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DWILL CHURCH/성경사전 (2120) 썸네일형 리스트형 (성경사전) 낙 / 낙개 / 낙담 / 낙망 / 낙성 낙(joy) 낙은 원어적으로 기쁨이나 즐거움을 의미하기도 하지만 즐거워하거나 행복한 상태를 의미하기도 한다. 이러한 낙의 조건으로 자녀(창18:12. 참고 잠 17:21), 부귀영화(전6:2;눅16:19), 수고에서 얻는 보람(전2:24;5:18) 등을 말하나 궁극적으로 이런 복을 주시며 누리게 하시는 분은 하나님이시다(전2:24,26;5:18-20). 이것은 하나님께서 마음에 드는 자에게 주시므로(전2:26;삼상13:14;행13:22) 전도자는 때가 지나기 전에 창조자를 기억하라고 한다(전12:1). 모세는 잠시 죄악의 낙(향락)을 누리는 것보다 하나님의 백성과 함께 학대받는 것을 택하였는데, 이는 장차 받을 상을 내다보았기 때문이다(히11:24-26). 기쁨 낙개(Naggai) 예수 그리스도의 족보에.. (성경사전) 나훔 / 나훔서 나훔(Nahum) 1. 선지자 중 한 사람이며 나훔서를 기록한 사람으로, 고향은 유다와 블레셋의 국경지대인 남 유다의 엘고스이다(나1:1). 그에 대해서는 더 이상 알려진 바가 없다. 2. 아모스의 아버지이며, 에슬리의 아들로서 예수 그리스도의 족보에 기록된 인물이다(눅3:25). 나훔서(The Book of Nahum) 나훔서의 대부분의 내용은 앗수르의 수도 니느웨의 멸망을 예언하는 시로 구성되어 있다. 니느웨는 B.C.612년에 바벨론, 메대, 스구디아인에게 함락되었는데, 나훔 선지자는 이 성읍이 B.C.663년 함락된 누아몬(테베)보다 더 심하게 폐허가 될 것이라고 예언하고 있다. 따라서 이 책은 격동기인 B.C.663-612 사이에 쓰여진 것으로 여겨진다. B.C.633년 앗수르의 훌륭한 통치자 .. (성경사전) 나할랄 / 나할리엘 / 나함 / 나핫 / 나홀 나할랄(Nahalal) 스불론 지파 경내에 있는 레위 지파의 성읍. 처음에는 스불론 사람에게 주어졌으나 그들은 가나안 원주민을 축출하지 못했다(수19:15;삿1:30). 정확한 위치는 알 수 없으나 현재의 '텔엔 나할'과 동일시된다. 같은 지명이 사사기 1:30에는 '나할롤'로 표시되어 있다. 나할리엘(Nahaliel) 맛다나와 바못 사이의 이스라엘이 진을 쳤던 장소로서 이곳은 '와디 제르카 마인'일 가능성이 높다. 이 골짜기는 아르논 골짜기와 느보 산 사이에 있는 사해 입구에 위치해 있다. 나함(Naham) 유다의 후손으로 역대상 4:19에 나타나는 사람의 이름이다. 원문상의 애매함 때문에 두 가지로 해석이 가능하다. 즉 나함은 호디야의 형제일 수도 있고(참고. 영역본 KJV, NEB), 호디야의 처남.. (성경사전) 나팔수 / 나팔을 불 날 / 나하래 / 나하마니 / 나하스 나팔수(trumpeter) 나팔을 부는 사람. 구약에서 나팔수는 성전에서 봉사하는 전문 음악인들로 구성되었다. 레위인들 가운데서도 선별된 사람들이었으며 제사장들로 구성되었다(왕하11:14;대하5:12). 나팔이 전쟁에서 사용되었다는 것에서 임박한 전쟁의 경고, 나아가서는 하나님의 심판의 선언을 나타내는 말로 쓰이게 되었으며, 나팔수는 경고하는 자의 의미를 갖게 되었다. 나팔을 불 날(the day to blow the trumpet) 유대력 일곱번째 달인 티쉬리월의 제1일로, 이 날에는 성회를 열고 나팔을 불어서 기념하였다(레23:24;민29:1). 현대의 태양력으로는 10월에 해당하는 티쉬리월이 유대 민간력으로 첫번째 달에 해당했기 때뭉네 의미상으로는 정월 초하루였으며, 따라서 이 날을 신년절로 지켰다.. (성경사전) 나중 / 나직하다 / 나타나다(나타내다) / 나팔 나중(the latter end) 시간적으로 '후에' 혹은 '미래적인'의 뜻으로 사용되는 부사어이다. 일반적인 미래적 개념 외에도 종말론적 의미로도 가끔 나타난다(욥8:7;잠5:4;마10:22). 