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OODWILL CHURCH/성경사전

(성경사전) 횡/ 횡포/ 횡행하다/ 효/ 효력

횡 breadth

'폭, 넓이'를 의미하는 말이다. 롯에게 가장 좋은 땅을 양보한 아브라함에게 하나님께서 약속의 땅을 바라보라 하시고는 그 땅에 대해 보증해 주시는 내용을 기록하고 있는 성경 본문에 사용되어 있다(창13:17).

횡포 wickedness

상리에 벗어나서 몹시 사납게 구는 행동을 지칭한 말이다. 이 단어는 원어상 '하나님의 권위에 반항하는 것'을 가리키는 말로서, 이스라엘이 왕되신 하나님과 그들 사이에 성립된 계약을 배반한 죄와 관련하여 자주 사용되었다. 이 단어가 나타내는 죄에 대한 척도는 하나님 자신의 성품인데, 이는 하나님이 계시지 않다면 그러한 죄도 있을 수 없기 때문이다. '횡포' 라는 단어는 욥이 하나님을 사람의 죄(횡포)에 별로 관심이 없는 분으로 생각하여 헛된 말을 내뱉는다고 한 엘리후의 비난의 말 가운데에 언급되어 있다(욥35:15).

횡행하다 freely

'거리낌 없이 함부로 돌아다니다' 라는 말이다. 성경에서 이 말은 여러 종류의 움직임에 대하여 적용되는 '걷다' 라는 의미의 히브리어를 번역한 말로서, 악인이 도처에 우글거리는 것에 대하여 호소하는 시편 기자의 한 기도 가운데 언급되어 있다(시 12:8, 공동번역 '우글거리다').

효 piety

부모를 잘 섬기는 일을 말한다. 개역성경에서 '효를 행하다'로 번역되어 있는 이 단어는 '경건을 보이다, 경건 생활을 하다'라는 의미를 갖는 말로서 그리스도인의 생활 방식을 나타내는 데 쓰여진 단어이다. 이 단어가 부모님께 대해 사용될 때는 '존경하다' 는 의미를 나타내는 말인데, 바울은 목회서신에서 과부의 자녀나 손자들에게 주어지는 '효의 실행' 에 대해 교훈하면서 이 원어를 사용하였다(딤전5:4). 여기에서 바울은 효의 실행과 하나님을 믿는 신앙이 불가분의 관계에 있음을 강조하고 있는 바, 여기에서 말하는 '효'는 도덕적인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그것은 그리스도인의 경건한 의무로서의 '효'를 가리킨다.

효력 effect

‘효과, 효험, 보람, 공로, 효능’ 을 나타내는 힘을 뜻한다. 구약성경에서 이 단어가 가진 원어상의 의미는 '생산해낼 수 있는 정력, 기력' 이다.
이 단어는 창세기 4:12에서 땅의 기력의 소산을 나타내는 것으로 사용되고 있다. 신약에 언급되어 있는 이 단어는 능력이라는 점에 더욱 강조를 두고 있는 말인 바, 을 할 수 있다'를 뜻하는 헬라어 동사의 번역으로 갈라디아서, 히브리서에 나타난다. 신약성경에서는 할레와 무할례가 의로움을 얻게 하는 데 아무런 힘(효력)도 갖지 못하며 (갈5:6), 단지 사랑을 통하여 역사하는 믿음으로만 가능하다고 말한다. 또한 이 단어는 유언자가 죽은 후에야 그 효능을 나타내는 유언(히 9:17)을 묘사하는 데 사용되어 그리스도의 죽음이 인간들의 구원을 위해서는 필수적이었음을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