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DWILL CHURCH/성경사전 (2120) 썸네일형 리스트형 (성경사전) 능란하다 / 능욕하다 / 능하다 / 늦다 / 늦은비 능란하다(expert) 능하고 익숙하여 솜씨가 매우 뛰어난 사람에 대하여 사용되었으며, 주로 장인이나 요술을 부리는 자에게 적용되었다(사3:3, 공동번역 '신통하다'). 능욕하다(disgrace) 업신여기어 욕보이는 행위를 말한다. 성경에는 죄없는 의인이 악인에게 받는 능욕과(시44:15) 죄인이 그 대가로 받는 능욕에 관하여 언급하고 있다(겔5:14). 한편 신약에는 그리스도께서 받으신 능욕과 사도들이 복음을 위하여 받은 능욕이 나타난다(마20:19;행5:41, 새번역 '모욕', 개정판 '조롱, 모욕'). 능하다(mighty) 어떤 사람이 가진 능력이나 일을 익숙하게 잘 해내는 행위를 묘사하는 동사로, 구약에서는 하나님의 놀라우신 구원의 행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었고(렘32:17), 신약에서는 하나님의.. (성경사전) 늘이다 / 늙다 / 늙은이 / 늣 / 능(력) 늘이다(stretch) 아래로 길게 처지게 하는 행위. 성경에서는 '늘인 목'을 가진 교많나 자에 관하여 언급하고 있다(사3:16). 목2 늙다(grow old) 젊음 뒤에 오는 존재의 상태, 즉 늙음의 상태를 가리키는 상태동사(눅2:36). 인생에 있어서 이 기간에는 결혼과 생산의 가망이 없어지고(창18:12-13), 흰 머리가 나타나며 시력이 약해지고(삼상2:22) 신진대사와 기동력이 약해지며(왕상1:15) 넘어질 위험이 있다(삼상4:18). 그러나 성경은 이러한 상태에 있는 사람을 멸시하지 말고 존경할 것을 교훈하고 있다(레19:32;잠23:22). 노인 늙은이(the old) 나이가 많은 노인을 일컫는 말로, 구약에서 성인과 노인을 구분짓는 연령은 60세 정도이며(레27:1-8), 레위인들은 50.. (성경사전) 늑징하다 / 늑탈(하다) / 늘 / 늘다 / 늘어뜨리다(늘어지다) 늑징하다(exact) '늑봉'과 동일한 뜻으로, 관원이 까닭없이 돈이나 물건을 징수하는 행위이다. 세례 요한은 세리들이 백성들에게 정한 세 외의 것을 늑징하는 행위를 꾸짖고 있다(눅3:13, 새번역 '더 받다'). 늑탈/-하다(plunder) '늑봉', '늑징', '강탈'과 비슷한 뜻으로 사용되나 훨씬 강한 어조의 말이다. 이것은 단순히 훔치거나 가져가는 정도를 넘어 폭력이나 위력으로 남의 것을 빼앗음을 의미한다(창21:25;레19:13;마12:29). 고대에는 전쟁에서 패배한 자나 포로들을 산 채로 가죽을 벗기는 끔찍한 풍습이 있었다. 원어적으로 이러한 배경을 가진 이 단어는 잔인하게 수탈해 가는 모습을 비유하는 데 사용되었다(새번역 '털어 가다', 개정판 '강탈하다'). 늘(always) 언제나, 항.. (성경사전) 느헬람 사람 / 느후스다 / 느후스단 / 느훔 / 늑봉하다 느헬람 사람(Nehelamite) 예레미야를 반대한 거짓 선지자 스마야가 속한 지파의 이름이며, 그 지파의 출신지를 가리키는 지명이기도 하다(렘29:24,31). 느후스다(Nehushta) 여호야긴의 모친으로 여호야김의 아내이며 예루살렘에 살았던 엘라단의 딸이다(왕하24:8-12). 그녀는 여호야긴을 비롯한 주요 지도자들과 함께 느부갓네살에 의해 B.C.597년에 바벨론 포로로 잡혀 갔다. 느후스단(Nehushtan) 예루살렘 성전에 있던 놋으로 만든 뱀. 이방 종교의 뱀 숭배와 관계있는 것으로 히스기야 왕이 종교개혁 때에 우상으로 간주하여 파괴해 버렸다(왕하18:4). 