또한 예수께서 요한계시록 21:6에서 '알파와 오메가요 처음과 나중이라'고 하셨을 때 이 단어는 모든 만물과 모든 역사의 주가 되심을 상징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나직하다 소리 따위를 낮게 가만히 내는 모양을 일컫는 말이다. 성경에는 이사야 29:4에서 나타나는데 히브리어 원문에는 없는 단어이다. 나타나다/나타내다(appear) 보이지 않던 것이 드러나서 눈에 보이게 되는 것을 의미하는 동사. 이 단어는 많은 경우 하나님이나 성령의 현현과 관련된 신적인 단어로 사용된다. 바울은 종말론적 의미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 (성경사전) 나오미 / 나욧 / 나인 / 나일(강) 나오미(Naomi) 베들레헴 사람 엘리멜렉의 부인. 모압에서 남편과 두 아들을 잃고 모압 사람인 며느리 룻과 함께 고향으로 돌아왔다. 나오미는 원래 '기쁨'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나, 그녀는 심한 괴로움으로 스스로를 '마라'(괴로움)라고 칭하였다. 그녀는 며느리 룻을 권고하여 보아스와 결혼하도록 도왔고(룻3:1-6), 후에 그 사이에서 출생한 오벳을 돌보아 주었다(룻4:16-17). 나욧(Naioth) 예루살렘에서 멀지 않은 베냐민 지파의 거주지 '라마' 혹은 그 근처에 있던 땅. 다윗이 사울을 피하여 사무엘에게 갔을 때 이곳에서 머물렀다(삼상19:18-20). 이곳은 일군의 선지자들이 집단으로 거주하던 곳이었다. 사울이 다윗을 잡으려고 이곳까지 추적해 왔지만 오히려 사울 자신이 선지자의 영에 감동되어 .. (성경사전) 나아마1 / 나아마2 / 나아마 사람 / 나아만 / 나암 나아마1(Naamah) 1. 가인의 후손 라멕과 씰라의 딸(창4:22). 구리와 철로 각양 날카로운 기계를 만들었던 두발가인의 누이이다. 2. 암몬 사람으로 솔로몬의 아내였으며 르호보암의 어머니이다(왕상14:21,31). 나아마2(Naamah) 1. 여호수아 15:41에 유다 지파에게 분배된 성읍으로 언급되어 있다. 유다 산악지대 중간의 저지대였으며, 어딘지 확실히 밝혀지지 않은 마케다 근처에 있었던 것 같다. 어떤 학자는 현재의 나아나(Naanah)에 위치했다고 주장한다. 2. 북 아라비아에 있던 것으로 추측되는 성읍. 욥기 2:11의 소발을 이 성읍 사람으로 부르고 있다. 나아마 사람 나아마2의 2항 나아만(Naaman) 1. 벨라의 아들이며 베냐민의 손자로(창46:21), 나아만 가족의 우두머리(민.. (성경사전) 나실인 / 나아라1 / 나아라2 / 나아란 / 나아래 나실인(Nazirite) 스스로를 여호와께 헌신하고 성별을 맹세하여 금욕을 행하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이다. 나실인의 개념이 이스라엘 고유의 것인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고대에는 종교적 목적으로 구별되어 금욕을 훈련하는 예들이 많이 있었다. 그러나 이스라엘의 나실인은 독특함을 보여 준다. 그들의 계명은 민수기 6:1-23에 기록되어 있는데, 그 내용은 두 부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전반부(6:1-12)는 나실인이 된 자가 지켜야 할 일반적 규례이고, 후반부(6:13-23)는 나실인이 되기 위한 서원 예식의 규례이다. 나실인이 된 자는 서원하는 날 동안에는 포도주를 포함하여 포도에서 나는 모든 생산품을 먹을 수 없었고, 삭도를 머리에 대지 말아야 했으며, 시체를 만지는 것이 금지되었다. 포도주와 포도를 원료.. 이전 1 ··· 223 224 225 226 227 228 229 ··· 2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