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OODWILL CHURCH/성경사전

(2120)
(성경사전) 넘어뜨리다 / 넘어지다 / 넘치다 / 넣다 / 네레오 넘어뜨리다(cause to fall) 서 있는 사람이나 물건을 쓰러뜨리거나 남의 권세나 지위를 꺾는 것을 말한다. 물리적인 넘어짐 외에도 멸망이나 파멸을 비유적으로 나타내기도 한다(욥12:19;잠4:16;겔36:15;눅4:35). 넘어지다(offend) 한쪽으로 쓰러지다. 원어적으로 이 단어는 장애 혹은 '장애물에 걸려 넘어지다, 실족하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삼상2:4;나3:3), 우리말 개역성경에는 같은 단어가 여러 곳에서 '실족하다'로 번역되어 있다(마13:21). 성경에서 이 말은 물리적인 쓰러짐의 의미보다는 상징적 의미로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많은 경우 종말론적인 배교와 관련하여 죄를 짓도록 유혹함으로써 멸망을 초래하는 것을 나타낸다. 베드로는 천국의 열쇠를 받는 권세를 얻었지만 예수의 ..
(성경사전) 넓이 / 넓적다리 / 넘겨 두다 / 넘겨주다(넘기다) / 넘다 넓이(width) 넓은 정도. 성경에서는 주로 선지자의 환상 가운데 보았던 성전의 규격을 일컬을 때 나타나며(왕상7:26;욥38:18;엡3:19) '광'과 같은 말이다. 넓적다리(thigh) 사람의 다리나 네 발 짐승의 뒷다리 윗부분을 말한다(출28:42;민5:21;아7:1). 이 단어는 종종 제사에 사용되는 제물과 관련하여 나타난다. 서원제에 있어서 제물의 넓적다리는 제사장에게 돌려졌다(민6:20). 또 이 단어는 느부갓네살 왕이 꿈에 보았던 신상을 묘사하는 곳에서도 나타난다. 그 꿈 속의 신상은 거대한 금속제로서 여러 가지 재료들로 구성되어 있었는데 배와 넓적다리 부분이 놋으로 이루어져 있었다(단2:32). 이것은 놋과 같은 나라가 일어설 것을 상징하며 일반적으로 알렉산더의 바사 제국을 의미한다고 해..
(성경사전) 널리 / 널조각 / 널판 / 넓다 / 넓은 곳 널리(on the breadth) 원어상 '많다'에서 파생된 '넓게'라는 뜻이다. 지역적으로 '넓게' 혹은 마음 따위가 '너그럽고 넉넉하게'의 뜻으로 쓰였다(사55:7;계20:9). 널조각(board) '널빤지 조각'의 준말. 죄수의 몸이 되어 로마로 향하던 바울과 그 일행이 풍랑을 만나 타고 있던 배가 난파되자 파손된 배의 일부인 널조각에 의지해 겨우 멜리데 섬에 상륙하였다(행27:44). 성경에서는 '널판'과 구분하여 사용하고 있다. 널판 널판(frame) 통나무를 넓고 얇게 혹은 다른 모양으로 켜낸 조각으로, 성경에서는 성막의 건축 자재를 일컫는다. 성막의 본체라고 할 수 있는 성소와 지성소를 이루는 삼면의 벽은 높이 10규빗(약4.5m), 폭 1.5규빗(약67.5m)의 널판을 연결하여 세웠다. 널..
(성경사전) 너그럽다 / 너무 / 너울 / 너풀거리다 / 넉넉하다 너그럽다(patiently) 마음이 넓고 크다는 뜻으로 잘못이나 실수를 한 사람에게도 수용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을 말한다(잠19:6). 신약에서 이 단어는 두 가지 의미로 쓰이는데, 하나는 '넉넉하고 여유가 있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고린도후서 9:11에 헌금과 관련하여 쓰였다. 또 하나는 '인내', '오래 참음'의 뜻으로 바울이 아그립바 앞에서 자신의 변명을 인내를 갖고 들어줄 것을 요청할 때 사용하였다(행26:3). 너무 '한계나 정도에 지나치게', '과분하게'. 성경 원문상에는 없는 단어이다(출18:18;눅24:41). 너울(veil) 여자들의 결혼 예식 때 또는 특별한 나들이를 할 때 얼굴을 가리기 위해 사용되었는데 이는 여인들의 순결함을 의미하였다(아4:1,3. 참고. 창24:65). 그러나 선..
