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OODWILL CHURCH/성경사전

(2120)
(성경사전) 하드락 / 하들래 / 하디다 / 하디바 / 하딜 하드락 Hadrach 팔레스타인 북쪽 수리아 지역에 있는 한 성읍으로 하맛 가까이에 있었다. 이곳은 성경에서 스가랴서에 나타난 여호와의경고가 임한 땅으로(슥9:1), 다메섹, 하맛, 두로와 시돈도 함께 언급되었다. 하들래 Hadlai 에브라임 자손의두목 가운데 한 사람인 아마사의 아버지이다(대하28:12), 반앗수르 연합 세력을 만들기 위한 아람왕 르신과 이스라엘 왕 베가의 동맹에 유다 왕 아하스가 참여해 주기를 원했으나 거부당하자 일어난 전쟁에서(사7:1-6) 유다가 패하므로 인하여 백성들은 포로로 잡혀갔는데, 이때 아마사는 몇몇 두목들과 함께 잡혀간포로들을 놓아주고자 했다(대하28:8-12). 하디다 Hatita 레위인으로 스룹바벨과 함께 포로 생활에서 귀환한 문지기 중에 한 사람이다(스2:42;느7..
(성경사전) 하닷1 / 하닷2 / 하닷사 / 하닷에셀 / 하도람 하닷1 Hadad 1. 아브라함의 아들이스마엘의 이덟번째 아들이다(창25:15;대상1:30). 2. 에돔 왕으로 모압 들에서 미디안을 쳤으며, 그도성은 아윗이었다(창36:35-36;대상 1:46-47). 3. 에돔 사람으로 솔로몬의 대적이 되었던 왕의 자손이며 다윗의 군대장관 요압의 칼을 피해 애굽으로피신하여 애굽 왕 바로의 처제를 아내로 맞이한 인물이다. 후에 다윗과 요압이 죽은 것을 알고 돌아와 솔로몬의 일평생에 환난을 끼쳤다(왕상11:14-25). 4. 에돔의 마지막 왕으로(대상1:50-51) 하달과 동일인물이다(창36:39). 창세기 36:39에서와는 달리 역대상1:50에서는 그의 도성을 '바이'로 기록하고 있다. 하닷2 Hathath 유다 지파 옷니엘의아들(대상4:13)이다. 하닷사 Hadass..
(성경사전) 하늘여신(하늘황후) / 하다드 림몬 / 하다사 / 하닥 / 하달 하늘여신/하늘황후 queen of heaven 고대 셈족의 사랑과 풍요의 여신으로 앗시리아의 아쉬토렛, 바벨론의 이쉬타르, 로마의 비너스와 같은 신으로 볼 수 있다.동방의 풍요 문화를 대표하는 이 여신 숭배는 히브리인들에게 있어서는 커다란 유혹이요. 선지자들이 우상숭배를 경고할 때마다 지목된 대상이다. 예레미야 당시 예루살렘 부녀들은 하늘 황후를 위해 과자를 만들고 자식들은 나무를 줍고 아이들은 불을 피웠다고 성경에 기록되어 있다(렘7:18). 이 일은 요시야의 종교개혁 때 없어지는 듯하다가(왕하 23:24) 그 후에 다시 성해졌고(왕하23,3237) 예루살렘 멸망 후에 애굽으로 피하여 거주하던 유대인들이 예레미야의 질책에 대항하여자신들이 하늘 여신에게 제사지낼 때에는 복을 누렸으나 그것을 폐한 후에는 ..
(성경사전) 하난 / 하네스 / 하녹 / 하눈 / 하늘 하난 Hanan 1. 베냐민 자손 중 사상의 아들(대상8:23). 2. 베냐민 지파 요나단의 자손으로 아셀의 여섯 아들 중 하나(대상8:38;9:44). 3. 다윗의 군사 중 큰 용사 가운데 한 사람으로 마아가의 아들이다(대상11:43). 4. 스룹바벨과 함께 포로에서 귀환한 성전 수종자느디님 사람들의 선조 가운데 한 사람(스2:46;느7:49). 5. 에스라와 함께 백성에게 율법을 깨닫도록 한 사람 중에 하나(느8:7)이며, 율법 준행 언약에 인친 사람이기도 하다(느10:10). 이렇게 인친 방백 중에는 두 사람의 하난이 더 있다(느10:22,26). 6. 삭굴의 아들로 성전 곳간 고지기의 버금이었으며(느13:13), 충직한 자로 인정되었다. 7. 익다랴의 아들로 그의 아들들은 성전에 한 방을 가지고 ..
