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OODWILL CHURCH/성경사전

(2120)
(성경사전) 남비 / 남색 / 남은 자 / 남자 / 남정 남비(pan) 솥붙이의 한 가지로 밑보다 위가 벌어지고 운두가 나지막하며 뚜껑과 손잡이가 있다(삼상2:14). 구약에서의 남비는 넓고 얕은 토기로서 제사를 드리고 고기를 삶을 때 사용되었다(삼상2:13-14;대하35:13). 또한 다말이 암논에게 과자를 구워 만들어 줄 때 사용한 도구도 남비였을 것으로 보인다(삼하12:6). 남비에 작은 화로(슥12:6)와 같은 것도 있어 실로의 성소에서 취사기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한편 예언서에는 백성들이 착취하는 이스라엘의 부패한 지도자들로 인하여 당하는 백성들의 고난을 '남비와 솥에 담을 고기'(미3:2-3)에 비유하였다. 남색(sodomy) 남자끼리의 변태적 성행위, 즉 동성애를 가리킨다. 율법은 이 행위를 짐승과의 교접 행위와 다를 것이 없는 중죄로 단정하고(레..
(성경사전) 남다 / 남단 / 남방 / 남방왕 / 남보석 남다(remain) 이 말이 내포하는 의미는 다 처분되지 않아 그 일부가 그대로 있거나 떠나지 아니하고 뒤에까지 계속해서 있는 것을 말한다(레14:17-18). 이 말의 어원적 의미는 충분하고 넉넉하여 흡족한 상태(출36:7)를 가리킨다. 또한 하나님께서 어려움 가운데서도 인간에게 생명을 보존하도록 하셨을 때, 생명의 보존도 '남다'라는 개념 속에 포함된다(계11:13). 그밖에 인생의 남은 세월, 장차 다가올 미래(살전4:15,17;벧전4:2), 추수때 가난한 자들을 위하여 거두지 말아야 할 곡식 등을 의미하기도 한다. 남단(south end) 남쪽 끝. 성경에는 여호수아 18:19에 요단강의 끝점인 사해의 북편을 지칭할 때 사용되었다. 남방(south) 이 단어는 방위를 가리키는 말 이외에 특별히 팔..
(성경사전) 날카롭다 / 낡다 / 남 / 남기다 / 남녀 / 남녀종(남종과 여종) 날카롭다(sharp) 날붙이나 송곳 등이 잘 들도록 서슬이 서 있거나 끝이 뾰족한 것을 말하며(잠27:17;겔21:10), 사물을 대하는 능력, 감각 등이 썩 뛰어나거나 빠르고 명확한 것을 뜻한다. 성경은 날카로운 칼과 함께 혀(시52:2)와 음녀의 입술(잠5:3,4), 입(사49:2) 그리고 하나님의 말씀(히4:12)과 그리스도의 말씀(계1:16)을 날카로운 혹은 예리한 것에 비유하고 있다. 낡다(old) 물건이 삭아서 헐어질 정도로 오래된 것을 말한다. 성경은 모든 피조물들의 속성을 '낡아지는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시102:26). 그러나 낡아지지 않는 것은 구제(자선)로 만든 하늘에 있는 돈 주머니 뿐이다(눅12:33). 남(south) 일반적으로 구약에서 남쪽 방향을 가리킬 때 이 단어를 쓰는데..
