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DWILL CHURCH/찬양 악보 및 해설 (646) 썸네일형 리스트형 새찬송가 318장 순교자의 흘린 피가 - 악보 및 해설 애국찬송이다. 1천만 이상의 신도가 있어 세계 복음화 기지라 자처하는 이 땅에는 허다한 이국 형제들의 흘린 핏자국이 남아 있다. 지금도 북한에서는 수많은 성도들이「예수 믿기 때문에」처형을 당하고 있다. 순교자적 신앙 없이 교회는 성장할 수 없다. 숫자가 많다고 자랑할 게 아니다. 알곡이 되어야 한다. 이 찬송이 처음 나타난 것은《찬송가(신작 증보판), 1995》601장인데, 거기는 그림에서 보시는 대로 정용섭 목사 작사로 되어 있었다. 그런데 캐나다에 이민 가 있는 정용섭 목사는 자기는 이 찬송을 작사한 일이 없다고 알려와 작곡자 모름이라는 표시를 하게 된 것이다. 《21세기 찬송가, 2007》편찬 때 가사만 채택하고 작곡을 새로 하였다. 작곡자는 하재은(河在恩, 1937-) 교수로서 한국신학대학에서 신.. 새찬송가 317장(통일 353장) 내 주 예수 주신 은혜 - 악보 및 해설 미국의 복음찬송 작가 엑셀(Edwin O. Excell, 1851~1921)의 작곡으로 1909년에 엑셀에 의해 판권 취득이 된 것으로 표시되어 있다. 작사자 맥로린(John J. Mclaurin)에 대한 자료는 없다. 곡명 "THE OFFERING"(봉헌)은 제목을 그대로 사용한 것이다. [신편 찬송가](1935년, 320장)에 처음 수록되었다. 새찬송가 316장 주여 나의 생명 - 악보 및 해설 이 노래는 개인 작곡집에서 채택한 것이다. 김보훈이 1978년에 출판한『주만 위해』란 작곡집에 실린 같은 제목의 독창곡이다. 작사 · 작곡자 김보훈(1932- )은 경북 대구에서 출생하였다. 부산에 살면서 임마누엘합창단 지휘자로 활동하였다. 미국으로 이민 가서 작곡을 전공, 지금은 식료품 생산공장을 경영하며 교회 찬양대 지휘를 맡고 있다는 소식이다. 그가 작곡 혹은 편곡한 합창곡집이 여러 출판사에서 판매중이다. 새찬송가 315장(통일 512장) 내 주 되신 주를 참 사랑하고 - 악보 및 해설 영국 런던에서 출간된 찬송집(London Hymn Book, 1864년)에 작사자 미상으로 처음 수록되었고, 1870년부터는 미국 찬송집에도 나타나기 시작했다. 후에 작사자로 알려진 페더스톤(William R. Featherstone, 1846~1873)은 영국인으로 캐나다의 몬트리올에서 생애를 보낸 감리교 신자로 알려지고 있다. 곡명 "GORDON"(고든)은 작곡자 이름을 딴 것이며, 미국의 침례교 목사인 고든(Adoniram J. Gordon, 1836~1895)이 런던 찬송가(London Hymn Book)에서 발견한 이 찬송시에 곡을 붙여 콜드웰(S. L. Caldwell)과 공편한 침례교 찬송집(The Service of Song for Baptist Churches, 1876년)에 처음 수록되.. 새찬송가 314장(통일 511장) 내 구주 예수를 더욱 사랑 - 악보 및 해설 미국의 프렌티스(Elizabeth P. Prentiss, 1818~1878) 여사가 1856년 전염병으로 자녀들이 모두 죽은 후 자신의 병약한 육체의 고통과 번뇌에서 하나님을 향한 믿음을 되찾고 쓴 찬송시이다. 남편인 프렌티스(George L. Prentiss) 목사가 1869년에 이 시를 발견하였고, 돈(William H. Doane, 1832~1915)이 곡을 붙였다. 곡명 "MORE LOVE TO THEE"는 제목을 그대로 사용한 것이며, 돈(W. H. Doane)의 복음찬송집(Songs of Devotion, 1870년)에 처음 수록되었다. [찬양가](1894년, 82장)에 처음 수록되었다. 현 번역은 [찬숑가](1908년, 186장)에서 온 것이다. 새찬송가 313장(통일 352장) 내 임금 예수 내 주여 - 악보 및 해설 믹국의 히윗(Eliza E. Hewitt, 1851~1920) 여사가 작사하고, 스웨니(John R. Sweney, 1837~1899)가 작곡한 복음찬송으로, 정확한 연도는 모르나 19세기 말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곡명 "HEWITT"(히윗)은 작사자의 이름을 딴 것이다. [신편 찬송가](1935년, 340장)에 처음 수록되었다. 새찬송가 312장(통일 341장) 너 하나님께 이끌리어 - 악보 및 해설 독일의 노이마르크(Georg Neumark, 1621~1681)가 작사-작곡한 찬송 "Wer nur den lieben Gott"를 영국의 윙크워스(Catherine Winkworth)가 영역하여 그의 독일 찬송 번역집(Chorale Book for England, 1863년)에 처음 수록되었다. "위로의 노래"란 제목이 붙은 이 찬송은 노이마르크가 강도에게 모든 것을 다 뺏기고 실직 상태의 절망 중에, 개인 교사 일을 얻고 하나님의 돌보심에 대한 경험에서 나온 것이다. 곡명 "NEUMARK"(노이마르크)는 작가의 이름을 딴 것이다. 새찬송가 311장(통일 185장) 내 너를 위하여 - 악보 및 해설 영국의 여류 찬송 작가 하버갈(Frances R. Havergal, 1836~1879)이 유명한 독일 목사의 서재에 걸려진 십자가상의 예수의 그림 밑에 있는 "나는 너를 위해 이렇게 했는데 너는 나를 위해 무엇을 했는가?"라는 글을 보고 이 찬송시를 썼다. 이 찬송시는 1859년에 낱장으로 인쇄되었고, 1860년 2월호 기독교 잡지(Good Words)에 수록되었다. 곡명 "KENOSIS"(케노시스)는 헬라어로 "그리스도의 스스로 낮아지심"을 뜻하는 말로, "오히려 자기를 비어 종의 형체를 가져 사람들과 같이 되셨고"(빌 2:7)에서 온 것이다. 미국의 복음찬송 작가 블리스(Philip P. Bliss, 1838~1876)가 이 가사를 위해 작곡했으며, 그가 편찬한 주일학교 노래집(Sunshine for.. 이전 1 ··· 39 40 41 42 43 44 45 ··· 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