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REEK BIBLE

헬라어 사도행전 21장 전체 원어 원문 성경 공부 주석 강해 설교

 

호스 데 에게네토 아나크데나이 헤마스 아포스파스덴타스 앞 아우톤 유뒤드로메산테스 엘도멘 에이스 텐 코 테 데 엨세스 에이스 텐 로돈 카케이덴 에이스 파타라

 

개역개정,1 우리가 그들을 작별하고 배를 타고 바로 고스로 가서 이튿날 로도에 이르러 거기서부터 바다라로 가서 
새번역,1 우리는 그들과 작별하고, 배를 타고 곧장 항해해서 고스에 도착하였다. 이튿날 로도에 들렀다가, 거기에서 ㉠바다라로 갔다. / ㉠다른 고대 사본들에는 '바다라와 미라'
우리말성경,1 우리는 그들과 작별한 뒤 바다로 나가 배를 타고 곧장 고스로 갔습니다. 이튿날 우리는 로도에 이르렀고 그곳에서 또 바다라로 갔습니다. 
가톨릭성경,1 우리는 그들과 헤어져 배를 타고 곧장 코스로 갔다가, 이튿날 로도스를 거쳐 거기에서 다시 파타라로 갔다.
영어NIV,1 After we had torn ourselves away from them, we put out to sea and sailed straight to Cos. The next day we went to Rhodes and from there to Patara.
영어NASB,1 And when it came about that we had parted from them and had set sail, we ran a straight course to Cos and the next day to Rhodes and from there to Patara;
영어MSG,1  And so, with the tearful good-byes behind us, we were on our way. We made a straight run to Cos, the next day reached Rhodes, and then Patara.
영어NRSV,1 When we had parted from them and set sail, we came by a straight course to Cos, and the next day to Rhodes, and from there to Patara.
헬라어신약Stephanos,1 ως δε εγενετο αναχθηναι ημας αποσπασθεντας απ αυτων ευθυδρομησαντες ηλθομεν εις την κων τη δε εξης εις την ροδον κακειθεν εις παταρα
라틴어Vulgate,1 cum autem factum esset ut navigaremus abstracti ab eis recto cursu venimus Cho et sequenti die Rhodum et inde Patara
히브리어Modern,1 ויהי כאשר נפרדנו מהם ונרד באניה ונבוא דרך ישרה אל קוס וממחרת אל רודוס ומשם אל פטרה׃

 

성 경: [21:1]

주제1: [예루살렘으로 향하는 바울]

주제2: [두로 사역]

󰃨 우리가 - 본서에서 '우리'라는 표현을 쓰고 있는 곳은 모두 네 곳인데(16:10-17;20:5-15;21:1-18;27:1-28:16) 본 단락은 그 중 하나이다. 여기서 '우리'에 대해서는 학자들 간에 견해의 차이가 있다. 혹자는 '우리'에 해당하는 사람들이 바울, 누가, 드로비모, 아리스다고 뿐이라고 한다. 그리고 다른 사람은 바울과 헤어졌을 것이라고 추측한다. 그러나 20:4에서 부로의 아들 소바더, 세군도, 가이오, 디모데, 두기고, 드로비모, 아리스다고에 대해 언급한 이후 지금까지 그들 중 누구와도 헤어졌다는 언급이 없다는 점과 헌금 전달자의 명단위에 열거된 이름 외에 다른 이름도 있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이들 외에도 다른 동행자들이 함께 했으리라 짐작된다(Haenchen).

󰃨 저희를 - '저희'는 밀레도의 회중들과 에베소 교회의 장로들을 가리킨다(20:17, 18).

󰃨 작별하고 - 헬라어 '아포스파스덴타스'(*)는 동사 '아포스파오'(*)의 제1부정과거 수동태 분사인데, 이 말은 어떤 사람 또는 물건으로부터의 분리를 뜻하는 '아포'(*)'끌다', '당기다'의 뜻인 '스파오'(*)의 합성어로 '찢어놓는다'는 의미로서 매우 어렵고도 아쉬운 이별의 장면을 묘사해 주고 있다. 이것은 교역자로서의 바울과 그로부터 양육을 받는 성도들 사이가 매우 친밀한 사랑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 고스 - 밀레도 남쪽 68km 지점에 있는 작고 비옥한 섬으로 명주, , 고약의 산지로 유명하며 또한 전설적인 의학자인 히포크라테스의 고장으로 규모가 큰 의학교가 있었다.

󰃨 로도 - 이 지명은 '도데케네스'(Dodecanese) 제도 가운데 가장 큰 섬을 가리키며 더 구체적으로는 이 섬의 북동쪽 끝에 위치한 도시를 가리킨다. 이곳은 소아시아 대륙에서 19.2km 정도 떨어져 있으며 장미의 섬으로 불리울 만큼, 피부한 일조량으로 하여 장미가 만발하는 섬이다. 또한 이곳에는 세계 7대 불가사의 가운데 하나라고 하는 태양의 상징 아폴로 신상이 크게 서 있는데 당시에는 넘어져 있었다.

󰃨 바다라 - 이곳은 소아시아의 남서 해안에 위치한 루시아의 도시였다. 당시 '바다라'는 수리아, 팔레스틴 및 애굽 동쪽 연안의 지중해 항구들과 아시아, 마게도냐, 아가야의 항구들을 왕복하던 큰 배들의 정박지로서, 아름다운 항구 도시이자 거대한 상업 도시였다. 한편 한때 이곳에는 델피(Delphi)에 견줄만한 아폴로 신의 신탁소가 있었다.



 

카이 휴론테스 플로이온 디아페론 에이스 포이니켄 에피반테스 아네크데멘

 

개역개정,2 베니게로 건너가는 배를 만나서 타고 가다가 
새번역,2 우리는 페니키아로 가는 배를 만나서, 그것을 타고 떠났다.
우리말성경,2 우리는 페니키아로 건너가는 배를 만나 타고 가다가 
가톨릭성경,2 그리고 페니키아로 건너가는 배를 만나 그것을 타고 떠났다.
영어NIV,2 We found a ship crossing over to Phoenicia, went on board and set sail.
영어NASB,2 and having found a ship crossing over to Phoenicia, we went aboard and set sail.
영어MSG,2  There we found a ship going direct to Phoenicia, got on board, and set sail.
영어NRSV,2 When we found a ship bound for Phoenicia, we went on board and set sail.
헬라어신약Stephanos,2 και ευροντες πλοιον διαπερων εις φοινικην επιβαντες ανηχθημεν
라틴어Vulgate,2 et cum invenissemus navem transfretantem in Foenicen ascendentes navigavimus
히브리어Modern,2 שם מצאנו אניה עברת אל פינוקיא ונרד בה ונעבר׃

 

성 경: [21:2]

주제1: [예루살렘으로 향하는 바울]

주제2: [두로 사역]

󰃨 베니게로 건너가는 - 베니게는 팔레스틴 북쪽 두로나 시돈이 위치한 지역을 포괄하는 영역을 가리킨다. 그러니까 이제는 에게해를 완전히 빠져나와 지중해를 가로질러 두로에 이르는 항로에 접어들었음을 알 수 있다. 아마 이들은 바다라에서 두로로 직항(直航)하는 큰 배로 갈아탔을 것이다.



 

아나파난테스 데 텐 퀴프론 카이 카탈리폰테스 아우텐 유오뉘몬 에플레오멘 에이스 쉬리안 카이 카텔도멘 에이스 튀론 에케이세 가르 토 플로이온 엔 아포포르티조메논 톤 고몬

 

개역개정,3 구브로를 바라보고 이를 왼편에 두고 수리아로 항해하여 두로에서 상륙하니 거기서 배의 짐을 풀려 함이러라 
새번역,3 키프로스 섬이 시야에 나타났을 때에, 우리는 그 섬을 왼쪽에 두고 시리아로 행선하여 두로에 닿았다. 그 배는 거기서 짐을 풀기로 되어 있었다.
우리말성경,3 키프로스 섬이 보이자 그 섬을 왼쪽에 두고 시리아로 행선해 두로에 배를 댔습니다. 그곳에서 배의 짐을 풀기로 돼 있었기 때문입니다. 
가톨릭성경,3 키프로스가 눈에 들어오자 우리는 그 섬을 왼쪽에 두고 시리아로 항진하여 티로에 닿았다. 그 배가 거기에서 짐을 내리기로 되어 있었던 것이다.
영어NIV,3 After sighting Cyprus and passing to the south of it, we sailed on to Syria. We landed at Tyre, where our ship was to unload its cargo.
영어NASB,3 And when we had come in sight of Cyprus, leaving it on the left, we kept sailing to Syria and landed at Tyre; for there the ship was to unload its cargo.
영어MSG,3  Cyprus came into view on our left, but was soon out of sight as we kept on course for Syria, and eventually docked in the port of Tyre. While the cargo was being unloaded,
영어NRSV,3 We came in sight of Cyprus; and leaving it on our left, we sailed to Syria and landed at Tyre, because the ship was to unload its cargo there.
헬라어신약Stephanos,3 αναφαναντες δε την κυπρον και καταλιποντες αυτην ευωνυμον επλεομεν εις συριαν και κατηχθημεν εις τυρον εκεισε γαρ ην το πλοιον αποφορτιζομενον τον γομον
라틴어Vulgate,3 cum paruissemus autem Cypro et relinquentes eam ad sinistram navigabamus in Syriam et venimus Tyrum ibi enim navis erat expositura onus
히브리어Modern,3 ונרא את פני קפרוס ונעזבנה לשמאל ונעבר אל סוריא ונגיע אל צור כי שמה יוציאו את מעמסת האניה׃

 

성 경: [21:3]

주제1: [예루살렘으로 향하는 바울]

주제2: [두로 사역]

󰃨 구브로를 바라보고...왼편에 두고 - 구브로는 바다라와 두로의 중간 지점에 위치한 지중 해상의 섬으로 과거에 바울과 바나바가 바보에서 바예수의 훼방을 물리친 바 있다(13:4-12). 바다라에서 두로 방향으로 항해를 하자면 이 구브로섬의 남단을 지나가게 되는데, "구브로를 바라보고 이를 왼편에 두고"라는 표현은 이 항로를 따라 배가 움직여갔음을 말해주며 동시에 이 배가 순항하였음을 암시한다.

󰃨 수리아 - 이 지역은 팔레스틴 서북방의 지중해에 접한 지역으로 이 지역의 남쪽에 두로가 위치해 있다.