(성경사전) 날개 / 날다 / 날래다 / 날로 / 날마다 / 날선 날개(wing) 새나 곤충류가 공중을 나는 데 쓰는 기관으로, 새의 경우 고등동물의 앞발에 해당하는 기관이 변형된 것인데 온통 깃이나 털로 덮여 있다. 이 말은 몹시 빠른 동작으로 몸을 솟구쳐 높이 뛰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영적인 힘의 상승을 묘사하는 데 사용되기도 했다. 한편 성경은 하나님의 보호와 돌보심(룻2:12;시17:8;36:7;마23:37), 사랑과 구원을 말하는 하나님의 날개에 관하여 언급한다. 날다 날개 날래다(piercing) 움직임이 기운차고 빠른 것을 말한다. 날랜 뱀 리워야단은 하나님의 원수를 상징하며 구체적으로 앗수르를 가리킨다(사27:1). 날로 날마다 날마다(day by day) 그날 그날의 매일과 계속적인 반복(출16:4-5;느8:18;11:23;행2:46;3:2). 날선 날3
(성경사전) 난장이 / 난쟁이 / 낟가리 / 날1 / 날2 / 날3 난장이 난쟁이 난쟁이(dwarf) 기형적으로 키가 작은 사람을 가리킨다. 난쟁이는 천대를 받았고 제사장이 될 수 없었다(레21:20). 흔히 난쟁이라고 알고 있는 삭개오는 키가 작았다고만 언급되었을 뿐(눅19:3), 성경에서 난쟁이라고 말하고 있는 곳은 없다. 낟가리(stacked grain) 낟알이 붙은 곡실을 그대로 쌓아둔 큰 더미나 나무, 풀 또는 짚 등을 쌓은 더미를 일컫는다. 율법에 따르면 불로 낟가리를 태우면 불 놓은 자가 반드시 배상해야 하였다(출22:6). 날1(day) 성경에서 이 단어는 매우 다양한 의미로 쓰이고 있어 종종 혼돈을 빚는 말인데, 흔히는 일출에서 일몰까지를 일컫는 말이다. 날은 일찍부터 아침, 정오, 저녁으로 구분되었는데, 페르시아의 영향으로 포로기 이후부터 12시간으로 ..
(성경사전) 난류 / 난리 / 난봉 / 난산 / 난육 난류(man of Belial) 질서를 문란하게 하고 불법한 짓을 멋대로 하는 사악한 파괴자들로서 비류, 잡류라고도 부른다. 개역 성경에 난류, 비류, 잡류 등 여러 가지로 번역되어 있는 이 단어의 원어는 모두 동일하다. 사무엘하 20:1-2에서는 다윗을 반역하고 나선 베냐민 사람 비그리의 아들 세바를 난류 중의 한 사람이라고 말한다. 난리(war) 전란이나 분쟁, 사고, 재해 등으로 정상적인 상태를 벗어나 세상이 소란하고 모든 질서가 어지러워진 현상 즉, 평온함이 깨어진 상황을 가리키는 이 말은 원어상으로는 전쟁을 의미한다. 성경에서는 이 단어를 종말적 배경에서 사용하고 있다. 예수께서는 제자들만 있는 자리에서 세상 끝날의 징조를 말씀하시면서, 그 특징 중 하나로는 난리와 난리의 소문을 듣게 될 것이라..
(성경사전) 낙토 / 낙헌제 / 낚다 / 낚시 / 난간 낙토(pleasant land) 풍요롭고 아름다운 땅을 일컫는 말로, 문자적 의미는 '가장 아름답고 귀중한' 혹은 '기쁘고 즐거운' 땅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성경에서는 이 땅을 가나안 땅으로 지칭하고 있으며(렘3:19), 상징적으로는 메시야가 다스릴 메시야 왕국의 예표 혹은 하나님이 그의 백성에게 주신 기업의 의미로 사용하고 있다(시106:24). 낙원 낙헌제(freewill offering) 경건심에서 드려진 서원이나 기도와 함께 임의로 드려진 제사로서, 원어적으로 볼 때는 하나님을 경외하는 마음에서 자발적이고 자유로운 의사에 따라 드려진 제사를 가리킨다. 예물은 흠이 없는 것이어야 하지만 지체가 덜하거나 더한 것도 쓸 수 있었다(레22:18-20). 낙헌제는 소제와 함께 드릴 수도 있었으며(민15..
(성경사전) 낙심(하다) / 낙엽 / 낙원 / 낙타 / 낙태 낙심/-하다(faint) 바라는 일이 이루어지지 않아 마음이 풀어진 상태를 말한다(욥23:16;고후4:1,16;살후3:13). 낙망 낙엽(leaf) 잎 또는 말라서 떨어진 잎사귀를 가리키거나 잎이 떨어지는 현상을 말한다. 성경에서는 하나님 앞에서 전적으로 무력한 자신을 상징적으로 표현할 때 쓰이기도 하였다(욥13:25). 낙원(paradise) 헬라어 '파라데이소스'는 고대 페르시아어 '파이리다에자'(pairidaeza)를 음역한 말로서 담으로 둘러진 정원이나 과수를 심은 동산을 의미한다. 원래 '파라데이소스'는 크세노폰이 페르시아 왕의 정원에 대하여 처음 사용하였으나 칠십인역(LXX)에서 창세기 2:8의 '간 에덴'을 이 단어로 번역함으로써 낙원이라는 뜻을 가지게 되었다. 유대인들은 경건한 사람들의 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