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DWILL CHURCH/성경사전 (2120) 썸네일형 리스트형 (성경사전) 대야 / 대언자 / 대언하다 / 대연 / 대왕 대야(basin) 둥글고 넓적한 물그릇으로 세면용과(삼하17:28;요13:5), 제단용이 있었다(출27:3). 이 말의 히브리어 원어는 '뿌리다'라는 뜻의 '자라크'에서 온 것으로, 액체를 쏟고 뿌리는 그릇이라는 의미를 지니며, 이것은 다분히 제의적인 상황을 연상케 한다. 또 이 말은 신약에서 예수께서 제자들의 발을 씻기신 장면에서도 나타난다(요13:5). 대언자(prophet) 이 단어는 구약과 신약에서 한번씩 사용되었다. 히브리어 '나비'란 신탁의 말씀을 전해주는 사람으로서 구약에서 주로 선지자로 번역되었다. 즉 선지자란 하나님의 말씀을 맡은 사람으로서 그것을 선포하여 전달하는 사람들인 것이다. 선지자 이러한 맥락에서 출애굽기 7:1-2을 볼때 모세는 하나님의 선지자였으며 아론은 모세의 '대언자'(나.. (성경사전) 대속(물) / 대승 / 대신1 / 대신2 / 대싸리 대속/-물 속죄/-하다 구속1/-하다, 구원/-하다 대승(lapwing) 길고 끝이 구부러진 부리와 머리 위에 길게 돋아난 벼슬을 가지고 있는 새로서 몸집은 30cm 안팎이다. 주로 남부 유럽, 아프리카, 동남 아시아 등에 많이 서식하며, 봄과 여름 사이에 팔레스타인에 날아온다. 성경에서 이 새는 부정한 것으로 규정되고 있는데, 이것은 아마도 이 새가 땅이나 건초더미 속에서 곤충을 잡아먹고 살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레11:19;신14:18, 공동, 새번역 '오디새'). 대신1(prince) 정치상의 일을 담당하는 각부의 장관(창12:15). 방백 대신2(instead of) 어떤 것을 다른 것으로 바꾸거나(눅11:11), 후임으로 직책을 맡는 것을 말한다(행24:27). 죄없고 의로우신 예수 그리스도.. (성경사전) 대사 / 대상 / 대서 / 대성통곡 / 대소 대사(great thing) 큰 일. 이 단어가 하나님에 대하여 사용될 때는 인간을 향한 하나님의 구원 행위를 의미하는데, 가령 개인적인 역경으로 부터의 구원이나(시71:19) 이스라엘 백성을 포로 상태에서 해방시키신 하나님의 구원 행위를(시126:2) 의미한다. 그러나 사람에 대하여 사용될 때는 개인적인 안위, 사회적 명성에 대한 욕구나 그것을 채우기 위한 계획을 의미한다(렘45:5). 대상(traveling company) 여행할 때 서로를 보호할 목적으로 함께 모여 이동하는 여행자의 무리로서, 일반적으로는 긴 여행을 위해 조직되었지만 사막 지역이나 적대국의 영토를 통과하기 위해 특별히 조직된 경우도 있다. 성경에서의 대상은 상업적 목적을 가지고 이동하는 상인들뿐 아니라(사21:13), 창세기 32-.. (성경사전) 대맥 / 대머리 / 대면 / 대문 / 대변 대맥(barley) 보리. 사람이나 동물의 식용으로 B.C.3500년경부터 고대 메소포타미아에서 경작되었다. 이것은 히브리인들의 빵의 주재료였고(신8:8), 가난한 사람들의 주양식이 되었다(룻1:22;왕하4:42;요6:9,13). 다양한 기후 조건에도 적응력이 뛰어나며, 성장 기간이 짧아서 식용으로 널리 재배되었다. 보릿대는 바닥에 깔거나 가축의 사료로 사용되었고, 보리알은 길이의 단위로 보리 한 알이 3분의 1인치(1cm)를 의미하기도 한다. 대머리(bald) 머리털이 많이 빠져 벗어진 머리로 탈모증의 별칭이다. 탈모증은 머리에 한하지 않고 눈썹, 속눈썹, 수염, 가슴, 수족의 털 등 모든 부분에 생긴다. 성경에 언급되어 있ㄴ느 대머리는 생리적 현상에 의한 것과 삭도에 의한 삭발이 있다. 