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설교문 모음/특별 설교

다가오는 여섯 번째 대멸종 하나님의 심판일까요? 교회의 역할은? | 이정모 관장 | 국립과천과학관 | 강의 설교 요약 정리 설명

여섯 번째 대멸종: 인류의 위기

자연사에 따르면, 인류는 여섯 번째 대멸종을 통과할 수 없을 것입니다. 그래서 기후 변화가 두려운 이유입니다.

 

과학관의 중요성

우리나라에는 147개의 과학관이 있습니다. 그 중 제가 일하는 과천과학관은 아시아에서 두 번째로 크며, 실제로는 가장 크고 훌륭한 과학관이라고 자부합니다. 저는 과천과학관의 관장으로 일하고 있습니다. 겸손한 척 하려 해도 쉽게 그렇게 할 수 없는 이유는, 제 생각에 과천과학관은 최고이기 때문입니다. 물론, 제 동료들이 저를 그렇게 생각할지 의문이지만, 제 위치는 누구도 넘을 수 없습니다.

 

진화와 생명의 역사

지구의 역사는 약 46억 년에 달하며, 첫 번째 세포는 38억 년 전에 등장했습니다. 초기 생명체들은 눈을 가지지 않았습니다. 바다에서 떠다니며 먹이를 찾고, 다른 생명체에 의해 잡혀 죽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눈이 생기면서 생명체들은 자신을 방어하고, 다른 생명체를 쫓아가는 등의 행동을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기후 변화와 대멸종

기후 변화는 대멸종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입니다. 고생대에는 세 차례의 대멸종이 있었고, 그 중 세 번째 대멸종에서는 95%의 생명체가 멸종했습니다. 이때의 기후 변화는 화산 활동, 대륙의 이동, 운석 충돌 등으로 일어났습니다. 급격한 기후 변화는 생태계를 변화시키고, 빈자리를 새로운 생명체가 차지하게 만듭니다.

 

기후 변화와 우리의 역할

이번 여섯 번째 대멸종의 원인은 인간에 의해 발생한 기후 변화입니다. 우리는 그 변화를 막을 수 있는 유일한 존재로,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의 목표는 화석 연료 대신 친환경 에너지로 전환하고, 에너지 사용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합니다.

 

교회의 역할과 환경 보호

교회도 환경 보호에 기여해야 합니다. 플라스틱 텀블러 대신 기존 텀블러를 재활용하고, 교회에서 사용하는 에너지를 줄이는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또한, 불필요한 교회 버스를 줄이고, 가능한 지역 내에서 예배를 드리는 등의 방안을 고민해야 합니다.

 

인류의 지속 가능성

우리는 이번 위기를 극복할 수 있습니다. 과거 대멸종에서 배우고, 과학과 기술을 활용하여 더 나은 세상을 만들 수 있습니다. 우리는 환경에 대한 책임을 다하고, 지속 가능한 사회를 만들어 가야 합니다.

 

결론: 변화는 시작되었다

우리는 지금 기후 위기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교회와 사회가 힘을 합쳐, 기후 변화를 해결하는 데 앞장서야 할 때입니다. 작은 변화가 큰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으며, 우리가 변화의 주체가 되어야 합니다.

 

아래 풀버전 영상을 꼭 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