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DWILL CHURCH/성경사전 (2120) 썸네일형 리스트형 (성경사전) 다아낙 / 다아낫 실로 / 다윗 / 다윗성 다아낙(Taanach) 에스드렐론 평원 남단, 므깃도에서 남동 방향으로 약 8km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한 가나안 사람의 도시로, 이곳에는 당시 중요한 대상로가 있었다. 그러나 여호수아에 의하여 점령당한 후에는 이스라엘의 레위인 도시가 된 곳이기도 하다(수12:21;대상7:29). 고대의 다아낙은 구릉 지방과 아크레 평원을 연결하는 도로와 갈멜 산을 가로질러 에스드렐론 평원과 샤론 평원을 잇는 도로 등 두 개의 무역로를 차지하고 있었다. 이곳에 사람들이 처음으로 거주하기 시작한 시기는 초기 청동기 시대인 B.C.2600년경에 해당되며, 성읍은 B.C.27-26세기에 이미 건설된 듯하다. 다아낙은 이스라엘 민족이 팔레스타인을 침공한 후 므낫세 지파에게 할당되었고(수17:11), 후에 레위 도성으로 그핫 자.. (성경사전) 다소간 / 다스리다 / 다시 / 다시스1 / 다시스2 다소간(less or more) 많고 적음의 정도. 문자적으로는 '적고 큰 일들'을 가리키는 말로서, '일체의 모든 일'이나 '어느 정도'를 의미하는 부사어로 쓰인다(삼상25:36). 다스리다(reign) 나라, 사회, 집안이 문란하지 않도록 보살피고 바로잡다, 또는 벌을 주다, 병을 고치다의 뜻을 포함하고 있다. 바울에 의하면 '다스리다'는 말은 교회에 주어진 하나님의 카리스마로서, '하나님의 영적 선물의 하나'로 해석되었다. 다시 말해서 '다스리다'는 말은 이 카리스마를 가지고 회중을 인도하고 치리하는 행위를 가리켰으며, 또한 지도자들에 의해 수행되는 사역이나(삿9:12), 교회의 감독이나 장로들에게 필요한 은사로 간주되었다(딤전5:17). 다시(again) 하던 것을 되풀이하여 또 하거나 방법을 바.. (성경사전) 다브림몬 / 다브엘 / 다블래 사람 / 다비다 / 다소 다브림몬(Tabrimmon) 다메섹(시리아)왕 벤하닷 1세의 아버지이며(왕상15:18), 헤시온의 아들이다. 그의 이름 속에 들어 있는 '림몬'은 아카드인의 신 '림만'을 가리킨다. 다브엘(Tabeel) 1. 사마리아에 살고 있던 아람인으로, 유대인들의 성전 재건을 막기 위하여 아닥사스다 1세(B.C.465-424)에게 상소하였던 페르시아의 관리들 중 한 사람(스4:7). 2. 다메섹 왕 르신과 이스라엘 왕 베가가 예루살렘에 있는 다윗 혈통의 아하스를 폐하고 꼭둑각시 왕을 세우려는 계책을 세웠을 때 함께 동맹을 맺었던 왕들 가운데 한 사람의 아버지(사7:5-6). 다블래 사람(Tarpelite) 앗수르의 오스납발에 의해 사마리아로 상제 이주당한 앗수르 사람들의 부족명으로(스4:9-10), 다른 영역본 성.. (성경사전) 다베라 / 다볼 / 다불과 / 다브네스 / 다브랏 다베라(Taberah) 이스라엘 사람들이 출애굽 한 후에 시내 광야 남동쪽에 진쳤던 장소 중의 하나로서, 백성들은 이곳에 와서도 악한 말로 광야 생활에 대해 불평함으로써 하나님을 진노하게 하였다. 이로 인해 하나님께서는 그들 가운데 불을 내려 진의 일부를 태워 버리셨다(민11:1-3). 그리하여 '여호와의 불이 그들 중에 붙었기 때문에' 이곳의 이름을 다베라라 칭하게 되었다. 신명기 9:22에서는 이곳이 이스라엘이 하나님을 진노케 했던 다른 장소의 이름들과 함께 나열되고 있다. 다베라의 위치는 분명하지 않으나 시내산에서 3일 길 정도의 거리에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민10:33). 다볼(Tabor) 1. 이스르엘 골짜기 속에 있는 산으로, 크기에 있어서는 헤르몬 산보다 작다. 