(성경사전) 하나님의 이름 / 하나멜 / 하나씩 하나님의 이름 name of God 구약성경에 나타나 있는 하나님에 관한 다양한 이름들, 명칭들 또는 묘사들을 살펴보면 기기에는 기본적으로 중요한 세 개의 단어들이있다. 그것은 엘, 엘로힘, 그리고 야웨 (여호와)이다.우선 이들 각각의 의미를 알아보고 이어서 그들의 상호 관계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1. 기본적 이름들 (1) 엘. 엘은 '하나님’또는 ‘신’으로 번역되고,다른 셈족 언어들 안에서 동족어의 형태들을 갖고있다. 이것은 넓은 의미로 참신이든지 거짓신이든지 어떤 신을 의미하고 또는 신으로 여겨지는 형상(창35:2)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러한 일반적 속성때문에 이 단어는 흔히 뜻을 규정하는 형용사 또는서술어와 더불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신명기 5:9에서는 “나 여호와(야훼) 너의 하나님(엘로힘)은..
(성경사전) 하나님의 나라 / 하나님의 아들 / 하나님의 아들들 하나님의 나라 Kingdom of God 1. ‘왕국' 이란 단어는 세 가지 서로 다른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첫째,한 군주가 통치하는 영역. 둘째, 군주가 통치하는 백성. 셋째, 실제의 통치, 또는 통치 자체를 뜻하는 말로사용될 수 있다. 영어에서는 왕국이란 단어의 세번째의미는 고대적 용법이 되어 현재에는 그 뜻이 올바로드러나지 않는 경우가 많으나 헬라어와 히브리어에서는 세번째 의미가 일차적으로 가장 중요하다. 신약성경에서는 이 세가지 의미가 모두 발견된다. (1) 하나님의 나라는 때로 그 나라의 백성을 가리키기도 한다. 요한계시록 5:10에서 구속받은 사람들은한 나라(왕국)이다. 이것은 이들이 하나님이 다스리는백성이라는 의미가 아니라 이들이 하나님의 통치에참여하게 될 것이라는 의미이다. 요한계시록 ..
(성경사전) 하나냐1 / 하나냐2 / 하나넬 망대 / 하나니 / 하나님 하나냐1 Hananiah 1. 예레미야 선지자가 활동했던 당시에 함께 활동한 기브온 출신의 거짓 선지자로 앗술의 아들이다(렘28:1). 그는 예레미야의 예언, 즉 유다가 바벨론을 섬기는 기간인 70년이 마친 후 바벨론과 열방들이 받을 심판 예언에 반대하여(렘25:12), 2년이 차기 전에 느부갓네살에 의해 예루살렘에서 취해진 노획물이 회복되고, 포로들이 돌아오며 바벨론의 힘이 꺾여질 것이라고 성전에서 공공연히 선언했기 때문에 예레미야에게 비난을 받았다(렘28장). 또한 그는 그의 예언을 상징적인 행동으로 증명했는데, 그것은 유다가 바벨론을 섬겨야 살 것이라는 예레미야의 예언을 상징하기 위해 그의 목에 메었던 멍에를 취하여 그것을 부러뜨리는 행동이었다(27:2-3,12;28:10). 그러나 '여호와께서 너..
(성경사전) 하그돌림 / 하그리 / 하그바 / 하길 / 하나 하그돌림 Haggedolim 바벨론에서 돌아온 거민 가운데 큰 용사 128명의 감독이었던 삽디엘의 아버지(느11:14), 일반적으로 영역본 KJV와 NKJV를 제외한 다른 영역본에서는 하그돌림을 인명으로 번역하고 있으나(NIV, RSV, LB: Haggedolim)KJV나 NKJV의 경우에는 인명이 아니라 장대한 사람으로 번역하여 삽디엘을 '장대한 사람들 중 한 사람의 아들 삽디엘' 로 기록하고 있다(KJV, NKJV : the son of one of the great men). 하그리 Haggeri 다윗의 군사 중 큰 용사 밉할의 아버지(대상11:38). 병행기사인 사무엘하 23:36에 언급된 갓사람 '바니'와 동일인물로 보인다. 하그바 Hakupha 스룹바벨과 함께 바벨론의 포로생활에서 귀환한 느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