󰃨 행선하여 - 헬라어 '에플레오멘'(*)'항해하다'의 뜻인 '플레오'(*)의 미완료과거형으로서 구브로에 머무르지 않고 수리아에 도착할 때까지 계속 항해하였음을 시사한다.

󰃨 두로 - 이 도시는 바로 위에 위치한 시돈과 함께 베니게의 오랜 항구 도시이다. 대표적 이교 도시로 번영과 부패(腐敗)의 표본이었으며 늘 책망의 대상이었다(10:13). 이 두로는 바다라에서 닷새의 항해 거리에 있었다고 하는데(Chrysostom, Bruce), 이곳에 배가 정박한 것은 배의 짐을 내리기 위함이었다. 아마 이 짐은 과일이나 곡물이었을 것이다(Robertson).



 

아뉴론테스 데 투스 마데타스 에페메이나멘 아우투 헤메라스 엪타 호이티네스 토 파울로 엘레곤 디아 투 프뉴마토스 메 에피바이네인 에이스 히에로솔뤼마

 

개역개정,4 제자들을 찾아 거기서 이레를 머물더니 그 제자들이 성령의 감동으로 바울더러 예루살렘에 들어가지 말라 하더라 
새번역,4 우리는 두로에서 제자들을 찾아서 만나고, 거기서 이레를 머물렀다. 그런데 그들은 성령의 지시를 받아서, 바울에게 예루살렘에 올라가지 말라고 간곡히 말하였다.
우리말성경,4 우리는 두로에서 제자들을 만나 그들과 함께 7일을 지냈습니다. 그들은 성령의 감동으로 바울에게 예루살렘으로 올라가지 말라고 전했습니다. 
가톨릭성경,4 우리는 제자들을 찾아내어 그곳에 이레 동안 머물렀다. 그런데 그들은 성령의 지시를 받아, 예루살렘으로 올라가지 말라고 바오로에게 거듭 이야기하였다.
영어NIV,4 Finding the disciples there, we stayed with them seven days. Through the Spirit they urged Paul not to go on to Jerusalem.
영어NASB,4 And after looking up the disciples, we stayed there seven days; and they kept telling Paul through the Spirit not to set foot in Jerusalem.
영어MSG,4  we looked up the local disciples and stayed with them seven days. Their message to Paul, from insight given by the Spirit, was "Don't go to Jerusalem."
영어NRSV,4 We looked up the disciples and stayed there for seven days. Through the Spirit they told Paul not to go on to Jerusalem.
헬라어신약Stephanos,4 και ανευροντες τους μαθητας επεμειναμεν αυτου ημερας επτα οιτινες τω παυλω ελεγον δια του πνευματος μη αναβαινειν εις ιερουσαλημ
라틴어Vulgate,4 inventis autem discipulis mansimus ibi diebus septem qui Paulo dicebant per Spiritum ne ascenderet Hierosolymam
히브리어Modern,4 ונמצא את התלמידים ונשב שם שבעת ימים והם אמרו אל פולוס על פי הרוח לבלתי עלות ירושלים׃

 

성 경: [21:4]

주제1: [예루살렘으로 향하는 바울]

주제2: [두로 사역]

󰃨 제자들을 찾아 - 이 진술은 두로에도 기독교 신자들이 있었음을 말해주는데 언제, 어떤 경로로 이곳에 복음이 전파되었고 신앙 공동체가 형성되었는지 정확히 알 수는 없다. 그러나 학자들은 11:19에 의거하여 스데반의 순교 후 각지로 흩어진 교인들에 의해 복음이 전파되었을 것이라고 본다(Bruce, Lenski). 또한 이들 중에는 바울과 실라의 2차 전도 여행시 전한 말씀을 통해 복음을 받아들인 자들도 포함될 것이다. 한편 본문의 '찾아'(*, 아뉴론테스)'수색하여 발견하다'는 뜻을 내포하는데, 이는 두로에 있던 교인들과 바울의 만남이 사전에 약속된 것이 아니라 수소문의 결과로 인한 것이었으며 그곳에 있던 교인들의 수도 그리 많지 않았음을 간접적으로 암시한다(5절 주석 참조).

󰃨 이레를 머물더니 - 바울 일행이 두로에 머문 것은 일주일 간이었다. 바울이 오순절 전에 예루살렘에 도착하려고 서두른 것에 비하면(20:16) 상당히 여유있는 행동으로 보이는데, 이는 바다라에서 출발한 배가 해안선을 따라 항해하는 배가 아니라 지중해를 가로질러 가는 배였기 때문에 시간적으로 많이 단축(短縮)되었다는 점을 감안할 때, 두로에 일주일간 머물러 있게 되었다 하더라도 그의 일정에는 별로 차질이 없었을 것이다. 이는 그가 다른 배편을 찾지 않고 그냥 머물러 있었던 데서도 드러난다. 한편 바울 일행이 일주일간 머물러야 했던 이유에 대해서는 견해가 갈리는데, 헨헨(Haenchen)에 의하면 바울 일행이 타고온 배는 두로가 종착지였기 때문에 그들이 가고자 하는 방향의 배를 기다려야 했다고 보며, 이에 반해 벤트(Bent)나 람세이(Ramsay)에 의하면 바울 일행이 다른 배를 기다린 것이 아니라 그 배의 짐을 풀고 다시 싣는데 이레가 걸렸기 때문에 기다릴 수밖에 없었던 것이라고 한다. 3절의 문맥상 배를 갈아탄다고 생각하기 보다는 짐을 내리고 싣는 동안 기다려야 했던 것으로 보는 것이 더 타당한 듯하다.

󰃨 성령의 감동으로 - 바울은 예루살렘으로 가고자 하였고(19:21), 그의 의도와 행동은 성령의 인도를 받은 것이었다(20:22-24). 그런데 여기서는 두로의 성도들이 성령의 감동을 받아 바울더러 예루살렘에 들어가지 말라고 한다. 이것은 일견 성령의 역사가 모순된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본문의 의미를 제대로 해석하면 그러한 오해는 해소될 수 있다. 즉 본문에서 성령의 감동을 받아 생겨난 결과는 바울이 예루살렘에 가면 고난을 받게 되리라는 내용이지 바울로 하여금 예루살렘행을 중단토록 만류하라는 것은 아니었던 것이다. 바울의 예루살렘행을 만류한 것은 바울을 존경하고 사랑하는 성도들로서는 당연히 취할 수 있는 행동이었고 베드로가 예수의 수난 길을 만류(挽留)했던 일과도 일맥 상통한다(16:22). 오히려 성령께서는 바울의 예루살렘행이 고난의 길임을 재차 확인시켜준 것이며 바울은 그것에 대해 조금의 동요도 없이 성령의 지시하심을(20:22) 충실히 따를 뿐이었다.



 

호테 데 에게네토 헤마스 엨사르티사이 타스 헤메라스 엨셀돈테스 에포류오메다 프로펨폰톤 헤마스 판톤 쉰 귀나잌시 카이 테크노이스 헤오스 엨소 테스 폴레오스 카이 덴테스 타 고나타 에피 톤 아이기알론 프로슠사메노이

 

개역개정,5 이 여러 날을 지낸 후 우리가 떠나갈새 그들이 다 그 처자와 함께 성문 밖까지 전송하거늘 우리가 바닷가에서 무릎을 꿇어 기도하고 
새번역,5 그러나 머물 날이 다 찼을 때에, 우리는 그 곳을 떠나 여행 길에 올랐다. 모든 제자가 그들의 아내와 아이들과 함께, 우리를 성 밖에까지 배웅하였다. 바닷가에서 우리는 무릎을 꿇고 기도를 하고,
우리말성경,5 그러나 날이 다 지나자 우리는 두로를 떠나 항해 길에 올랐습니다. 모든 제자들과 그 아내들과 자녀들이 도시 밖까지 따라 나와 우리를 전송해 주었습니다. 우리는 그곳 바닷가에서 무릎을 꿇고 기도했습니다. 
가톨릭성경,5 그러나 기일이 다 차자 우리는 그곳을 떠나 여행길에 올랐다. 그들은 모두 부인들과 아이들과 함께 우리를 도시 밖까지 배웅하였다. 이윽고 바닷가에서 우리는 무릎을 꿇고 기도한 다음,
영어NIV,5 But when our time was up, we left and continued on our way. All the disciples and their wives and children accompanied us out of the city, and there on the beach we knelt to pray.
영어NASB,5 And when it came about that our days there were ended, we departed and started on our journey, while they all, with wives and children, escorted us until we were out of the city. And after kneeling down on the beach and praying, we said farewell to one another.
영어MSG,5  When our time was up, they escorted us out of the city to the docks. Everyone came along--men, women, children. They made a farewell party of the occasion! We all kneeled together on the beach and prayed.
영어NRSV,5 When our days there were ended, we left and proceeded on our journey; and all of them, with wives and children, escorted us outside the city. There we knelt down on the beach and prayed
헬라어신약Stephanos,5 οτε δε εγενετο ημας εξαρτισαι τας ημερας εξελθοντες επορευομεθα προπεμποντων ημας παντων συν γυναιξιν και τεκνοις εως εξω της πολεως και θεντες τα γονατα επι τον αιγιαλον προσηυξαμεθα
라틴어Vulgate,5 et explicitis diebus profecti ibamus deducentibus nos omnibus cum uxoribus et filiis usque foras civitatem et positis genibus in litore oravimus
히브리어Modern,5 ויהי אחרי מלאת לנו הימים האלה ונצא ללכת לדרכנו וילוו אתנו כלם עם נשיהם ועם טפם עד מחוץ לעיר ונכרע על ברכינו על חוף הים ונתפלל׃

 

성 경: [21:5]

주제1: [예루살렘으로 향하는 바울]

주제2: [두로 사역]

󰃨 처자와 함께 성문 밖까지 - 바울 일행이 이레를 머물고 떠나가는 장면이 묘사되고 있는데, 밀레도 해변에서 그곳의 성도들과 에베소 교회의 장로들과 이별할 때에 비해서는 덜 애절하지만 매우 인상적인 장면이다. 비록 일주일밖에 안되는 짧은 기간이었지만 하나님과 성령안에서의 그들의 교제는 매우 강한 사랑과 신앙의 유대를 만들어 냈다. 아내들과 아이들까지 모두 동행하여 바울을 전송하는 장면은 특히 인상적인데 이것은 두로의 신앙 공동체가 상당히 소규모였으리라는 추측을 가능하게 하는 구절이다. 또한 이 구절은 사도 시대에 교회와 관련하여 어린이에 대한 언급이 처음 나온 것이라는 점에서도 주목시된다(Vincent). 한편 '성문 밖'은 구체적으로 배가 정박하고 있는 부두를 가리키는 것같다.

