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설교문 모음/특별 설교

듣고 또 들어도 불공정하게 느껴졌던 이야기 포도원 비유의 진짜 의미 성경이 말하는 공정이란? | 신학박사 김학철 연세대 교수 목사 | 강의 설교 요약 정리 설명

자원의 배분과 사회적 공정성

공동체 내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 중 하나는 자원의 배분입니다. 이 문제에 대해 성경은 어떻게 이야기하는지 살펴보려 합니다. 마태복음서 20장 1절부터 16절까지의 '정의롭고 자비로운 포도원 주인의 비유'를 통해 성경이 말하는 공정의 본질을 살펴보겠습니다.

 

공정과 체제의 관계

공정이라는 개념은 사실 매우 보수적인 이야기입니다. 공정은 '체제 안에서의 경쟁'과 관련이 깊습니다. 과거에는 자본주의와 공산주의, 민주주의와 사회주의 사이에서 체제의 옳고 그름을 논의했지만, 오늘날에는 체제 자체를 긍정하고 그 안에서 자원을 공정하게 배분하는 문제가 중요해졌습니다. 성경에서도 이 문제를 다루고 있으며, 마태복음서의 포도원 주인 비유가 그 핵심을 설명합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의론과 성경의 공정성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는 정의와 공정에 대해 중요한 구분을 제시했습니다. 그는 '품성으로서의 정의'와 '준법으로서의 정의'를 설명하며, 자원의 배분에서 공정함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마태복음서에서도 자원의 배분에 대한 정의롭고 공정한 방식이 중요하게 다뤄집니다. 이 비유는 우리가 공정함을 어떻게 이해할 수 있는지를 깨닫게 합니다.

 

포도원 주인의 비유

마태복음서에 등장하는 포도원 주인의 비유는 하늘나라와 하나님의 정의로운 통치를 설명하는 중요한 이야기입니다. 이 비유에서 포도원 주인은 아침 일찍부터 일꾼을 고용하고, 이후에도 계속해서 일꾼을 모집하여 일당을 지급합니다. 그러나 주인은 이들을 모두 동일한 품삯으로 대합니다. 이는 처음 고용된 이들과 마지막으로 고용된 이들 간의 불평등을 극복하려는 의도가 담겨 있습니다.

 

사회적 불평등과 자원의 공정한 배분

이 비유에서 포도원 주인은 처음 고용된 사람들에게도, 마지막으로 고용된 사람들에게도 동일한 품삯을 줍니다. 이는 사회적 불평등을 해결하기 위한 하나님의 의도를 나타냅니다. 불공정한 배분이 아니라, 모든 사람에게 동등한 기회를 제공하는 것, 그것이 바로 하나님의 공정함입니다. 예수님은 이를 통해 자원의 배분에서 진정한 공정이 무엇인지를 가르쳐주고 있습니다.

 

공정성의 본질

공정성이란 무엇일까요? 아리스토텔레스는 '공정한 사람은 자신에게 주어진 몫을 넘지 않으며, 자기가 가질 수 있는 것 이상으로 과도하게 주장하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마태복음서에서 포도원 주인은 자신의 자원으로 모든 이에게 동등한 기회를 제공하며, 이를 통해 공정함을 실천합니다. 하나님이 원하는 공정은 사람들이 각자의 능력과 상황을 고려하여 동등하게 대우받는 것입니다.

 

결론: 하나님의 공정한 자원 배분

마태복음서의 포도원 주인 비유는 자원의 배분에 있어 하나님의 정의로운 공정함을 설명합니다. 인간 사회에서 자원 배분이 불공정할 때, 하나님은 모든 사람에게 동등한 기회를 제공하고, 각자의 몫을 공정하게 나누어 줍니다. 이는 우리에게 진정한 공정과 자원의 배분이 무엇인지를 깊이 생각하게 합니다. 결국, 하나님의 공정은 단지 물질적인 것을 넘어, 사람들 간의 평등과 사랑을 강조하는 것입니다.

 

아래 풀버전 영상을 꼭 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