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설교문 모음/특별 설교

삼위일체를 제대로 설명해 보겠습니다 한 뿌리에서 나온 기독교 유대교 이슬람교의 결정적 차이 | 김진혁 교수 |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 | 강의 설교 요약 정리 설명

유일신교의 공통점: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

세계에는 많은 종교가 존재합니다. 그 중에서도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는 아브라함을 공통의 조상으로 믿는 유일신교로 분류됩니다. 이들 세 종교는 다양한 차이점이 있지만, 가장 큰 차이는 '삼위일체론'에 관한 교리입니다.

 

삼위일체론의 독특한 신 이해

기독교만이 삼위일체론을 채택하는 이유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가 가지는 가장 큰 차이를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그 차이는 바로 기독교만이 하나님을 이미지로 표현했다는 점입니다. 유대교는 십계명에 따라 하나님의 형상을 만들지 않으며, 이슬람교 또한 알라를 어떠한 이미지로도 묘사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기독교는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하나님을 시각적으로 묘사하는 전통을 이어왔습니다.

 

예수 그리스도와 삼위일체론의 형성

기독교에서 삼위일체론을 이해하려면 예수 그리스도가 누구인지에 대한 질문에 답해야 합니다. 신약 성경, 특히 바울서신에서 바울은 예수 그리스도를 보이지 않는 하나님의 형상이라고 언급합니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기독교의 삼위일체론이 형성되었으며, 이는 단순한 이론이나 추상적인 교리가 아닌, 예수 그리스도를 구주로 고백하고 예배하는 실천적인 문제와 연결됩니다.

 

삼위일체론의 형성 과정

삼위일체론이라는 용어가 등장한 것은 그리스어로 2세기 후반, 라틴어로는 3세기부터였습니다. 그러나 삼위일체 교리가 공식적으로 정립된 것은 325년, 니케아 공의회에서였습니다.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와 부활, 승천 이후, 약 300년간 그리스도인들은 하나님에 대해 어떻게 이야기할 수 있을지에 대해 고민하며 삼위일체 교리를 발전시켰습니다.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과 현존

예수 그리스도는 1세기 로마의 정치범으로 십자가에 처형되었지만, 그의 제자들은 그가 부활하고 승천한 후에도 여전히 강력하게 현존한다고 믿었습니다. 이 경험은 초대 그리스도인들이 예수 그리스도를 예배하는 방식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들은 예수 그리스도를 하나님과 동일시하며, 삼위일체 하나님을 예배했습니다.

 

삼위일체론의 신학적 도전

삼위일체론은 고대 그리스 철학과 로마 문명에서 형이상학적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교리였습니다.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들은 우주가 하나의 원인으로 질서 지어진다고 생각했으며, 삼위일체론을 이해하는 데 큰 도전이 있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초기 그리스도인들은 삼위일체 하나님에 대한 강렬한 신앙 경험을 바탕으로 이 교리를 확립해 나갔습니다.

 

삼위일체론의 신비와 교리 발전

삼위일체론은 그 신비를 설명하는 데 있어 인간의 언어로는 한계가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초기 그리스도인들은 이 신비를 이해하려는 노력 속에서 여러 비유를 사용했습니다. 그 중 하나는 '사랑'의 개념을 통해 삼위일체 하나님을 설명하는 방식이었습니다. 사랑하는 사람, 사랑받는 사람, 그리고 그 사이의 사랑이 서로 분리되지 않지만, 반드시 존재해야 한다는 비유를 통해 하나님을 설명하려 했습니다.

 

삼위일체론의 실천적 의미

삼위일체론은 단순히 신학적 교리가 아니라, 우리의 삶과 신앙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개념입니다. 예를 들어, '하나님은 사랑'이라는 구절을 통해 우리는 세상의 궁극적인 원리가 추상적인 법칙이 아니라 사랑과 관계에 있음을 깨닫게 됩니다. 이로 인해 기독교인들은 세상과 인간을 사랑과 교제의 관점에서 바라보게 되었습니다.

 

삼위일체론과 구원론

삼위일체론은 구원론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우리는 하나님의 자녀가 될 수 있으며, 이는 단지 죄의 용서를 넘어서, 예수 그리스도처럼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삼위일체 교리는 기독교의 구원론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로, 우리가 예수 그리스도의 영을 받아들이고, 그의 본성을 닮아갈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결론

삼위일체론은 기독교의 핵심 신학적 교리 중 하나로, 하나님에 대한 깊은 이해와 예수 그리스도의 역할을 명확히 규명합니다. 삼위일체 교리는 신학적 이해를 넘어, 신앙인들에게 실천적인 의미를 전달하며, 그리스도인들의 삶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하나님의 사랑을 체험하고, 그 사랑을 세상에 전달하는 사명을 가지고 살아갑니다.

 

아래 풀버전 영상을 꼭 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