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OODWILL CHURCH/성경사전

(2120)
(성경사전) 차라리 / 차례 / 차리다 / 차마 / 차바퀴 차라리 rather 앞의 사실보다 뒤의 사실이 더 나음을 뜻하며(마10:6, 공동번역 '다만', 개정판 ‘오히려'), 오히려(고후5:8)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특히 고전7:21에서는 바울이 '어떻게 해서든지' (새번역)의 뜻으로 기회를 선용할 것을 언급하고있다. 차례 order 일정하게 하나씩 벌여 나가는 순서(에2:12;눅1:8;행11:4). 차리다 set 준비하여 베풀다. 성경에서는 주로 식사 또는음식에 대하여 사용되었다(욥36:16;눅10:8;행16:34). 차마 가엽고 애틋하여 어찌. 성경에서는 자녀를 매질할 때의 부모의 마음을 표현하는 말로 사용했다(잠13:24). 차바퀴 wheel 중앙에 축을 두어굴러 가거나 물체를 옮길 때 쓰이는 둥근 물건, 이사야는 차바퀴를 이스라엘을 심판하시기..
(성경사전) 찔레 / 차 / 차꼬 / 차다 / 차등 찔레 thistle 산이나 들에 흔히 나는 장미과에 속하는 낙엽관목으로서, 성경에서는 기드온이 숙곳 사람의 비협조적인 태도와 행위를 벌하는 데 사용한 것으로(삿8:7-10)기록되었으며, 호세아 선지자는 이스라엘에게 임할하나님의 징계를 상징하는 말로 사용하고 있다(호9.6.108). 또한 에스겔서에서는 에스겔에게 다가올 핍박이나 조소 또는 비난을 상징하는 말로 사용되었다(겔 2:6). 신약에서는 좋은 열매맺는 나무의 비유에서 사용되었는데 좋지 않은 나무에서 좋은 열매를 거둘 수 없다는 말을 '찔레에서 포도를 따지 못한다' 는 말로 표현하였다(눅6:44). 차 수레, 병거 차꼬 stock 죄인을 묶어 두던 형틀의 하나로서 대부분은 나무나 쇠로 만들어졌다. 구약성경에는 여러 종류의 차꼬가 나타나고 있는데, 먼..
(성경사전) 쬐다 / 쭉정이 / 찌끼 / 찌르다 / 찍다1 / 찍다2 쬐다 heat 볕이 들어서 비치는 것(삼하4:5), 볕이나 불김에 쬐거나 말리는 행동을 지칭한다(아1:6, 막14:54). 한편 하나님께서 조용히 감찰하시는 모습을 비유적으로 묘사할 때 사용되기도 하였다(사18:4). 쭉정이 chaff 밀보리의 탈곡시에 껍질만 있고 속 알맹이가 없는 곡식의 열매를 가리키며, 팔레스타인에서는 알곡과 쭉정이를 분리하여서 불을 지피는 연료로 사용하기도 하였다. 구약에서는 하나님을 떠난 죄인을 상징하는 말로서, 영적으로 교만하여 우상을 만들고 숭배한 자를 묘사하는 말에 사용하였다(호13:3), 신약에서는 종말적 의미를 지닌 말로 심판에 의해 지옥으로 떨어질 죄인을 상징한다(마3:12:눅3:17). 찌끼 dross 찌꺼기의 준말로 좋은 것이나 쓸만한 것을 골라낸 후에 남겨지는 쓸..
(성경사전) 쪼이다1 / 쪼이다2 / 쪽발 / 쪽제비 / 쫓다1 / 쫓다2 쪼이다1 쬐다 쪼이다2 pick out 뾰족한 끝으로 찍힘을 당하는 것을 뜻하는 말로, 잠언 기자는 아비를 조롱하며 어미에게 순종하기를 싫어하는 자가 받을 형벌을 묘사할 때 사용하였다(잠30:17). 쪽발 cloven foot 발굽이 두 갈래로 갈라진 것을 의미하는 말로서,성경에서 이스라엘 백성이 먹을 수 있는 짐승을 설명할 때 사용되었다(레 11:3). 즉 이스라엘 백성들은 쪽발이며 새김질하는 짐승이어야 먹을 수 있었다. 쪽제비 족제비 쫓다1 drive out 있는 자리에서 억지로 떠나게 하는 것을 의미하는 이 말은 하나님의 행동과 련되어 사용되기도 하였는데 악한 것을 추방하는 것을 의미한다(창4:14;신33:27;겔4:13). 쫓다2 pursue 뒤에서 추격하는 것을 의미하기도 하지만(창14:14;1..