󰃨 무릎을 꿇어 기도하고 - 이 모습은 밀레도에서의 이별 장면과 동일하다(20:36). 서서 기도해도 무방할 터인데 사람들의 이목에도 아랑곳 하지 않고 무릎을 꿇은 자세로 기도하는 것은 그들의 진지한 신앙의 자세를 보여준다. 이러한 기도는 그들의 교제가 온전히 하나님 안에서 이루어졌음을 뜻한다. 아마도 그들은 바울이 예루살렘에서의 고난을 성령의 인도하심 따라 잘 견디어 낼 수 있도록 그리고 두로의 성도들이 타락한 이방의 도시에서 신앙의 순결을 잘 지켜 나갈 수 있도록 한 목소리로 간구했을 것이다.

 

 

아페스파사메다 알렐루스 카이 아네베멘 에이스 토 플로이온 에케이노이 데 휘페스트렢산 에이스 타 이디아

 

개역개정,6 서로 작별한 후 우리는 배에 오르고 그들은 집으로 돌아가니라
새번역,6 서로 작별 인사를 나누었다. 그리고 우리는 배에 올랐고, 그들은 제각기 집으로 돌아갔다.
우리말성경,6 서로 작별 인사를 나눈 뒤 우리는 배에 올랐고 그들은 집으로 돌아갔습니다. 
가톨릭성경,6 서로 작별 인사를 하였다. 우리는 배에 올랐고 그들은 집으로 돌아갔다.
영어NIV,6 After saying good-by to each other, we went aboard the ship, and they returned home.
영어NASB,6 Then we went on board the ship, and they returned home again.
영어MSG,6  Then, after another round of saying good-bye, we climbed on board the ship while they drifted back to their homes.
영어NRSV,6 and said farewell to one another. Then we went on board the ship, and they returned home.
헬라어신약Stephanos,6 και ασπασαμενοι αλληλους επεβημεν εις το πλοιον εκεινοι δε υπεστρεψαν εις τα ιδια
라틴어Vulgate,6 et cum valefecissemus invicem ascendimus in navem illi autem redierunt in sua
히브리어Modern,6 ונברך איש את רעהו ונעל אל האניה והמה שבו איש לביתו׃

 

성 경: [21:6]

주제1: [예루살렘으로 향하는 바울]

주제2: [두로 사역]

󰃨 우리는 배에...저희는 집으로 - 누가는 이별의 장면을 세세한 부분까지 상세히 묘사하고 있다. 여기서 '배에'라는 문구의 헬라어 표현에는 정관사 ''(*)가 첨가되어 있어 이 배가 처음 타고 온 배와 다른 것이 아니라 바로 그 배임을 말해준다.



 

헤메이스 데 톤 플룬 디아뉘산테스 아포 튀루 카텐테사멘 에이스 프톨레마이다 카이 아스파사메노이 투스 아델푸스 에메이나멘 헤메란 미안 파르 아우토이스

 

개역개정,7 두로를 떠나 항해를 다 마치고 돌레마이에 이르러 형제들에게 안부를 묻고 그들과 함께 하루를 있다가 
새번역,7 우리는 두로에서 출항하여, 항해를 ㉡끝마치고 돌레마이에 이르렀다. 거기서 우리는 ㉢신도들에게 인사하고, 그들과 함께 하루를 지냈다. / ㉡또는 '계속하여' ㉢그, '형제들'
우리말성경,7 우리는 두로에서부터 여행을 계속하다 돌레마이에 도착해 형제들에게 인사하고 그들과 함께 하루를 지냈습니다. 
가톨릭성경,7 우리는 티로를 떠나 항해를 마치고 프톨레마이스에 다다랐다. 거기에서 형제들에게 인사하고 그들과 함께 하루를 지냈다.
영어NIV,7 We continued our voyage from Tyre and landed at Ptolemais, where we greeted the brothers and stayed with them for a day.
영어NASB,7 And when we had finished the voyage from Tyre, we arrived at Ptolemais; and after greeting the brethren, we stayed with them for a day.
영어MSG,7  A short run from Tyre to Ptolemais completed the voyage. We greeted our Christian friends there and stayed with them a day.
영어NRSV,7 When we had finished the voyage from Tyre, we arrived at Ptolemais; and we greeted the believers and stayed with them for one day.
헬라어신약Stephanos,7 ημεις δε τον πλουν διανυσαντες απο τυρου κατηντησαμεν εις πτολεμαιδα και ασπασαμενοι τους αδελφους εμειναμεν ημεραν μιαν παρ αυτοις
라틴어Vulgate,7 nos vero navigatione explicita a Tyro descendimus Ptolomaida et salutatis fratribus mansimus die una apud illos
히브리어Modern,7 ואנחנו כלינו את דרך הים ונרד מצור אל עכו ונשאל לשלום האחים ונשב אתם יום אחד׃

 

성 경: [21:7]

주제1: [예루살렘으로 향하는 바울]

주제2: [가이사랴 사역]

󰃨 돌레마이 - 이 지역은 두로에서 가이사랴 방향으로 35km 지점에 위치한 소항구로 구약 시대에는 악고(Acco, 1:31)라는 지명으로 불리어졌었다. '돌레마이'라는 이름은 아마 톨레미 2(Ptolemy II, B.C. 285-246)를 기념하기 위하여 붙여진 것으로 보인다(Bruce). 이 도시는 오늘날 아크레(Acre)로 불리어진다.

󰃨 형제들에게 안부를 묻고...하루를 있다가 - 바울 일행은 돌레마이에서 하루를 묵게 되었는데, 그곳에서도 성도들을 방문하여 인사를 나누었다. 4절에서는 '제자들'이라고 표현한데 비하여 여기서는 '형제들'이라고 표현함으로써 그리스도인 공동체의 친근감(親近感)을 더해준다. 이곳 돌레마이에 복음이 전해진 것 역시 두로와 같은 시기였으리라고 본다(Bruce).



 

테 데 에파우리온 엨셀돈테스 엘도멘 에이스 카이사레이안 카이 에이셀돈테스 에이스 톤 오이콘 필맆푸 투 유앙겔리스투 온토스 에크 톤 헾타 에메이나멘 파르 아우토

 

개역개정,8 이튿날 떠나 가이사랴에 이르러 일곱 집사 중 하나인 전도자 빌립의 집에 들어가서 머무르니라 
새번역,8 이튿날 우리는 그 곳을 떠나서, 가이사랴에 이르렀다. 일곱 사람 가운데 한 사람인 전도자 빌립의 집에 들어가서, 그와 함께 머물게 되었다.
우리말성경,8 이튿날 길을 떠난 우리는 가이사랴에 이르러 일곱 사람 가운데 하나인 전도자 빌립의 집에 머물렀습니다. 
가톨릭성경,8 이튿날 그곳을 떠나 카이사리아에 이르러, 일곱 봉사자 가운데 하나로서 복음 선포자인 필리포스의 집에 들어가 그와 함께 머물렀다.
영어NIV,8 Leaving the next day, we reached Caesarea and stayed at the house of Philip the evangelist, one of the Seven.
영어NASB,8 And on the next day we departed and came to Caesarea; and entering the house of Philip the evangelist, who was one of the seven, we stayed with him.
영어MSG,8  In the morning we went on to Caesarea and stayed with Philip the Evangelist, one of "the Seven."
영어NRSV,8 The next day we left and came to Caesarea; and we went into the house of Philip the evangelist, one of the seven, and stayed with him.
헬라어신약Stephanos,8 τη δε επαυριον εξελθοντες οι περι τον παυλον ηλθον εις καισαρειαν και εισελθοντες εις τον οικον φιλιππου του ευαγγελιστου του οντος εκ των επτα εμειναμεν παρ αυτω
라틴어Vulgate,8 alia autem die profecti venimus Caesaream et intrantes in domum Philippi evangelistae qui erat de septem mansimus apud eum
히브리어Modern,8 וממחרת נסענו פולוס ואשר אתו ונבא אל קסרין ונלך אל בית פילפוס המבשר אשר הוא אחד מן השבעה ונשב עמו׃

 

성 경: [21:8]

주제1: [예루살렘으로 향하는 바울]

주제2: [가이사랴 사역]

󰃨 가이사랴 - 이 도시는 돌레마이에서 남쪽으로 50-60km 정도 떨어진 지점에 위치하였는데 로마 치하에서는 유대 지방의 행정 장관이 거주하는 정치적 수도였다. 이 도시는 헤롯에 의해 건설되고 아우구스투스(Augustus)를 높이기 위하여 '가이사랴'로 명명되었다(Robertson). 또한 이곳은 거대한 항구 도시로도 유명한데, 바울은 그의 선교 여행 중 이 도시를 세번째로 방문하는 셈이다. 한번은 예루살렘에서 다소로 여행하는 중에 방문했고(9:30) 두번째는 2차전도 여행 말기에 안디옥에서 돌아오는 길에 방문했으며(18:22) 지금이 그 세번째이다. 한편 여기에는 돌레마이에서 가이사랴까지 이르는 교통편(交通便)에 대한 언급이 없는데, 학자들 간에는 육상과 해상에 대한 견해가 갈리고 있다. 로버트슨(Robertson)같은 학자는 7절의 '수로를 다 행하여'라는 문구를 근거로 하여 해상을 통한 여행은 돌레마이에서 끝났으며 거기서부터 가이사랴까지는 육로로 여행했으리라는 견해를 제시한다. 이에 반해 브루스(Bruce), 렌스키(Lenski), 헨헨(Haenchen) 같은 학자들은 돌레마이에서 가이사랴까지의 거리가 50-60km에 이르므로 결코 걷기에 가깝지 않으며 더구나 가이사랴까지 가자면 갈멜산을 돌아가야 했기 때문에 육로로 갔을 가능성이 없고 해상으로 이동했리라는 주장을 편다. 여러 정황으로 미루어 보건대 후자의 주장이 타당한 듯하다.

