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OODWILL CHURCH/성경사전

(성경사전) 한1 / 한2 / 한3 / 한가하다 / 한결같다

한1 plague

원한 또는 한탄을 의미하는 말이다. 성경에서 언급된 '한'은 많은 경우미움이나 증오를 뜻한다. 원어상의 이 단어는 혐오하고 경멸하는 사물이나 사람에 대한 감정적 태도, 즉 사랑과 반대되는 태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시89:23;전2:17-18), 때로는 사람들이 하나님을 미워하는 것에 대해서도 사용되었다(시81:15;83:2). 한편 한은 강력한 분노를 표현하는 행위를 가리키는 것이기도 하다(단11:30). 창세기 27:42에서는 '한을 풀다' 라는 표현을통해서 강한 분노를 표현하는 행위, 즉 복수를 하였음을 나타내었다.

한2 measure

정해놓은 범위 혹은 한계를 의미한다. 원어적으로 이말은 ‘찾다’, ‘추적하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지만, 때로는 하나님의 속성과 같이 그 끝을 찾기 힘든 것에 대하여 사용되기도 하였다(사40:28). 성경에서는 하나님의 인격 혹은 사역과 관련되어 있는 구절들 속에서 이단어가 언급되는 바, 하나님의 본성, 에컨대 하나님의멍칠을 측량하는 것이 불가능한 것임을 강조한 곳과(사40:28), 하나님과 인간의 관계를 밝히는 본문들 속에서 사용되었다(행 17:26), 사도행전 17:26에 의하면 인간에게 거주의 한계를 정해 주신 분은 하나님이시다.

한3 abhor

원어적으로 '거절하다', '밀시하다', '경멸하다'의 의미를 지닌다. 성경에서는 욥이 자기 자신에게 사용한 말로 '자신을 멸시하고', 즉 자신의 잘못을 깨닫는다(공동번역)는 의미로 사용되었다(욥42:6).

한가하다 free

별로 할 일이 없어 시간적 여유를 가지는 것을 뜻하는 말이다. 원어상으로는 본래 '보이다' 라는 의미를 지닌 말이지만, 이말은 기본적인 개념으로부터 도출해 낸 여러 가지 의미들을 함축하고 있다. 아모스서에서 비유적인 표현으로 사용된 이 말은 '성읍에서 너희 이를 한가하게하며' (암4:6)라는 표현에서 '깨끗하게 하다' 라는 함축적 의미를 보여준다. 여기서 '이를 깨끗하게 한다'는말은 양식이 없어 굶주린 결과 이빨에 낄 것이 없는 것을 가리키는 비유적 표현이다. 때로는 이 말이 어떤형벌로부터 자유롭게 된다는 의미로 사용되기도 하는데, 신명기 율법에서 병역 의무와 같은 어떤 의무로부터 면제되거나(공동번역) 자유롭게 되는 것을 나타내는 말로 사용되었다(신24:5).

한결같다 have one likeness

'처음부터 끝까지 꼭 같다' 라는 말이다. 에스겔이 환상 중에 본 네바퀴의 형상과 구조가 동일함을 묘사한 곳과(겔1:16;10:10), 부정직한 상인들이 사용한 이중 저울(한결같지 않은 저울)에 관해 언급한 구절들 가운데서 보여진다(잠20:10,23), 신약에서는 이 단어가 예수 그리스도의 인성(人性)을 나타내는 구절에서 사용되었는데,히브리서 기자는 그리스도께서 우리와 동일한 인간이되셔서 인간이 당하는 시험을 실제로 당하셨음을 표현하고 있다(히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