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DWILL CHURCH/성경사전 (2120) 썸네일형 리스트형 (성경사전) 노리개 / 노바1 / 노바2 / 노바3 / 노배 / 노복 / 노비 노리개(ornament) 우리말의 뜻으로는 원래 여자들의 몸치레용으로 쓰이던 것을 의미하지만, 성경상에서는 장신구로 쓰이던 일체의 것을 구분없이 일컫는 말이다. 고대 사회에서는 의복이나 의복에 부착된 장신구들로 그 사람의 신분이나 지위의 고하를 표시했다. 따라서 금 노리개를 소유했다는 것은 신분의 귀함을 나타내는 것이고(삼하1:24) 특히 지위가 높은 사람으로부터 하사된 것은 영광의 상징이었으며 자랑거리였다. 개역성경이 '노리개'로 번역하고 있는 또다른 히브리어 원어인 '티프아라'는 '영광', '아름다움'의 뜻도 가지고 있어서 정확하게 어느 것을 지칭하는지 애매할 때도 있다. 이사야 13:19의 "갈대아 사람의 자랑하는 노리개"를 공동번역 '갈대아 사람들의 자랑과 영광인 바빌론'으로 번역하고 있다. 아가.. (성경사전) 노략군 / 노략꾼 / 노략물 / 노력 / 노루 노략군 노략꾼 노략꾼(plunderer) 때를 지어 사람이나 재물을 약탈하는 사람들(삼상13:17;14:15). 원어적으로는 '파괴하는 자', '멸하는 자'의 뜻을 가지고 있는데, 이것은 신적인 권위를 가지고 하나님의 복수를 대행하는 자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스라엘 사람들은 이민족으로부터 당하는 노략의 원인을 자신들이 하나님을 순종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생각했으며, 따라서 그들의 고통을 하나님의 징계나 심판으로 받아들였다(왕하17:20). 노략 노략물(plunder) 성경에서 이 말은 거의 전쟁에서 탈취한 전리품을 의미한다(히7:4). 대개 하나님은 전리품을 이스라엘 사람들이 개인적으로 소유하도록 허용하셨다(단11:24). 전리품에는 여자, 어린이, 양때, 귀중품 등이 포함된다. 전리품의 일부는 하나.. (성경사전) 노년 / 노답 / 노동 / 노래 / 노략 노년(old) 늙은 나이. 유대인들에게 있어서 노년은 지혜를 소유할 수 있는 나이이며 존경의 대상이었다. 아브라함과 사라는 노년에 하나님의 은혜로 자식을 얻었다(창24:36). 노답(Nodab) 이스마엘 족속 중의 하나로 요단 강 동편의 시리아 사막에 있던 유목 부족으로 보인다(대상5:19). 노답 족속은 갓, 르우벤, 므낫세 반 지파와 싸웠다. 노동(labor) 육체 및 정신적 노력을 들여 재와 서비스를 생산하는 행위이다. 타락 이전에는 인간이 행복한 노동의 생활(창2:15)을 했으나 타락에 의해 노동에 고통이 가해지고, 노동에 수고가 동반되었다(3:17). 그러나 성경은 노동을 중시하며(시128:2;살후3:10), 게으름을 경계한다(잠6:6;롬12:11). 성경은 하나님 자신이 일하시는 분임을 증거하.. (성경사전) 노가 / 노경 / 노고 / 노기 / 노끈 노가(Nogah) 예루살렘에서 태어난 다윗의 아들 중 하나(대상3:7;14:6). 노경 노년 노고(trouble) 공고라고도 하며, 수고스럽게 애쓰는 것을 말한다(전2:26;3:10). 개역성경에서는 '수고'라는 말과 구분 없이 사용되고 있다. 노기(anger) 성이 난 얼굴빛이나 감정 또는 그러한 기세를 가리킨다(대하28:9). 성경에서는 인간이 하나님의 사랑과 거룩함에 위배되는 행동을 했을 때 하나님께서는 자신의 뜻과 의지를 보여 주기 위하여 노기를 나타내신다(롬1:18). 또한 불신앙과 불순종 그리고 사회적 부정에 대해서 회개하지 않을 때 맹렬하게 분을 발하신다(참고. 출32:12;수7:1;요3:36). 