󰃨 빌립 - 이 사람에 대해서는 '일곱 집사 중 하나', '전도자'라는 호칭을 붙이고 있다. 그가 일곱 집사 중의 하나임은 6:1-5에 잘 나타나 있으며, 그를 또한 '전도자'라고 부르는 것은 그가 재정을 담당하는 본래의 기능을 넘어 복음을 전하는 역할을 하였음을 말해준다. 그렇지만 그에게 '전도자'라는 호칭을 붙인 것은 그와 '사도 빌립'을 구분하기 위함이라고 보는 견해도 있다(Bruce). 이 빌립이 본서에 등장하기로는 스데반 사후 사마리아에서 가이사랴에 이르기까지 복음을 전하였다는 기록(8:5-40) 이후 여기가 처음이다. 브루스(Bruce)는 이 기간을 20년으로 잡기도 하는데, 하여튼 빌립은 8:40 이후 이곳 가이사랴에 정착하여 살아온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그는 아마 이 곳에 기독교 공동체를 건설하였을 것이다(Haenchen).



 

투토 데 에산 뒤가테레스 테싸레스 파르데노이 프로페튜우사이

 

개역개정,9 그에게 딸 넷이 있으니 처녀로 예언하는 자라 
새번역,9 이 사람에게는 예언을 하는 처녀 딸이 넷 있었다.
우리말성경,9 그에게는 결혼하지 않은 네 명의 딸이 있었는데 그들은 모두 예언하는 사람들이었습니다. 
가톨릭성경,9 그에게는 처녀 딸이 넷 있었는데 그들은 예언 능력을 가지고 있었다.
영어NIV,9 He had four unmarried daughters who prophesied.
영어NASB,9 Now this man had four virgin daughters who were prophetesses.
영어MSG,9  Philip had four virgin daughters who prophesied.
영어NRSV,9 He had four unmarried daughters who had the gift of prophecy.
헬라어신약Stephanos,9 τουτω δε ησαν θυγατερες παρθενοι τεσσαρες προφητευουσαι
라틴어Vulgate,9 huic autem erant filiae quattuor virgines prophetantes
히브리어Modern,9 ולו היו ארבע בנות בתולות מתנבאות׃

 

성 경: [21:9]

주제1: [예루살렘으로 향하는 바울]

주제2: [가이사랴 사역]

󰃨 그에게 딸 넷이...처녀로 예언하는 자 - 빌립은 그 자신이 복음을 전파하는 은총을 입었을 뿐만 아니라 네 딸이 예언하는 은사를 받는 축복까지 누렸다. 여기서 '처녀'는 결혼하지 않은 여자를 가리키는 말로, 당시 교회에서 봉사하는 여자들은 대개 과부들이었던 점에 비추어 볼 때(딤전 5:9-15) 이례적(異例的)이라 하겠다. 아무튼 예언하는 은사는 매우 중요한 것으로서(고전 12:4-27, 주제 강해 '성령의 은사들에 대한 비교 연구' 참조) 이를 방언의 은사보다 높이 평가했다(고전 14:1-33). 따라서 본문은 빌립의 딸들이 여자임에도 불구하고 상당히 중요한 은사를 가지고 초대교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음을 말해준다. 그녀들의 예언 활동이 구체적으로 전해지지 않는다는 것은 유감스러운 일이다. 한편 아시아에 있는 히에폴라리스의 감독이었던 파피아스(Papias)의 말에 의하면, 빌립과 그의 딸들은 몇 년 후에 소아시아의 히에라블리로 이주하여 그곳에서 여생을 보냈다고 하는데 그 딸들 가운데 몇은 상당히 늙도록 생존하여 초기 기독교 시대에 있었던 사건이나 인물들에 관한 자료들을 전달해 주는 역할을 하여 많은 존경을 받았다고 한다(Eusebius).



 

에피메논톤 데 헤메라스 플레이우스 카텔덴 티스 아포 테스 유다이아스 프로페테스 오노마티 하가보스

 

개역개정,10 여러 날 머물러 있더니 아가보라 하는 한 선지자가 유대로부터 내려와 
새번역,10 우리가 여러 날 머물러 있는 동안에, 아가보라는 예언자가 유대에서 내려와,
우리말성경,10 그곳에서 여러 날을 지내는 가운데 아가보라는 예언자가 유대로부터 내려왔습니다. 
가톨릭성경,10 그런데 우리가 여러 날을 머무르는 동안 유다에서 하가보스라는 예언자가 내려왔다.
영어NIV,10 After we had been there a number of days, a prophet named Agabus came down from Judea.
영어NASB,10 And as we were staying there for some days, a certain prophet named Agabus came down from Judea.
영어MSG,10  After several days of visiting, a prophet from Judea by the name of Agabus came down to see us.
영어NRSV,10 While we were staying there for several days, a prophet named Agabus came down from Judea.
헬라어신약Stephanos,10 επιμενοντων δε ημων ημερας πλειους κατηλθεν τις απο της ιουδαιας προφητης ονοματι αγαβος
라틴어Vulgate,10 et cum moraremur per dies aliquot supervenit quidam a Iudaea propheta nomine Agabus
히브리어Modern,10 ויהי בהיותנו שם ימים רבים וירד נביא אחד מיהודה ושמו אגבוס׃

 

성 경: [21:10]

주제1: [예루살렘으로 향하는 바울]

주제2: [가이사랴 사역]

󰃨 여러 날 있더니...선지자 아가보 - 바울은 빌립의 집에서 상당 기간을 머물고 있는데 이는 오순절 안에 예루살렘에 도착하려는 마음에서 여행을 급히 서두른 결과 심신이 피로했으며 오순절까지는 시간의 여유가 있었기 때문에 가이사랴에 머물면서 육신의 휴식과 아울러 예루살렘에서 해야 할 일들을 계획하고 고난에 대한 나름대로의 각오를 새로이 하기 위함이었을 것이다. 여기에 등장하는 선지자 아가보는 과거에 몇몇 선지자들과 함께 예루살렘에서 안디옥으로 내려와 유대에 기근이 들 것을 예언하였었는데 그 예언이 A.D. 46년 글라우디오 때에 성취되었다는 기록이 있다(11:27, 28). 이 사람이 본문에 나오는 아가보와 동일 인물이라는 데에 학자들의 견해가 일치한다(Robertson, Bruce, Lenski).

󰃨 유대로부터 내려와 - 이 표현은 로마제국의 식민지 지배 하에 있는 당시 상황의 관점에서 쓴 것이 아니라 옛날 유다의 관점이서 서술한 것이다. 왜냐하면 로마의 지배 하에 있던 당시에는 가이사랴가 행정 구분상 유대에 속해 있었기 때문에 유대로부터 가이사랴로 내려왔다는 식의 문장은 성립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여기서 '유대로부터'라는 표현의 실제 의미는 '예루살렘으로부터'로 보아야 한다(Haenchen).



 

카이 엘돈 프로스 헤마스 카이 아라스 텐 조넨 투 파울루 데사스 헤아우투 투스 포다스 카이 타스 케이라스 에이펜 타데 레게이 토 프뉴마 토 하기온 톤 안드라 후 에스틴 헤 조네 하우테 후토스 데수신 엔 예루살렘 호이 유다이오이 카이 파라도수신 에이스 케이라스 에드논

 

개역개정,11 우리에게 와서 바울의 띠를 가져다가 자기 수족을 잡아매고 말하기를 성령이 말씀하시되 예루살렘에서 유대인들이 이같이 이 띠 임자를 결박하여 이방인의 손에 넘겨 주리라 하거늘 
새번역,11 우리에게 와서, 바울의 허리띠를 가져다가, 자기 손과 발을 묶고서 말하였다. "유대 사람이 예루살렘에서 이 허리띠 임자를 이와 같이 묶어서 이방 사람의 손에 넘겨 줄 것이라고, 성령이 말씀하십니다."
우리말성경,11 그가 우리에게 와서 바울의 허리띠를 집어 자기 손발에 매더니 이렇게 말했습니다. “예루살렘의 유대 사람들이 이 허리띠 주인을 이렇게 동여매 이방 사람들에게 넘겨줄 것이라고 성령께서 말씀하십니다.” 
가톨릭성경,11 그가 우리에게 와서는 바오로의 허리띠를 가지고 자기 발과 손을 결박하고 나서 말하였다. “성령께서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 예루살렘에서 유다인들이 이 허리띠의 임자를 이렇게 결박하여 다른 민족들에게 넘길 것이다.’ ”
영어NIV,11 Coming over to us, he took Paul's belt, tied his own hands and feet with it and said, "The Holy Spirit says, 'In this way the Jews of Jerusalem will bind the owner of this belt and will hand him over to the Gentiles.'"
영어NASB,11 And coming to us, he took Paul's belt and bound his own feet and hands, and said, "This is what the Holy Spirit says: 'In this way the Jews at Jerusalem will bind the man who owns this belt and deliver him into the hands of the Gentiles.'"
영어MSG,11  He went right up to Paul, took Paul's belt, and, in a dramatic gesture, tied himself up, hands and feet. He said, "This is what the Holy Spirit says: The Jews in Jerusalem are going to tie up the man who owns this belt just like this and hand him over to godless unbelievers."
영어NRSV,11 He came to us and took Paul's belt, bound his own feet and hands with it, and said, "Thus says the Holy Spirit, 'This is the way the Jews in Jerusalem will bind the man who owns this belt and will hand him over to the Gentiles.'"
헬라어신약Stephanos,11 και ελθων προς ημας και αρας την ζωνην του παυλου δησας τε αυτου τας χειρας και τους ποδας ειπεν ταδε λεγει το πνευμα το αγιον τον ανδρα ου εστιν η ζωνη αυτη ουτως δησουσιν εν ιερουσαλημ οι ιουδαιοι και παραδωσουσιν εις χειρας εθνων
라틴어Vulgate,11 is cum venisset ad nos tulit zonam Pauli et alligans sibi pedes et manus dixit haec dicit Spiritus Sanctus virum cuius est zona haec sic alligabunt in Hierusalem Iudaei et tradent in manus gentium
히브리어Modern,11 ויבא אצלנו ויקח את אזור פולוס ויאסר בו את ידיו ואת רגליו ויאמר כה אמר רוח הקדש ככה יאסרו היהודים בירושלים את האיש אשר לו האזור הזה ויסגירהו בידי הגוים׃

 

성 경: [21:11]

주제1: [예루살렘으로 향하는 바울]

주제2: [가이사랴 사역]

󰃨 띠를...수족을 잡아매고 - 여기서 ''는 폭이 약간 넓고 길이가 길어 허리에 여러번 둘러감는 천을 가리키는 것으로, 가죽이나 비단으로 만들고 은실이나 금실로 수놓는 경우도 있었다(삼상 15:27;왕상 11:30). 아가보는 이 띠를 가져다가 자기의 손과 발을 묶는 행위로써 예언적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 말로써가 아니라 행위로써 하나님의 말씀을 선포하는 예언 행위는 구약의 예언자들에게서도 종종 발견되는 현상으로, 자기의 새 옷을 찢어 솔로몬 왕국의 분열을 예언했던 아히야(왕상 11:29, 30), 벗은 몸과 발로 행하여 애굽인들이 앗수르인들에 포로로 끌려갈 것을 예언한 이사야(20:2)와 같은 인물이 그러한 예에 해당한다(13:1-11;27:2;4:1-3 참조). 아가보의 예언의 구체적인 내용은 바울의 결박과 투옥을 가리킨다(30, 33).

