한편 사무엘하 23:8에서는 ‘다그몬 사람'이라 불리우고 있는데, 다른 사본에서는 '학사람'으로 기록되어 있기도 하다(참고, BHS비평란;NIV난외주).
학문 learning
배우고 익히는 일, 또는 체계가 선 지식을 의미하는 말이다. 느부갓네살 왕에 의해 바벨론으로 옮겨간 유다의 왕족과 귀족들은 이 학문에 익숙한 사람들이었다(단1:4). 한편 다니엘 1:4, 17에서 이 단어는‘문서’ 또는 ‘책’, '기록' 등을 의미하는 히브리어에대한 번역어로, 갈대아의 문학이나 예술, 과학 특히 천문학 등에 대한 총칭으로 쓰여졌다.
신약에는 바울(행26:24)과 아볼로(18:24)가 학문이많은 사람으로 소개되어 있다. 한편 베드로와 요한을본래 배운 것이 없는 무식한 사람으로 여겼었던 공회원들은 그들이 자신들의 질문에 기탄없이 대답하는것에 놀랐다(행4:13).
학사 scribe
학문 연구에 전념하는 사람을 뜻한다. 학사로 번역된히브리어 원어 '소페르'는 일반적으로 정치, 종교, 사상 전반에 걸쳐 중요 문서의 작성, 보관의 업무를 담당하던 서기관을 가리켰다. 그러나 개역 성경에서는 주로 율법(모세오경)을 연구하며, 그것에 능통하여서 성경을 해석하고 가르치는 자에 대한 호칭으로 사용되는데, 주로 에스라를 소개하는 말로 자주 언급되어 있다(스7:6,11-12,21;느8:1,4,9,13;12:36), 원어상으로는 아람어로 기록되어진 부분들도 발견된다(스7:6,11-12,21).
'GOODWILL CHURCH > 성경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경사전) 한1 / 한2 / 한3 / 한가하다 / 한결같다 (0) | 2022.11.09 |
---|---|
(성경사전) 학살 / 학술 / 학식 / 학자 / 학질 (0) | 2022.11.09 |
(성경사전) 학개서 / 학고스 / 학기 / 학기야 / 학깃 (0) | 2022.11.09 |
(성경사전) 하하 / 하히롯 / 학 / 학가단 / 학개 (0) | 2022.11.09 |
(성경사전) 하윌라1 / 하윌라2 / 하인 / 하체 / 하층 (0) | 2022.1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