노끈(rope) 삼껍질이나 헝겊, 종이 등으로 가늘게 꼰 줄. 물건이나 그밖의 것들을 동여매고 .. (성경사전) 년 / 노1(하다) / 노2 / 노3 년(year) 구약 시대에는 봄인 니산월을 첫 달로 하는 종교력과 가을의 티쉬리월을 첫 달로 하는 민간력의 두 가지 역법이 사용되고 있었다. 종교력은 모세에 의해 제도화된 것으로 각 29 1/2일을 한 달로, 12 혹은 13개월을 일년으로 한다. 민간력은 훨씬 고대로 거슬러 올라가 천지창조로부터 시작되는데, 첫 달이 가을인 것은 천지창조의 시기가 가을이라고 전통적으로 믿어 온 것을 반영한다. 이것은 3세기까지 일반에 널리 사용되었다. 이 역법은 "수장절을 지키라 이는 네가 수고하여 이룬 것을 연종에 밭에서부터 거두어 저장함이니라"(출23:16)는 모세의 법에도 나타나 있다. 바벨론과 이집트 사람들은 음력과 양력의 조화를 위해서 윤달을 고안해 냈다. 유대의 윤년은 이것을 모방해서 19년 주기로 회전하도록 .. (성경사전) 네압볼리 / 네피림 / 넬 / 넵도아 샘물 네압볼리(Neapolis) 에게해 북쪽 해안의 성읍이다. 빌립보로 들어가는 관문이 되는 해항으로 바울과 그 일행도 드로아에서 '마게도냐 사람'의 환상을 본 후에 이곳을 거쳐 빌립보로 들어갔다(행16:11,12). 바울은 그 후에 예루살렘으로 돌아가는 길에 다시 이곳에 들렀던 것 같다(행20:3-5). 네압볼리의 정확한 위치는 현재 확실하지 않지만 문헌 자료와 고고학적 증거로 보아 현재의 카발라(Kavalla) 근처일 것으로 추정된다. 네피림(Nephilim) 창세기 6:4과 민수기 13:33에서만 나타나는 말로, 히브리어 어원은 명확하지 않다. 영역본 및 기타 역본들도 히브리어 독음을 그대로 사용해 '네피림'이라고 했고, '거인들'(giants)이라 번역하기도 했다. '떨어진다'라는 뜻의 '나팔'에서 유.. (성경사전) 네리 / 네리야 / 네모(반듯) / 네벡 / 네아 네리(Neri) 예수의 조상 가운데 한 사람으로 스룹바벨의 할아버지이고, 스알디엘의 아버지이다(눅3:27). 네리야(Neriah) 스라야와 바룩의 아버지이며 마세야의 아들(렘32:12,16;36:4;43:3). 네모/-반듯(four-square) 네 개의 변으로 이루어진 도형을 일컫는 말로, 성경에서는 주로 성전이나 성막, 기타 건축물의 모양을 설명할 때 쓰였다(출27:1;왕상7:5,31;계21:16). 원어의 뜻은 숫자 4에서 파생되었다. 네벡(Nepheg) 1. 이스할의 아들이며 고라, 다단, 아비람의 형제(출6:21). 2. 다윗의 아들 중 하나(삼하5:15;대상3:7;14:6). 네아(Neah) 스불론 지파에게 제비 뽑아 할당된 한 성읍(수19:13)으로서, 19:27의 '느이엘'과 동일한 지명일.. (성경사전) 네로 / 네르갈 / 네르갈사레셀 네로(Nero) 로마의 제 5대 황제(재위: A.D.54-68). 네로는 로마의 명문 귀족 가문(Domitii) 출신으로, 아버지는 그나이우스 도미티우스 아헤노바르부스이고 어머니는 줄리어스 시저의 증손녀인 아그리피나 2세였다. 그의 어머니가 그녀의 숙부인 클라우디우스 황제와 재혼하게 되자 그는 황제의 상속자로 정해졌고, 54년 황제가 독살당하자 로마의 황제로 즉위하였다. 즉의 초기에는 근위대장 부루루스 및 세네카 등의 지도를 받아 재능있는 황제로서 선정을 베풀었다. 58년 경부터 방종해지기 시작 59년 정권투쟁으로 어머니를 살해하고, 부루루스의 죽음, 세네카의 은퇴 후에는 아내 옥타미아를 살해, 이후 폭정은 극도에 이르렀다. 또 네로는 예술을 사랑하여 2대 제전(Iuvenalia와 Neronia)을 창시.. 이전 1 ··· 219 220 221 222 223 224 225 ··· 2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