󰃨 성령이 말씀하시되 - 바울의 고난을 예언하는 아가보의 예언이 온전히 성령의 감동으로 되어졌음을 말해주는 이 장엄한 표현은, 구약성경의 '여호와께서 이렇게 말씀하신다'는 표현에 상응한다(14:28;왕하 9:26). 바울에게 닥칠 고난은 유대인들에 의해 도발(挑發)되어 이방인에게 넘겨진다는 점에서 예수의 수난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었다(10:33;15:1).



 

호스 데 에쿠사멘 타우타 파레칼루멘 헤메이스 테 카이 호이 엔토피오이 투 메 아나바이네인 아우톤 에이스 예루살렘

 

개역개정,12 우리가 그 말을 듣고 그 곳 사람들과 더불어 바울에게 예루살렘으로 올라가지 말라 권하니 
새번역,12 이 말을 듣고, 그 곳 사람들과 함께 우리는, 바울에게 예루살렘으로 올라가지 말라고 간곡히 만류하였다.
우리말성경,12 우리는 이 말을 듣고 그곳 사람들과 함께 바울에게 예루살렘에 올라가지 마라고 간곡히 권했습니다. 
가톨릭성경,12 이 말씀을 듣고 우리는 그곳 사람들과 함께 바오로에게 예루살렘으로 올라가지 말라고 간곡히 권하였다.
영어NIV,12 When we heard this, we and the people there pleaded with Paul not to go up to Jerusalem.
영어NASB,12 And when we had heard this, we as well as the local residents began begging him not to go up to Jerusalem.
영어MSG,12  When we heard that, we and everyone there that day begged Paul not to be stubborn and persist in going to Jerusalem.
영어NRSV,12 When we heard this, we and the people there urged him not to go up to Jerusalem.
헬라어신약Stephanos,12 ως δε ηκουσαμεν ταυτα παρεκαλουμεν ημεις τε και οι εντοπιοι του μη αναβαινειν αυτον εις ιερουσαλημ
라틴어Vulgate,12 quod cum audissemus rogabamus nos et qui loci illius erant ne ascenderet Hierosolymam
히브리어Modern,12 ויהי כאשר שמענו את זאת ונבקש ממנו אנחנו ואנשי המקום אשר לא יעלה ירושלים׃

 

성 경: [21:12]

주제1: [예루살렘으로 향하는 바울]

주제2: [가이사랴 사역]

󰃨 우리가...예루살렘으로 올라가지 말라 권하니 - 두로에서와는 달리 이곳 가이사랴에서는 현지의 성도들 뿐만 아니라 바울을 수행했던 누가 일행도 합세하여 바울의 예루살렘행을 만류했었다. 그러나 바울의 예루살렘행을 만류하는 것은 결코 성령의 뜻이 아니라 주위의 사람들의 뜻이었다(4절 주석 참조). 여하튼 여기서는 바울의 예루살렘행을 만류하는 정도가 더욱 강화되고 있는데 공동번역에서는 '간곡히 전하였다'로 옮겨 그 분위기를 더욱 생생하게 보여준다. 한편 바울 주변에 있던 성도들이 그의 고난에 대한 예언을 듣고 그 행로를 만류하려 했던 점에 대해 그것이 곧 하나님의 일을 하려는 바울의 사역을 방해(妨害)하기 위함이었다고 해석해서는 안된다. 베드로 또한 예수의 수난에 대해 이와 유사한 행동을 보여준 경우가 있거니와(16:22), 지금의 경우도 바울에 대한 그들의 순수한 애정에서 비롯된 것이라 하겠다.



 

토테 아페크리데 호 파울로스 티 포이에이테 클라이온테스 카이 쉰드륖톤테스 무 텐 카르디안 에고 가르 우 모논 데데나이 알라 카이 아포다네인 에이스 예루살렘 헤토이모스 에코 휘페르 투 오노마토스 투 퀴리우 예수

 

개역개정,13 바울이 대답하되 여러분이 어찌하여 울어 내 마음을 상하게 하느냐 나는 주 예수의 이름을 위하여 결박 당할 뿐 아니라 예루살렘에서 죽을 것도 각오하였노라 하니 
새번역,13 그 때에 바울이 대답하였다. "왜들 이렇게 울면서, 내 마음을 아프게 하십니까? 나는 주 예수의 이름을 위해서, 예루살렘에서 결박을 당할 것뿐만 아니라, 죽을 것까지도 각오하고 있습니다."
우리말성경,13 그러자 바울이 대답했습니다. “왜 여러분은 울면서 내 마음을 아프게 합니까? 나는 주 예수의 이름을 위해 예루살렘에서 붙잡힐 것은 물론 죽을 각오도 돼 있습니다.” 
가톨릭성경,13 그때에 바오로가 대답하였다. “왜 그렇게 울면서 내 마음을 아프게 합니까? 나는 주 예수님의 이름을 위하여 예루살렘에서 결박될 뿐만 아니라 죽을 각오까지 되어 있습니다.”
영어NIV,13 Then Paul answered, "Why are you weeping and breaking my heart? I am ready not only to be bound, but also to die in Jerusalem for the name of the Lord Jesus."
영어NASB,13 Then Paul answered, "What are you doing, weeping and breaking my heart? For I am ready not only to be bound, but even to die at Jerusalem for the name of the Lord Jesus."
영어MSG,13  But Paul wouldn't budge: "Why all this hysteria? Why do you insist on making a scene and making it even harder for me? You're looking at this backwards. The issue in Jerusalem is not what they do to me, whether arrest or murder, but what the Master Jesus does through my obedience. Can't you see that?"
영어NRSV,13 Then Paul answered, "What are you doing, weeping and breaking my heart? For I am ready not only to be bound but even to die in Jerusalem for the name of the Lord Jesus."
헬라어신약Stephanos,13 απεκριθη δε ο παυλος τι ποιειτε κλαιοντες και συνθρυπτοντες μου την καρδιαν εγω γαρ ου μονον δεθηναι αλλα και αποθανειν εις ιερουσαλημ ετοιμως εχω υπερ του ονοματος του κυριου ιησου
라틴어Vulgate,13 tunc respondit Paulus et dixit quid facitis flentes et adfligentes cor meum ego enim non solum alligari sed et mori in Hierusalem paratus sum propter nomen Domini Iesu
히브리어Modern,13 ויען פולוס ויאמר מה לכם אשר תבכו ותשברו לבבי כי נכון אנכי לא לבד להאסר כי גם למות בירושלים על שם ישוע האדון׃

 

성 경: [21:13]

주제1: [예루살렘으로 향하는 바울]

주제2: [가이사랴 사역]

󰃨 상하게 하느냐 - 헬라어 '쉰드뤼프톤테스'(*)'두들겨 깨뜨린다'의 뜻을 갖는데, 이는 주위 사람들의 애정에 가득찬 눈물의 만류가 마치 바울의 마음을 부수어버릴 정도로 간곡했음을 나타낸다. 이 표현 속에는 성령의 일을 거역하게 하는 것에 대한 책망보다는 그들의 충정어린 애정을 마음 깊이 이해하고 있는 모습이 엿보인다.

󰃨 결박받을 뿐 아니라...죽을 것도 각오하였노라 - 성도들의 애정어린 만류를 충분히 이해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바울은 자신의 결의를 더욱 강하게 천명하고 있다. 바울은 예수께서 죽임을 당했던 바로 그 도시 예루살렘에서 결박을 받는 것은 물론이고 죽임을 당하는 것도 피하지 않겠다고 한다. 바울이 이처럼 죽음을 불사하면서까지 예루살렘에 가려고 했던 이유는 다음 두 가지로 추측된다. 바울은 이방 교회의 성금을 예루살렘 교회에 전달해 주어야 한다는 강한 의무감에 사로잡혀 있었다(Bruce). 그는 이방 교회의 성금을 예루살렘 성도들에게 전해주는 것이 교회의 단합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판단하였음에 분명하다(15:25-32). 예루살렘에는 유대계 신자들과 이방 신자들 사이에 소원(疏遠)한 관계가 여전히 지속되고 있었기 때문에 바울은 그들의 원만한 연합을 도모하고자 했다. 이러한 연합의 당위성은 그리스도의 죽으심으로 유대인이나 헬라인이 나를 막론하고 모두 한 하나님의 언약 백성이 되었다는 말씀에서 나오는 것이며(3:28), 이 진리를 바르게 깨달은 바울은 바로 이 연합을 위해 죽음까지도 무릅쓰려고 한 것이다.



 

메 페이도메누 데 아우투 헤쉬카사멘 에이폰테스 투 퀴리우 토 델레마 기네스도

 

개역개정,14 그가 권함을 받지 아니하므로 우리가 주의 뜻대로 이루어지이다 하고 그쳤노라
새번역,14 바울이 우리의 만류를 받아들이지 않으므로, 우리는 "주님의 뜻이 이루어지기를 빕니다" 하고는 더 말하지 않았다.
우리말성경,14 바울이 설득당하지 않자 우리는 “주의 뜻이 이뤄지길 기원합니다” 하고는 더 말하지 않았습니다. 
가톨릭성경,14 바오로가 단념하지 않자 우리는 포기하고, “주님의 뜻이 이루어지기를 빕니다.” 하고만 말하였다.
영어NIV,14 When he would not be dissuaded, we gave up and said, "The Lord's will be done."
영어NASB,14 And since he would not be persuaded, we fell silent, remarking, "The will of the Lord be done!"
영어MSG,14  We saw that we weren't making even a dent in his resolve, and gave up. "It's in God's hands now," we said. "Master, you handle it."
영어NRSV,14 Since he would not be persuaded, we remained silent except to say, "The Lord's will be done."
헬라어신약Stephanos,14 μη πειθομενου δε αυτου ησυχασαμεν ειποντες το θελημα του κυριου γενεσθω
라틴어Vulgate,14 et cum ei suadere non possemus quievimus dicentes Domini voluntas fiat
히브리어Modern,14 ולא אבה שמע ונרף ממנו לאמר רצון יהוה יעשה׃

 

성 경: [21:14]

주제1: [예루살렘으로 향하는 바울]

주제2: [가이사랴 사역]

󰃨 저가 권함을 받지 아니하므로 - 헬라어 구문 '메 페이도메누 아우투'(*)'설득하다'는 의미를 갖는 '페이도'(*)의 현재 수동태 분사의 문장으로 직역하면 '저가 설득되지 아니하므로'(when he would not be persuaded, KJV)가 된다. 아마 그들은 바울의 신변의 안전을 이유로, 그리고 다른 곳에서도 수행해야 할 하나님의 일이 많다는 식의 그럴듯한 명분(名分)으로 바울을 설득하여 그의 예루살렘행을 포기시키려 하였을 것이다. 그러나 바울은 다른 때가 아니라 '지금', 다른 곳이 아니라 '예루살렘'에서 하나님의 뜻을 이루어 드려야 한다는 것을 분명히 인식하고 있었기 때문에 그러한 설득을 뿌리칠 수 있었다.

