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OODWILL CHURCH/성경사전

(성경사전) 후곡/ 후군/ 후궁1/ 후궁2/ 후대1/ 후대2(하다)

후곡 Hukok
아셀 지파의 분깃 중에서 할당받은 레위인의 거주지 중 하나로(대상6:75),다른 본문에서는 '헬갓'으로 부르고 있다(수21:31), 오늘날의 '텔 엘 하르배'로 추정된다.

후군 rear ward
‘뒤에 있는 군대'를 뜻하는 말로서, 성경에서 이 단어는 여리고 성을 돌 때의 이스라엘 군의 진행 위치를 설명하고 있는곳(수6:9,13)과 하나님께서 북편 군대를 이스라엘에서쫓아내시는 장면을 묘사한 데서(욜2:20) 보여진다. 여호수아 10:19의 '후군을 치다' 는 원어상으로는 '꼬리를 잘라버리다'를 뜻하는 '잔인함' 의 개념을 내포하고 있다.

후궁1 house of the women
주된 궁전 뒤쪽에 있는 궁전을 뜻한다. 에스더서에서에스더를 비롯한 수많은 왕후 후보자들이 머물렀던곳(에2:3,9,11,13), 혹은 왕의 첩(비빈)의 처소(2:14)를 일컫는 말로 쓰여져 있다.

후궁2 concubine
‘제왕의 첩'을 뜻한다. 고대 이스라엘에서 첩은 비록 그 지위는 2급이었지만 분명한 보호와 권리를 누릴 수 있는실제적인 아내였다. 구약의 많은 남자들은 한 명 혹은여러 명의 첩을 갖고 있었는데(지위와 부의 상징이었음), 특히 왕에게는 많은 첩(비빈)이 있어 왔다(참고,에2:14;아6:8;단5:3,23). 고대 근동에는 왕의 첩과 동침하는 행위를 보좌를 찬탈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여겨왔던 관례가 있다. 개역성경은 다윗이 반역을 일으킨압살롬을 피해 도피 길에 올랐던 때에 궁을 지키도록남겨두었던 다윗의 10명의 첩들에 대하여 '후궁' 이라는 단어를 사용하고 있다(삼하15:16;20:3), 교만해진 압살롬은 아히도벨의 모략을 좇아 이스라엘의 눈앞에서 그녀들과 동침함으로써 자신이 왕권을 이어받은사실을 나타내 보이려 하였다(삼하16:21-22).

후대1 generation following
‘뒤의 세대' (next generation)를 뜻하는 말로서, 여기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원어는 개역성경의 많은 구절들에서'세대' (창7:1;신1:35), '대대' (창17:7;출3:15), '대' (신7:9), '시대' (사51:9) 등으로 번역되어 있다. 따라서 이단어는 시간의 기간이나 시대를 나타내기 위하여 다양하게 사용되었다. 시편 기자는 이 단어를 '후손의세대' 라는 의미로 사용하여 하나님의 힘(시71:18), 하나님의 명예와 능력과 기이한 사적 (78:46을 후손들에게 전할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한편, 하나님을 경외하는 자가 받게 될 축복은 후손에게까지 미치게 될 것이다(시 112:2). 또한 '후대' 는 위의 원어에 시간의)뒤에 오는' (시48:13)을 의미하는 히브리어를 함께 사용한 히브리어구(句)를 번역한 표현으로, 선대에 대한후대, 즉 후시대 (욜1:3)를 가리키는 말이다.

후대2/-하다 deal bountifully
구약성경에 언급되어 있는 '후대' 라는 단어는 원어상으로는 여러 가지 의미를 지닌 말로서, 사랑, 친절, 선함, 긍휼, 자비 등을 포함하는 어떤 태도 또는 행위에대하여 쓰여져 있다. 창세기에서의 아비멜렉은 아브라함과 계약을 맺기 위하여 그 근거들로서 아브라함에게 자신이 이전에 베풀었던 친절한 행위들을 상기시킨다(창21:23). 또한 이스라엘이 기드온에게 많은은혜를 입었음에도 불구하고 그 은혜를 저버렸던 일이 이 단어로 기록되어 있다(삿8:35). 창세기 12:16과사무엘상 25:31에 '후대로' 번역되어 있는 히브리어원어는 그의 백성들에 대한 하나님의 은혜로운 태도및 행위를 가리키거나, 인격의 여부에 상관없이 일반적으로 자비를 가리키는 데 사용되는 말이다. 또한 이말은 어떤 사람에게 선으로 갚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시13:6;116:7;119:17;1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