(성경사전) 짝하다 / 짠물 / 짧다 / 쪼개다 / 쪼다 짝하다 partner with 어느 일에 있어서 아무와 함께 동무가 되는것을 의미한다(잠29:24;사1:23;고후10:12). 성경에서는흔히 패역한 세상의 삶을 즐기거나 유혹된다는 의미로 쓰인다. 짠물 salt water 바닷물 혹은 염분이 있어 짠맛이 나는 우물물 따위의물. 한 입에서 찬송과 저주가 나오는 모순을 말할 때사용되었다(약3:12). 짧다 short 길이가 부족하여 부적절한 것을 의미한다. 성경에서는 이 짧다는 말을 능력에견주어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이사야 50:2에서는 '내손이 어찌 짧아' 라고 하여 여호와 하나님의 팔이 짧아즉 힘이 모자라든지 능력이 부족하여라는 뜻으로 사용되었다. 또 인간의 능력이 턱없이 모자람을 의미할때 사용되기도 한다(사28:20). 이외에도 악인에 대한하나님의 징..
(성경사전) 짜다1 / 짜다2 / 짜다3 / 짝 / 짝짓다 짜다1 weave 실 따위를 세로와 가로로 엇걸어서 피륙이나 옷감 등을 만들어 내는 것을 의미하는데 성막도 베실로 짜서만들어졌다(출26:36. 이 말은 하나님께서 모세에게아론을 위한 거룩한 옷을 만드는 법을 알려주시는 내용 중에 사용되었다(출28:32;39:22-23). 또한 예수께서제자들에게 들꽃들은 실도 만들지 않고 짜지도 않지만 솔로몬의 모든 영광으로 입은 것보다 더하다고 말씀하신 곳에서 사용되었다. 예수께서는 이를 통해 세상의 모든 염려를 버릴 것을 교훈하셨다(눅12:27). 짜다2 wring 비틀거나 눌러서 물기나기름기를 뽑아내는 것을 의미한다(창40:11;삿6:38;사1:6). 짜다3 salt 소금 맛과 같은 맛을의미한다. 예수께서는 그리스도인의 생활을 소금의짠 맛에 비유하셨다(마5:13;눅1..
(성경사전) 징계(하다) / 징벌 / 징조 / 징책 / 징치 징계/-하다 chasten 허물을 뉘우치도록 주의를 주고 나무람, 또는 부정이나 부당한 행위를 되풀이 하지 못하도록 제재를 가함을 의미하는 말이다. 성경에서는교육적인 의미를 강조할 때 주로 사용되었다. 징계는하나님과 이스라엘 백성 사이의 계약에서 출발하며,덧붙여 그 백성이 성별되기를 원하시는 하나님의 사랑이 징계 안에들어 있다. 따라서 징계는 회개와 변화를 가져오게 한다. 성경은 징계하시는 하나님을 이스라엘의 아버지로, 그 백성을 아들로 대비하여 하나님의 징계를 지상에서의 아버지가 아들에게 매질로 교육하고 훈계하는 모습으로 묘사하였다(삼하7:14). 이런 하나님의 징계를 받는 자는 하나님의 사랑을 받는자들이며(잠3:12) 복된 자들이다(욥5:17). 특히 잠언에서는 교육의 의미를 지닌 훈계로서의 징계를 ..
(성경사전) 집사 / 집회 / 짓 / 짓다 / 짓밟다 집사 deacon 성령강림 이후 교회 안에서 중요한 역할을 감당하던 직분중의 하나이다. 집사의 기원은 사도행전 6장의 안수받은 일곱 사람에 두고 있는데, 이들은 사도의 과중한업무를 돕기 위해 세워진 동역자였고, 주로 구제에 관한 일을 담당했었다(행6:1-6. 성경에서는 이들을 집사라는 명칭으로 기록하지 않고, 단지 그 기능을 설명하는 헬라어(디아코네오)를 사용하여서 그들이 교회에서 봉사하는 직분자였음으로만 설명하고 있다. 집사에 대한 명칭이 구체적으로 언급된 것은 바울이 빌립보 교회에 보낸 편지에서인데, 그 서두에 감독과 집사에게 보냄을 기록하고 있다(빌1:1). 이 편지는 빌립보교인들이 바울에게 물질적 도움을 준 데 대한 감사의표시도 하고 있는데, 이로 보아 집사는 성도들이 보내온 구제 물품을 관리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