󰃨 주의 뜻대로 이루어지이다 - 바울을 설득하려던 사람들은 그의 의지를 꺾는다는 것이 불가능함을 깨닫고 그에게 닥쳐올 불행을 넘어 주의 뜻이 이루어지기를 기도하고 있다. 본문은 바울을 설득하려던 사람들이 바울에 대한 잘못된 충정으로부터 벗어나 온전한 신앙의 자세로 되돌아와 있음을 보여주는데, 허비(Hervey) 같은 학자는 이 문구가 주기도문의 "뜻이 하늘에서 이룬 것 같이 땅에서도 이루어지이다"를 응용한 것으로 보며, 브루스(Bruce)의 경우는 본문이, 겟세마네 동산에서의 주님의 기도 "그러나 내 원대로 마옵시고 아버지의 원대로 되기를 원하나이다"(22:42)를 상기시켜 준다고 보기도 한다.



 

메타 데 타스 헤메라스 타우타스 에피스큐아사메노이 아네바이노멘 에이스 히에로솔뤼마

 

개역개정,15 이 여러 날 후에 여장을 꾸려 예루살렘으로 올라갈새 
새번역,15 이렇게 거기서 며칠을 지낸 뒤에, 우리는 행장을 꾸려서 예루살렘으로 올라갔다.
우리말성경,15 이 일 뒤에 우리는 준비해 예루살렘으로 올라갔습니다. 
가톨릭성경,15 그렇게 며칠을 보낸 뒤 우리는 여행 준비를 하고 예루살렘으로 올라갔다.
영어NIV,15 After this, we got ready and went up to Jerusalem.
영어NASB,15 And after these days we got ready and started on our way up to Jerusalem.
영어MSG,15  It wasn't long before we had our luggage together and were on our way to Jerusalem.
영어NRSV,15 After these days we got ready and started to go up to Jerusalem.
헬라어신약Stephanos,15 μετα δε τας ημερας ταυτας αποσκευασαμενοι ανεβαινομεν εις ιερουσαλημ
라틴어Vulgate,15 post dies autem istos praeparati ascendebamus Hierusalem
히브리어Modern,15 ואחרי הימים האלה נשאנו את כלינו ונעל ירושלים׃

 

성 경: [21:15]

주제1: [예루살렘으로 향하는 바울]

주제2: [가이사랴 사역]

󰃨 행장을 준비하여...올라갈새 - 드디어 바울의 최종 목적지인 예루살렘으로의 여행이 시작되고 있다. 본문에 해당하는 헬라어 '에피스큐아사메이노'(*)는 신약에서 본절에만 나오는 희귀한 단어로 '짐을 꾸리다'(Robertson), '예루살렘 교회에 전달할 성금을 챙기다'(Bengel), '말의 안장을 꾸리다'(Ramsay) 등으로 해석된다. 이 해석들은 서로 모순되지 않으며 상호 보충적으로 취해질 수 있다. 가이사랴에서 예루살렘까지는 100km이고 그 길을 도보로 가기에는 너무 피곤하다는 것, 그렇게 지친 상태로는 예루살렘에서 일을 할 수 없다는 것을 바울은 물론이고 특히 의사인 누가가 잘 알고 있었을 것이기 때문에 적어도 교통 수단은 말을 이용하였을 것이다(Ramsay).

 

 

쉬넬돈 데 카이 톤 마데톤 아포 카이사레이아스 쉰 헤민 아곤테스 파르 호 크세니스도멘 므나소니 티니 퀴프리오 아르카이오 마데테

 

개역개정,16 가이사랴의 몇 제자가 함께 가며 한 오랜 제자 구브로 사람 나손을 데리고 가니 이는 우리가 그의 집에 머물려 함이라
새번역,16 가이사랴에 있는 제자 몇 사람도 우리와 함께 갔다. 그들은 우리가 묵어야 할 집으로 우리를 안내하여, 나손이라는 사람에게 데려다 주었다. 그는 키프로스 사람으로 오래 전에 제자가 된 사람이었다.
우리말성경,16 가이사랴의 몇몇 제자들이 동행해 우리를 나손의 집으로 데려다 주어 우리는 그 집에 머무르게 됐습니다. 나손은 키프로스 출신으로 일찍부터 제자가 된 사람이었습니다. 
가톨릭성경,16 카이사리아의 제자 몇 사람도 우리와 함께 갔는데, 그들이 우리를 므나손의 집으로 데려가 그곳에 머무르게 하였다. 그는 키프로스인으로서 오래전에 제자가 된 사람이었다.
영어NIV,16 Some of the disciples from Caesarea accompanied us and brought us to the home of Mnason, where we were to stay. He was a man from Cyprus and one of the early disciples.
영어NASB,16 And some of the disciples from Caesarea also came with us, taking us to Mnason of Cyprus, a disciple of long standing with whom we were to lodge.
영어MSG,16  Some of the disciples from Caesarea went with us and took us to the home of Mnason, who received us warmly as his guests. A native of Cyprus, he had been among the earliest disciples.
영어NRSV,16 Some of the disciples from Caesarea also came along and brought us to the house of Mnason of Cyprus, an early disciple, with whom we were to stay.
헬라어신약Stephanos,16 συνηλθον δε και των μαθητων απο καισαρειας συν ημιν αγοντες παρ ω ξενισθωμεν μνασωνι τινι κυπριω αρχαιω μαθητη
라틴어Vulgate,16 venerunt autem et ex discipulis a Caesarea nobiscum adducentes apud quem hospitaremur Mnasonem quendam Cyprium antiquum discipulum
히브리어Modern,16 וילכו אתנו גם תלמידים מקסרין ויביאו אתנו ללון בבית איש כתי ושמו מנסון והוא תלמיד ישן׃

 

성 경: [21:16]

주제1: [예루살렘으로 향하는 바울]

주제2: [가이사랴 사역]

󰃨 오랜 제자 구브로 사람 나손을 데리고 가니 - '오랜 제자'라는 표현은 나손이 기독교의 초기 공동체 즉 오순절의 120명의 제자 가운데(1:15) 한 사람이었을 것이라는 추측을 가능하게 한다(Robertson, Haenchen, Bruce). 이럴 경우 바울은 그와 사전에 친분(親分)이 있었다고 보기 어려우며 가이사랴의 신도들이 소개하였으리라고 짐작된다. 한편 본절에서 '나손을 데리고 가니'에 대해서는 논의의 여지가 있다. 왜냐하면 이 문구는 '나손의 집에 우리를 데려다 주었다'로 번역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공동번역, Bengel, Bruce, Meyer). 전자의 개역 성경 같은 번역을 주장하는 학자는 칼빈(Calvin), 베자(Beza), 빈센트(Vincent), 로버트슨(Robertson) 등으로 이 중 로버트슨은 가이사랴에서 예루살렘으로 가는 도중에 나손의 집에서 묵어가기 위하여 그를 데리고 갔다고 본다. 이럴 경우 나손의 집은 예루살렘이 아니라 가이사랴와 예루살렘 사이의 어느 지점에 있었다는 결론에 이른다. 그러나 중간에 묵어가기 위해 사람을 일부러 데리고 간다는 것은 설득력이 약하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중간에 쉬어가야 할 경우 여인숙 같은 곳에서 묵어가면 되지 구태여 사람을 데려갈 필요는 없다고 여겨지기 때문이다. 이에 비해 후자의 견해는 나손의 집이 예루살렘에 있었고, 이방 기독교인들을 기꺼이 영접해 줄 것같지 않은 상황에서 거처(居處)를 제공해 줄 사람으로 나손을 생각했을 것이라고 한다(Bruce). 후자의 견해가 폭넓은 지지를 받고 있다.



 

게노메논 데 헤몬 에이스 히에로솔뤼마 아스메노스 아페뎈산토 헤마스 호이 아델포이

 

개역개정,17 예루살렘에 이르니 형제들이 우리를 기꺼이 영접하거늘 
새번역,17 우리가 예루살렘에 이르니, 형제들이 우리를 반가이 맞아 주었다.
우리말성경,17 우리가 예루살렘에 도착하자 형제들이 따뜻하게 맞아 주었습니다. 
가톨릭성경,17 우리가 예루살렘에 다다르자 형제들이 반가이 맞아 주었다.
영어NIV,17 When we arrived at Jerusalem, the brothers received us warmly.
영어NASB,17 And when we had come to Jerusalem, the brethren received us gladly.
영어MSG,17  In Jerusalem, our friends, glad to see us, received us with open arms.
영어NRSV,17 When we arrived in Jerusalem, the brothers welcomed us warmly.
헬라어신약Stephanos,17 γενομενων δε ημων εις ιεροσολυμα ασμενως εδεξαντο ημας οι αδελφοι
라틴어Vulgate,17 et cum venissemus Hierosolymam libenter exceperunt nos fratres
히브리어Modern,17 ויהי כבאנו ירושלים ויקבלו אתנו האחים בשמחה׃

 

성 경: [21:17]

주제1: [예루살렘으로 향하는 바울]

주제2: [예루살렘에 도착한 바울]

󰃨 형제들이...기꺼이 영접하거늘 - 가이사랴에서 함께 한 성도들을 포함한 바울 일행이 예루살렘에 도착하자 그들을 기꺼이 환영한 사람들이 있었다. 그런데 본문의 '형제들'이 구체적으로 누구를 가리키는지는 정확하지 않다. 그러나 '형제들'을 예루살렘의 기독교 공동체와 관련시켜서 바울이 예루살렘 공동체 전체로부터 환영을 받았다는 견해는(Overbeck) 타당하지 않다고 생각된다. 왜냐하면 18, 22절에 의하면 실제적으로 예루살렘 교회는 아직까지 바울이 예루살렘에 들어온 것을 알고 있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여러가지 견해가 있다. 1)예루살렘 교회의 비공식적인 접대였다(Lake). 2)바울의 동료들과 친구들로 이루어진 사적인 모임을 말하고 있다(Jacquire). 3)예루살렘 공동체 전체가 아니라 일부분의 성도들이 베푼 환대였다(Beyer). 4)이들은 헬라적 기독교인들이었다(Knopf). 2)3)의 견해가 비교적 무난하다.