(성경사전) 냄새 / 냇물 / 냉과리 / 냉수 / 너구리 냄새(smell) 코로 맡을 수 있는 어떤 기운이나 사물, 또는 분위기 등이 가지는 색채를 말한다. 냄새는 나쁜 냄새와 좋은 냄새가 있다. 이스라엘은 광야를 진행할 때 그들의 양식이 되었던 만나를 이튿날 아침까지 남겨 둘 수 없었다. 그러나 일부가 모세의 명을 어기고 만나를 아침까지 두자 벌레가 생기고 악취를 내었다(출16:20,24). 좋은 냄새인 향기는 제사와 관련하여 나타난다. 하나님께서는 번제물의 향기로운 냄새를 흠향하시는 것으로 제사를 받으신다(창8:21). 바울은 예수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하여 자신을 하나님께 드리신 향기로운 제물이라고 말한다(엡5:2). 고린도후서 2:14에는 그리스도를 아는 지식의 향기가 어떤 사람에게는 사망에 이르게 하고, 어떤 사람에게는 생명에 이르게 한다고 기록하고 ..
(성경사전) 내응 / 내일 / 내장 / 내치다 / 내탕고 내응(for) 은밀히 내부에서 외부와 통함. 내통(새번역). 열왕기하 6:11에 나타나는 말로서, 아람 왕이 이스라엘과 싸우기 위하여 작전을 세우지만 번번이 실패하자 그것이 하나님의 선지자 엘리사에 의한 것인 줄 모르고 신하들을 향해 '누가 이스라엘과 내응하느냐?'고 질책하였다. 내일(tomorrow) 문자적으로는 오늘이 지난 바로 다음 날을 가리키며, '이튿날'도 같은 뜻으로 사용된다(출9:5;삼상20:5). 이 말은 다음 날을 가리키는 것 외에도 미래를 뜻하기도 한다. 그래서 성경에는 같은 단어가 '후일'로 번역된 곳도 많이 있다. 잠언 27:1에는 내일 일을 자랑하지 말라고 경고하고 있는데 여기에서도 그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미래의 일은 아무도 장담할 수 없음을 가르쳐 주는 교훈이다. 또한..
(성경사전) 내어버려 두다 / 내어 버리다(내어 보내다) / 내어 쫓다 / 내어주다 / 내외소(내외전) 내어버려 두다(give up) 어떤 사물이나 상태를 관여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두다. 사도 바울은 사람들 마음의 정욕과 부끄러운 욕심과 하나님을 마음에 두기 싫어하는 생각들을 하나님께서 그대로 내어버려 두셨다고 가르쳐 준다(롬1:24-28). 하나님께서는 인간에게 하나님을 알 만한 것을 허락하셨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의 계시를 받아들이려고 하지 않는 자들을 하나님은 그대로 내어버려 두는데, 이것은 하나님 없이 사는 자들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이다. 그 결과 그들은 합당하지 못한 악행에 빠져 살아가면서도 자기들이 옳다고 믿고 살아가게 된다(롬1:28-32). 이 말의 헬라어 원어는 소극적 의미로의 '내어버려 두다'라기보다는 오히려 적극적인 의미에서의 '넘겨 주다', '건네주다'라는 뜻이 더 강하다. 내..
(성경사전) 내소 / 내시 / 내실 / 내어 놓다 / 내어 던지다 내소(oracle) 지성소를 가리키는 말(왕상6:16,19,20). 지성소 내시(eunuch) 거세 된 남자. 궁중에서 왕의 시녀들을 맡아 관리하던 사람들을 부르던 말에서 왕의 신하를 가리키는 말로 전이되었다. 그래서 실제로는 고자가 아닌 사람도 많이 있다. 이 말의 히브리어 원어는 시위대장, 시종, 환관 등으로도 번역되고 있다(창37:36;왕하24:12;에1:10). 모세의 율법에 의하면 거세된 자들은(개역성경은 '신낭을 상한 자나 신을 베인 자'로 되어 있다) 여호와의 총회에 들어오지 못하게 되어 있었다(신23:1). 그러나 하나님께서는 이사야 선지자를 통해 "나의 언약을 굳게 잡는 고자들에게는 ...자녀보다 나은 기념물과 이름을 주며 영영한 이름을 주어 끊치지 않게 할 것"이라고 말씀하셨다(사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