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설교문 모음/특별 설교

허무함에서 벗어나는 방법 나이들수록 허무함에서 벗어나는 법 | 강영안 교수 | 미국 칼빈신학대학 교수 서강대학교 철학과 명예교수 | 강의 설교 요약 정리 설명

전도서에서 배우는 삶의 의미

50대나 60대에 접어들면서 불행하다고 느껴본 적은 거의 없는 것 같습니다. 전도서에서 우리가 배울 수 있는 중요한 교훈이 있지 않나 생각합니다. 저는 나이가 50이 넘어서 전도서를 다른 책보다 더 자주 읽게 되었고, 그만큼 전도서에 관한 주석도 많습니다. 전도서는 나이가 들어가면서 특히 더 큰 의미를 지닌 책이 되었습니다.

 

전도서의 철학적 접근

전도서는 성경 가운데 가장 철학적인 책일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전도서는 물음으로 시작해서, 하나님께서 주시는 답으로 마무리되기 때문입니다. 이 책은 우리의 삶을 깊이 성찰하게 만드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전도서는 "헛되고 헛되니 모든 것이 헛되다"라는 말로 시작하며, 이는 우리의 삶을 여러 가지 시각에서 바라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삶의 허무함을 이해하기

전도서에서 말하는 '헛됨'은 크게 세 가지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첫째, 우리의 삶은 결코 완전히 이해될 수 없다는 것입니다. 둘째, 존재론적으로 우리의 삶이 실체가 없는 것처럼 느껴질 수 있다는 것입니다. 셋째, 가치론적으로 우리의 삶이 궁극적인 가치를 지니지 않는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헛됨'의 인식은 우리에게 중요한 교훈을 줍니다.

 

하나님께서 주신 선물: 일상에서의 기쁨

전도서는 또한 우리가 일상에서 경험하는 기쁨이 하나님의 선물이라는 점을 강조합니다. 우리가 먹고 마시고, 사람들과 만나는 모든 일상이 하나님의 선물임을 인식해야 합니다. 우리 삶의 기쁨은 우리가 받은 선물을 감사하며 누리는 데서 비롯됩니다. 우리가 경험하는 모든 것들은 결국 하나님께서 주신 것입니다.

 

감사의 태도와 나누는 삶

우리가 받은 모든 선물에 대해 감사하는 태도를 가져야 합니다. 감사하는 마음은 우리가 받은 것을 남과 나누는 데서 그 진정성이 드러납니다. 예를 들어, 어린이가 자동차를 선물받으면 그것을 단순히 보관하지 않고, 실제로 그 선물을 사용하여 즐깁니다. 마찬가지로 우리가 받은 하나님의 선물도 이를 활용하여 다른 사람들과 나누고, 그것이 우리가 할 수 있는 최고의 감사입니다.

 

불행의 원인: 비교와 불만

우리가 감사하지 않으면, 종종 다른 사람과 비교하게 됩니다. 불행의 대부분은 비교에서 옵니다. 자신이 가진 것과 다른 사람들이 가진 것을 비교하면서, 우리는 불만을 가지게 되고 이는 나의 삶과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나쁘게 만듭니다. 비교를 통해 우리는 자주 실망하고, 비관적인 태도를 취하게 됩니다.

 

선물을 잘 사용하는 법: 나누고 감사하라

우리는 모두 하나님께 받은 선물이 있습니다. 그리고 그 선물을 잘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더 많은 선물을 나누고, 그것을 통해 기쁨을 얻을 수 있습니다. 고린도전서 12장에서는 우리가 가진 은사와 재능을 다른 사람과 나누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이와 같은 나누는 삶은 교회 공동체를 더욱 풍성하게 합니다.

 

죽음을 기억하며 감사하는 삶

우리는 결국 죽음을 맞이할 존재입니다. 전도서에서는 우리가 죽음을 기억하며, 현재를 감사하게 살아갈 것을 권면합니다.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오늘을 감사하며, 내일을 걱정하기보다는 오늘을 즐기는 삶을 살아가야 합니다. '까르페디엠'(Carpe Diem), 오늘을 붙잡고 즐기라는 말처럼, 우리는 매일 감사하며 살아가야 합니다.

 

행복한 친구와 함께하는 삶

행복한 삶은 좋은 친구와 함께할 때 더욱 풍성해집니다. 나이가 들어가면서 더욱 행복한 친구가 필요합니다. 그런 친구는 감사하는 마음으로 살아가며, 그 삶을 나누는 사람입니다. 우리는 행복을 전염시킬 수 있습니다. 그런 친구와 함께 감사하며 행복한 삶을 살아가야 합니다.

 

결론: 하나님의 계명과 사랑으로 살아가기

전도서의 마지막 구절은 하나님을 경외하고, 그분의 계명을 지킬 것을 말합니다. 하나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사랑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계명입니다. 이 계명을 지키며 살아가는 삶이 바로 우리가 행복하고 의미 있는 삶을 살아가는 길입니다.

 

아래 풀버전 영상을 꼭 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