 

테 데 에피우세 에이세에이 호 파울로스 쉰 헤민 프로스 야코본 판테스 테 파레게논토 호이 프레스뷔테로이

 

개역개정,18 그 이튿날 바울이 우리와 함께 야고보에게로 들어가니 장로들도 다 있더라 
새번역,18 이튿날 바울은 우리와 함께 야고보를 찾아갔는데, 장로들이 다 거기에 있었다.
우리말성경,18 이튿날 바울은 우리와 함께 야고보를 만나러 갔습니다. 모든 장로들도 거기 와 있었습니다. 
가톨릭성경,18 이튿날 바오로는 우리와 함께 야고보를 찾아갔는데 원로들도 모두 와 있었다.
영어NIV,18 The next day Paul and the rest of us went to see James, and all the elders were present.
영어NASB,18 And now the following day Paul went in with us to James, and all the elders were present.
영어MSG,18  The first thing next morning, we took Paul to see James. All the church leaders were there.
영어NRSV,18 The next day Paul went with us to visit James; and all the elders were present.
헬라어신약Stephanos,18 τη δε επιουση εισηει ο παυλος συν ημιν προς ιακωβον παντες τε παρεγενοντο οι πρεσβυτεροι
라틴어Vulgate,18 sequenti autem die introibat Paulus nobiscum ad Iacobum omnesque collecti sunt seniores
히브리어Modern,18 וממחרת היום נכנס פולוס עמנו אל יעקב ויבאו שמה כל הזקנים׃

 

성 경: [21:18]

주제1: [예루살렘으로 향하는 바울]

주제2: [예루살렘에 도착한 바울]

󰃨 바울이 우리와 함께 - 여기서는 '우리'와 바울이 구분되어 표현된다. 이는 아마 바울의 행동에 초점을 맞추기 위함인 듯하다.

󰃨 야고보에게로 들어가니 - 예루살렘에 도착한 바울은 먼저 예루살렘 교회의 최고 지도자하고 할 수 있는 야고보를 방문하였다(12:17). 그런데 여기에 베드로나 요한, 그밖의 다른 사도들에 대한 언급이 없는데 이는 그들이 전도나 다른 일을 위해서 출타 중이었기 때문이라고 본다(Bruce, Lenski, Zahn). 야고보는 예루살렘 공동체의 수장(首長)으로서 교회 공동체를 지혜롭게 잘 지도했을 뿐 아니라 예루살렘의 일반 유대인들로부터도 큰 존경을 받았다고 한다(Bruce). 유세비우스에 의하면 일반 유대인들은 그에게 '의인 야고보'라는 칭호를 붙여 주었다고 한다.

󰃨 장로들 - 이 표현에 대해서도 학자들 간에 해석이 다양하다. 1)문자 그대로 예루살렘 교회의 모든 장로들이 다 모인 것이라고 본다(Lenski). 예루살렘 교회의 장로단에 대해, 브루스(Bruce)는 야고보가 그의 행정적 책임을 수행함에 있어서 일단의 동료 장로들과 함께 일했는데, 20절에서 나타나는 바 교인의 수가 수만 명(공동 번역에서는 '대단히 많습니다'로 표현되어 있다)이라는 것을 감안할 때, 예루살렘에는 야고보를 의장으로 하고 70인의 장로로 구성된 일종의 나사렛 산헤드린(Nazarene Sanhedrin)이 있었을 것이라고 한다. 2)야고보는 수석 장로이며 다른 장로들은 바울을 환영하는 자리에 초청된 야고보의 손님들이라고 본다(Robertson). 3)야고보를 제외한 사람들은 단지 입회인에 불과하다고 본다(Beg, Zahn). 자료들이 불충분하여 정확한 설명을 제시하는 것은 어려우며 단지 잠정적인 판단을 할 수 있을 뿐인데, 아직 바울이 예루살렘에 온 것을 모르는 교인들이 상당히 있었다는 점을(22) 감안할 때 1)의 견해보다는 2)3)의 견해가 타당하다고 할 수 있다.

 

 

카이 아스파사메노스 아우투스 엨세게이토 칻 헨 헤카스톤 혼 에포이에센 호 데오스 엔 토이스 에드네신 디아 테스 디아코니아스 아우투

 

개역개정,19 바울이 문안하고 하나님이 자기의 사역으로 말미암아 이방 가운데서 하신 일을 낱낱이 말하니 
새번역,19 바울은 그들에게 인사한 뒤에, 자기의 봉사 활동을 통하여 하나님께서 이방 사람 가운데서 행하신 일을 낱낱이 이야기하였다.
우리말성경,19 바울은 그들에게 문안하고 하나님께서 그의 사역을 통해 이방 사람들 가운데서 행하신 일들을 자세히 보고했습니다. 
가톨릭성경,19 바오로는 그들에게 인사하고 나서, 자기의 직무 수행을 통하여 하느님께서 다른 민족들에게 하신 일들을 낱낱이 이야기하였다.
영어NIV,19 Paul greeted them and reported in detail what God had done among the Gentiles through his ministry.
영어NASB,19 And after he had greeted them, he began to relate one by one the things which God had done among the Gentiles through his ministry.
영어MSG,19  After a time of greeting and small talk, Paul told the story, detail by detail, of what God had done among the Gentiles through his ministry.
영어NRSV,19 After greeting them, he related one by one the things that God had done among the Gentiles through his ministry.
헬라어신약Stephanos,19 και ασπασαμενος αυτους εξηγειτο καθ εν εκαστον ων εποιησεν ο θεος εν τοις εθνεσιν δια της διακονιας αυτου
라틴어Vulgate,19 quos cum salutasset narrabat per singula quae fecisset Deus in gentibus per ministerium ipsius
히브리어Modern,19 וישאלם לשלום ויספר אחת לאחת את אשר עשה האלהים לגוים בשרותו׃

 

성 경: [21:19]

주제1: [예루살렘으로 향하는 바울]

주제2: [예루살렘에 도착한 바울]

󰃨 봉사로 말미암아...고하니 - '봉사'(*, 디아코니아)'', '일꾼'을 뜻하는 '디아코노스'(*)에서 파생된 말로 '사명'(20:24), 또는 '직분'(11:13) 등으로 번역되기도 한다. 이것은 바울이 복음을 전하는 사도로서 뿐만 아니라 교회와 사람들에 대한 봉사자로서의 역할도 수행하였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그의 역할 가운데는 예루살렘 교회에 대한 헌금 전달도 포함되었을 것인데, 본문에서 그 사항에 관해 언급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서는 몇 가지 견해가 있다. 성금 전달은 누구나 다 아는 당연한 내용이었기 때문에 그것을 따로 언급할 만한 필요를 느끼지 못했다(Bauernfeind). 성금을 전달한 것에 대한 효과가 생각한 것보다 미미했기 때문이라고 본다. 이에 대한 근거로는, 예루살렘의 교인들이 후에 바울을 위하여 유대인들에게나 로마 당국에 대해 한마디의 변호도 하지 않았다는 것과 바울이 가이사랴에서 오랫동안 투옥되었을 때 그에게 동정을 표시한 기록이 없다는 것을 제시한다(Furneaux). 전자의 견해가 더 타당하다고 본다. 한편 바울은 자기가 이방 가운데서 사역한 일들을 세세히 증언하고 있는데, 그는 그 모든 일들의 주체(主體)가 하나님이라고 고백함으로써 겸손한 신앙의 자세를 나타낸다.



 

호이 데 아쿠산테스 에돜사존 톤 데온 에이폰 테 아우토 데오레이스 아델페 포사이 뮈리아데스 에이신 엔 토이스 유다이오이스 톤 페피스튜코톤 카이 판테스 젤로타이 투 노무 휘파르쿠신

 

개역개정,20 그들이 듣고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고 바울더러 이르되 형제여 그대도 보는 바에 유대인 중에 믿는 자 수만 명이 있으니 다 율법에 열성을 가진 자라 
새번역,20 그들은 이 말을 듣고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고, 바울에게 말하였다. "형제여, 당신이 보는 대로, 유대 사람 가운데는 믿는 사람이 수만 명이나 되는데, 그들은 모두 율법에 열성적인 사람들입니다.
우리말성경,20 그들은 이 말을 듣고 하나님을 찬양했습니다. 그러고는 바울에게 말했습니다. “형제여, 알다시피 수만 명의 유대 사람들이 믿게 됐는데 그들은 모두 율법 지키는 일에 열심을 가진 사람들입니다. 
가톨릭성경,20 이야기를 들은 그들은 하느님을 찬양하고 나서 그에게 말하였다. “바오로 형제, 보시다시피 유다인들 가운데에서 신자가 된 이들이 수만 명이나 되는데, 그들은 모두 율법을 열성으로 지키는 사람들입니다.
영어NIV,20 When they heard this, they praised God. Then they said to Paul: "You see, brother, how many thousands of Jews have believed, and all of them are zealous for the law.
영어NASB,20 And when they heard it they began glorifying God; and they said to him, "You see, brother, how many thousands there are among the Jews of those who have believed, and they are all zealous for the Law;
영어MSG,20  They listened with delight and gave God the glory. They had a story to tell, too: "And just look at what's been happening here--thousands upon thousands of God-fearing Jews have become believers in Jesus! But there's also a problem because they are more zealous than ever in observing the laws of Moses.
영어NRSV,20 When they heard it, they praised God. Then they said to him, "You see, brother, how many thousands of believers there are among the Jews, and they are all zealous for the law.
헬라어신약Stephanos,20 οι δε ακουσαντες εδοξαζον τον κυριον ειπον τε αυτω θεωρεις αδελφε ποσαι μυριαδες εισιν ιουδαιων των πεπιστευκοτων και παντες ζηλωται του νομου υπαρχουσιν
라틴어Vulgate,20 at illi cum audissent magnificabant Deum dixeruntque ei vides frater quot milia sint in Iudaeis qui crediderunt et omnes aemulatores sunt legis
히브리어Modern,20 וישמעו ויהללו את האלהים ויאמרו אליו הנך ראה אחינו כמה רבבות יהודים באו להאמין וכלם מקנאים לתורה׃