대머리에 관한.. (성경사전) 대답 / 대대 / 대략 / 대로 / 대리석 대답(answer) 묻는 말에 자기의 뜻을 나타내거나 혹은 부름에 응답하는 일이나 말을 뜻한다(창43:28;삿8:18;삼상4:20;눅14:6;행24:10). 대대(in one's generations) 거듭된 세대. 이 말은 흔히 영원하신 하나님의 속성을 나타낼 때, 하나님의 명령이나 규례를 대를 이어 지켜야 할 인간의 의무를 묘사할 때 쓰였다(레17:7;민15:14;시10:6;렘50:39;눅1:50). 대략(generations) '대체의 개략으로, 대강으로, 대체로'의 의미를 지닌 말이다. 히브리어 동사 '얄라드'(출생하다, 낳다)에서 파생된 이 말은 때로 '족보', '역사'의 의미를 갖기도 한다. 또 같은 단어가 성경의 다른 곳에서는 '약전'이라고 번역된 곳도 있다(창37:2). 이 단어는 주로 어.. (성경사전) 대금하다 / 대낮 / 대노 / 대다 / 대단히 대금하다(put out money) 돈을 꾸어줌. 다윗의 시편은 '주의 장막에 거할 자는 변리로 대금치 아니하는 자'라고 노래하고 있다(시15:5). 대낮(day-time) 성경에서 대낮은 주로 긍정적인 의미를 가진 단어로 이해된다. 먼저 대낮은 밝음을 상징하는 말로 사용되어 대낮이 어둡게 되는 것은 간교하고 사특한 자에 대한 하나님의 징계나(욥5:15) 진노를(암8:9) 가리켰다. 또한 대낮은 안전한 시간으로 이해되었는데 전쟁시 대낮에 침투하는 군대는 흔치 않았다. 따라서 대낮에 침략을 당한다는 것은 졸지에 당한 재난, 즉 하나님의 심판을 나타낸다(렘15:8). 그 외에도 현실적인 고통에서 해방되는 것을 대낮의 밝음에 비유하기도 하였다(욥11:16-17). 대노(great wrath) 크게 노함. 이 .. (성경사전) 대강 / 대강이 / 대군1 / 대군2 / 대궐 대강(some) '대충', '아주', '건성으로'를 의미하는 말인데, 구약에서는 '아주 가까스로'를 의미하는 말로 범죄한 이스라엘이 스스로 겸비함으로 인해 하나님께서 그들을 멸하지 않고 아주 가까스로 구원하시겠다는 말씀에서 나타난다(대하12:7). 신약에서는 전체적인 것이 아니라 아주 부분적인 것을 나타내는 말로 사용되기도 하고(롬15:15;고전11:18;고후1:14), 짧음이나 간략함을 의미하기도 한다(행24:4;엡3:3). 대강이(head) 머리의 낮춤말로 사울 왕이 죽은 후, 아브넬이 사울의 첩과 내통이 있음을 알고 사울의 아들 이스보셋이 비난하자 아브넬이 했던 말 가운데 사용되었다(삼하3:8). 이것은 아브넬이 자신을 변명하기 위한 대답이 아니라 오히려 이스보셋을 업수이 여겨 취한 태도로 공동번역.. (성경사전) 당황 / 닻 / 닿다 / 대1 / 대2 / 대3 당황(trouble) 다급하여 어찧라 바를 모르다, 놀라서 어리둥절해지다(사32:10;눅9:7). 닻(anchor) 특정한 곳에 배를 정박시키기 위하여 줄에 매달아 물 속에 드리우는 선박의 계류 장치. 쇠갈고리로 만들어져 물 속 흙바닥에 박히도록 되어 있다(행27:13,29). 문자적 의미 외에도 성경은 영혼을 배에 비유하여 영혼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혹은 영혼을 한 곳에 안정적으로 정착하게 하는 것으로 '닻'을 '소망'에 비유하여 설명하고 있다(히6:19). 닿다(reach) 서로 접하거나, 가서 이르거나, 맺어지는 경우를 일컫는 말이다(창28:12;왕상6:27;사6:7). 대1(place) 이 말은 성경에서 여러 가지 의미로 사용되는데, 그릇의 밑받침, 성읍을 굳게 지키기 위해 성벽에 마련된 높은 탑.. 이전 1 ··· 209 210 211 212 213 214 215 ··· 2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