그렇지만 이곳은 매우 유명한 .. (성경사전) 다메섹 / 다바네스 / 다밧 다메섹(Damascus) 현재의 다메섹은 지중해로부터 내륙으로 80km 지점에 있으며, 시리아 공화국의 수도이다. 이곳은 강과 운하에 의해 모래로 둘러싸인 푸른 비옥지대로서, 안티 레바논에 수원을 가진 아바나 강의 강안에 있고, 성읍의 남쪽으로는 동방으로 흐르는 바르발 강이 있다. 아브라함 때부터 현존하는 세계 최고의 성읍인 이곳 다메섹은 상업과 종교의 중심지로서 예로부터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다메섹은 강대한 왕국이었으나 앗수르에 의해 정복당하고, 르신 왕이 죽은 후 왕국의 도성으로서의 이름을 상실하였다. 후에 이곳은 단순한 한 지방의 중심 성읍으로 전락해 버리고 말았다. 다멕섹에는 직가라고 불리우는 전설적인 가로가 있었는데, 그 길이는 약 3.2km나 되었다. 이곳은 지금은 보잘것없이 되었지만, 바울.. (성경사전) 다림줄 / 다마리 / 다말1 / 다말2 / 다말3 다림줄(plumb line) 다림줄은 무게가 나가는 금속, 돌 또는 진흙덩이를 추로 하여 한쪽 끈에 매달아 벽의 수직 상태를 가늠하기 위해 사용한 것을 가리킨다. 고대의 많은 건물들은 기초를 세우지 않은 채 건축되었기 때문에 붕괴될 위험이 많았다. 따라서 다림줄을 가지고 벽을 주기적으로 검사하여 벽돌의 붕괴 여부를 가늠하였다. 아모스 7:7-8에서 하나님은 그 손에 다림줄을 가지고 담 곁에 서 계신 것으로 묘사된다. 이는 하나님의 기준을 가지고 심판하실 자들을 측량하시는 심판자적인 모습을 상징하는 것이다. 한편 스가랴 4:10의 히브리어 '에벤 베딜'은 다림줄 끝에 달린 돌, 구별된 돌, 주석돌, 다림줄 등으로 번역될 수 있다. 여기서 다림줄은 성전 재건의 시기가 임박하였음을 알리는 희망적인 의미로 쓰였.. (성경사전) 다리오 / 다릭 다리오(Darius) 1. 메대 사람 다리오(B.C.538). 다니엘서 6장에서만 보여지는 이 사람은 고레스 치하에 있던 바벨론의 메대-바사의 통치자로, 바벨론 왕국의 마지막 통치자로 벨사살 왕이 B.C.539년 10월에 죽임을 당하고, 바벨론이 함락되자 메대 사람 다리오가 그 나라를 얻은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단5:31). 아마 그는 고레스에 의해서 갈대아 나라 왕으로 세움을 입었던 것 같다. 그는 느부갓네살 왕과는 달리 세력이 약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 이유는 그의 신하 관리들이 그를 속여 결코 변개할 수 없는 율령에 서명하게 했는데, 이를 거절하지 못하고 승인해준 데서 기인한다. 이와 같은 사실로 미루어 볼 때 메대-바사의 왕권이 바벨론의 왕권에 비해 열등했음을 알 수 있다. 다리오는 성경에서 그.. (성경사전) 다르단 / 다른 교훈 / 다른 불 / 다른 신 / 다리 다르단(Tartan) 앗수르 군대 지휘관의 한 직위명으로, 최고 사령관을 지칭하는 칭호이다. 이사야 20:1에 군대장관으로 번역되어 있는 이 명칭은 하란을 수도로 한 앗수르 지방의 실제적인 지배자를 가리키고 있다. 역사적인 자료에 의하면 이 직위는 아닷-니나리 2세 통치 때부터 있었던 것으로 입증되었다. 이사야 20:1과 열왕기하 18:17을 보면 살만에셀 3세, 디글랏 빌레셀, 사르곤 2세, 산헤립 때에도 이러한 관직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사르곤 2세는 아스돗을 치기 위해 다르단을 파견하였으며, 산헤립 때에는 랍사리스, 랍사게와 함께 대군을 거느리고 히스기야 왕을 치려고 다르단이 예루살렘에 온 것을 하나님께서 치시므로 그 군사 18만 5천 명이 하룻밤에 다 죽었다. 앗수르 군대에는 좌우에 다르단이라.. 이전 1 ··· 213 214 215 216 217 218 219 ··· 2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