놋뱀 느훔(Nehum) 느훔은 에스라 때에 스룹바벨과 함께 바벨론 포로에서 귀환한 자들 중의 한 사람이다(느7:7). 에스라서에는 '르.. (성경사전) 느헤미야 / 느헤미야서 느헤미야(Nehemiah) 1. B.C.538년 에스라 때에 스룹바벨과 함께 바벨론 포로에서 귀환한 열두 두령 중의 한 사람이다(스2:2;느7:7). 2. 아스북의 아들로 벧술 지방 절반을 다스렸으며 성벽 일부를 중수하였다(느3:16). 3. 하가랴의 아들로 B.C.444년 이후 페르시아(바사)의 유다 지방을 통치하였다. 느헤미야서에 의하면 그는 아닥사스다 왕의 '술관원' 이었다(느1:11;2:1). 느헤미야와 동시대 문서로 알려진 '엘레판틴 파피루스'에는 그때가 B.C.465-423년에 통치했던 아닥사스다1세의 치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술관원'이라는 느헤미야의 직책은 노예 신분이 아니라 상당히 영향력 있는 관직에 해당했다. 느헤미야는 아닥사스다 1세와 매우 친근한 관계였으며, 그의 예루살렘 귀환도 .. (성경사전) 느십 / 느아랴 / 느이엘 느십(Nezib) 여호수아 15:43에 언급된 지명으로, 유다 지파의 지경이며 헤브론에서 서북쪽으로 약 17km 떨어진 지점에 위치해 있다. 오늘날의 지명은 '베이트 누십'이다. 느아랴(Neariah) 1. 솔로몬 왕의 후손으로 스가냐 자손 중의 한 사람이며, 스마야의 아들이다(대상3:22-23). 2. 히스기야 시대에 아말렉 사람을 세일 산에서 축출한 시므온 사람의 두목이다(대상4:42). 느이엘(Neiel) 아셀 지파가 얻은 기업 중의 한 성읍이다(수19:27). 지금의 '키르베트 야닌'으로 추정된다. 네아 (성경사전) 느부사라단 / 느부사스반 / 느부심 / 느비스심 / 느시야 느부사라단(Nebuzaradan) 느부갓네살이 예루살렘을 포위할 때에 왕을 호위하던 근위대 대장이다. 그는 예루살렘을 파괴하고 성전을 불살랐으며(왕하25:8-11;렘39:9,19), 왕명에 따라 선지자 예레미야를 돌보았고(렘39:11-14), 예루살렘 멸망 후에는 유다인을 포로로 잡아갔다(렘52:30). 느부사스반(Nebushazban) 바벨론 왕 느부갓네살의 고관으로 예루살렘 포위시 환관장 중의 한 사람이었다. 느부사라단과 네르갈사레셀 등과 함께 예레미야를 보살폈다(렘39:11-14). 느부심(Nephisim) 에스라 시대에 스룹바벨과 함께 바벨론 포로에서 귀환한 느디님 사람들의 선조로서 그는 성전에서 일을 보았다(스2:50). '느비스심'과 동일인물이다(느7:52). 느디님 느비스심 느부심 느시야(N.. (성경사전) 느보1 / 느보2 / 느보산 / 느부갓네살 느보1(Nebo) 1. 바벨론 포로 때 이방인 여자를 취한 자의 조상(스10:43). 2. 바벨론 신화에 나오는 신들 중 하나로 보르시파의 바벨론 성에 예배 장소가 있었다. 이 이름은 이사야에 의해 언급되었다(사46:1). 느보는 지혜와 지식의 신이었다. 느보2(Nebo) 1. 느보 산이나 혹은 그 근처에 있었던 모압의 성읍(민32:3). 2. 벧엘과 아이와 함께 언급된 성읍으로, 바벨론 포로 후 귀환민의 고향으로 기록되어 있다(스2:29;느7:33). 느보산(Mount Nebo) 모세가 약속의 땅을 바라보며 죽음을 맞이했던 산의 이름으로 아바림 산의 최고봉(신34:1). 비스가 산 느부갓네살(Nebuchadnezzar) 구약에 자주 언급되는 바벨론 왕의 이름(B.C.605-562). 그는 신바벨론 제국.. 이전 1 ··· 215 216 217 218 219 220 221 ··· 2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