 

성 경: [21:20]

주제1: [예루살렘으로 향하는 바울]

주제2: [예루살렘에 도착한 바울]

󰃨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고 - 이 문구는 야고보 및 장로들이 바울의 증언을 매우 호의적으로 들었음을 보여준다. 바울이 자기의 봉사 배후에는 하나님이 주체로 있었다고 증언했으므로(19) 이들이 이야기를 경청한 후 바울에게가 아니라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 유대인 중에 믿는 자 수만 명...율법에 열심 있는 자라 - 누가는 야고보의 무리들이 바울의 이야기를 듣고 기쁨에 넘쳐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바울에 대해 의구심을 가지고 바라보는 눈길들이 많음을 주지시키고 있다(22). 그런데 '수만 명'이라는 표현은 '얼마나 많은'의 뜻을 가진 '포사이'(*)'일만', 또는 '허다한 것', '무수한 것'을 뜻하는 '뮈리아데스'(*)가 합하여진 것으로 학자들 간에는 이 표현을 문자적으로 취하여 이해하기도 하고(Lenski), 불특정한 다수를 과장적으로 서술하는 표현 양식이라고 이해하는 입장도 있다(Haenchen, Robertson). 아무튼 야고보의 이야기는 교인들의 수가 많다는 것 자체가 아니라 그들이 율법을 지키는 일에 관심있는 자들이라는 사실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즉 이들은 소위 유대적 그리스도인으로 그리스도의 복음을 받아들일 뿐만 아니라 그들이 전통적으로 지켜왔던 모세의 율법을 비롯한 각종 규례들을 소중히 여겨 지킨다는 것이다. 이들은 바울이 깨달은 바, 복음으로 그리스도인이 된 사람은 율법을 폐기하지는 않는다 하더라도 율법의 매임으로부터 자유하다는 것을 이해하지 못하였고 따라서 다음 절에 구체적으로 제시되는 것처럼 율법에 매이지 않는 바울의 행위를 용납하지 못했다.

 

 

카테케데산 데 페리 수 호티 아포스타시안 디다스케이스 아포 모위세오스 투스 카타 타 에드네 판타스 유다이우스 레곤 메 페리템네인 아우투스 타 테크나 메데 토이스 에데신 페리파테인

 

개역개정,21 네가 이방에 있는 모든 유대인을 가르치되 모세를 배반하고 아들들에게 할례를 행하지 말고 또 관습을 지키지 말라 한다 함을 그들이 들었도다 
새번역,21 그런데 그들이 당신을 두고 하는 말을 소문으로 듣기로는, 당신이 이방 사람 가운데서 사는 모든 유대 사람에게 할례도 주지 말고 유대 사람의 풍속도 지키지 말라고 하면서, 모세를 배척하라고 가르친다는 것입니다.
우리말성경,21 그들은 당신이 이방 사람들 가운데 살고 있는 모든 유대 사람들을 가르쳐 모세를 저버리고 자녀들에게 할례하거나 유대 관습대로 살지 말라고 하는 줄 아는데 
가톨릭성경,21 그런데 당신이 다른 민족들 가운데에서 사는 모든 유다인에게 모세를 배신하라고 가르치면서 자식들에게 할례를 베풀지도 말고 우리 관습을 따르지도 말라고 한다는 이야기를 그들이 들었습니다.
영어NIV,21 They have been informed that you teach all the Jews who live among the Gentiles to turn away from Moses, telling them not to circumcise their children or live according to our customs.
영어NASB,21 and they have been told about you, that you are teaching all the Jews who are among the Gentiles to forsake Moses, telling them not to circumcise their children nor to walk according to the customs.
영어MSG,21  They've been told that you advise believing Jews who live surrounded by Gentiles to go light on Moses, telling them that they don't need to circumcise their children or keep up the old traditions. This isn't sitting at all well with them.
영어NRSV,21 They have been told about you that you teach all the Jews living among the Gentiles to forsake Moses, and that you tell them not to circumcise their children or observe the customs.
헬라어신약Stephanos,21 κατηχηθησαν δε περι σου οτι αποστασιαν διδασκεις απο μωσεως τους κατα τα εθνη παντας ιουδαιους λεγων μη περιτεμνειν αυτους τα τεκνα μηδε τοις εθεσιν περιπατειν
라틴어Vulgate,21 audierunt autem de te quia discessionem doceas a Mose eorum qui per gentes sunt Iudaeorum dicens non debere circumcidere eos filios suos neque secundum consuetudinem ingredi
히브리어Modern,21 והם שמעו עליך שמועה כי תלמד את כל היהודים אשר בקרב הגוים לסור ממשה באמרך כי אין עליהם למול את בניהם וללכת בחקות התורה׃

 

성 경: [21:21]

주제1: [예루살렘으로 향하는 바울]

주제2: [예루살렘에 도착한 바울]

󰃨 모세를 배반하고...지키지 말라 - 바울을 비방(誹謗)하는 소문이 어떻게 떠돌고 있는지 구체적으로 열거된다. 이러한 소문의 진원지는 디아스포라 유대인들이었을 것이고 그 중에서도 유대교적 전통에 철저한 자들이었을 것이다. 모세를 배반한다는 것은 모세가 전해준 율법을 무시한다는 말이고 이는 곧 하나님에 대한 배반을 뜻한다고 여겨졌을 것이다. 그러나 바울이 율법을 배반했다는 것은 악의에 찬 허위 사실이었다. 바울은 율법 자체를 부정한 바 없으며 오히려 그는 율법을 신령한 것으로 보았고(7:12) 율법의 긍정적인 역할도 인정하였다(3:24). 다만 바울은 사람들이 율법 자체에 얽매여 스스로 의롭게 되려는 행위들을 배격(排擊)하였던 것이다(10:3). 율법이 지향하는 바를 깨닫지 못하고 형식주의 또는 완고한 유대주의에 매여 복음을 거부하는 자들에게 있어서 율법은 폐기되어야 마땅하다(2:15). 또한 바울이 할례를 금하였다는 것도 전혀 터무니 없는 허위 사실이었다. 왜냐하면 바울은 할례 그 자체에 대해서 어떤 가치를 부여하지는 않았으나 하는 것도, 안하는 것도 무방하다고 했으며(고전 7:18, 19;5:6), 디모데에는 할례를 받도록 하기까지 하였기 때문이다. 진실이 이렇다 하더라도 예루살렘의 유대인 그리스도인들은 그들이 들은 바대로 오해를 하고 있었음에 분명하며 이 오해를 해소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였다.



 

티 운 에스틴 판토스 아쿠손타이 호티 엘렐뤼다스

 

개역개정,22 그러면 어찌할꼬 그들이 필연 그대가 온 것을 들으리니 
새번역,22 그러니 어떻게 하면 좋겠습니까? 그들은 틀림없이 당신이 왔다는 소식을 들을 것입니다.
우리말성경,22 그러니 어떻게 하는 게 좋겠습니까? 당신이 왔다는 소문을 분명 듣게 될 테니 
가톨릭성경,22 그러니 어떻게 하면 좋겠습니까? 그들도 당신이 왔다는 것을 틀림없이 듣게 될 것입니다.
영어NIV,22 What shall we do? They will certainly hear that you have come,
영어NASB,22 "What, then, is to be done? They will certainly hear that you have come.
영어MSG,22  "We're worried about what will happen when they discover you're in town. There's bound to be trouble. So here is what we want you to do:
영어NRSV,22 What then is to be done? They will certainly hear that you have come.
헬라어신약Stephanos,22 τι ουν εστιν παντως δει πληθος συνελθειν ακουσονται γαρ οτι εληλυθας
라틴어Vulgate,22 quid ergo est utique oportet convenire multitudinem audient enim te supervenisse
히브리어Modern,22 ועתה מה לעשות הנה האסף יאסף המון העם כי ישמעו כי באת׃

 

성 경: [21:22]

주제1: [예루살렘으로 향하는 바울]

주제2: [예루살렘에 도착한 바울]

󰃨 어찌할꼬 - 야고보 및 그와 함께 있던 사람들은 바울의 신변에 대한 문제로 심각한 고민을 하고 있다. 바울이 예루살렘에 도착한 사실은 이제 곧 다른 교인들에게 알려질 것이며 바울에 대해 오해를 하고 있는 자들이 거센 공격조로 나올 것은 불을 보듯 환한 일이었다.



 

투토 운 포이에손 호 소이 레고멘 에이신 헤민 안드레스 테싸레스 유켄 에콘테스 엪 헤아우톤

 

개역개정,23 우리가 말하는 이대로 하라 서원한 네 사람이 우리에게 있으니 
새번역,23 그러므로 당신은 우리가 말하는 대로 하십시오. 우리 가운데서 하나님 앞에 스스로 맹세한 사람이 넷 있습니다.
우리말성경,23 우리가 일러 주는 대로 하십시오. 우리 가운데 서원한 사람이 네 명 있습니다. 
가톨릭성경,23 그러니 우리가 말하는 대로 하십시오. 우리 가운데에 서원을 한 사람이 넷 있습니다.
영어NIV,23 so do what we tell you. There are four men with us who have made a vow.
영어NASB,23 "Therefore do this that we tell you. We have four men who are under a vow;
영어MSG,23  There are four men from our company who have taken a vow involving ritual purification, but have no money to pay the expenses.
영어NRSV,23 So do what we tell you. We have four men who are under a vow.
헬라어신약Stephanos,23 τουτο ουν ποιησον ο σοι λεγομεν εισιν ημιν ανδρες τεσσαρες ευχην εχοντες εφ εαυτων
라틴어Vulgate,23 hoc ergo fac quod tibi dicimus sunt nobis viri quattuor votum habentes super se
히브리어Modern,23 לכן עשה זאת אפוא אשר נאמר אליך׃

 

성 경: [21:23]

주제1: [예루살렘으로 향하는 바울]

주제2: [예루살렘에 도착한 바울]

󰃨 서원한 네 사람 - 서원에 해당하는 헬라어 '유케'(*)'기도하다', '원하다'의 의미를 갖는 '유코마이'(*)에서 온 말로, 하나님께 기도하는 마음으로 무엇을 하기 원하는 것을 가리킨다. 이는 단순한 소원을 넘어 하나님께 대한 일종의 서약이기 때문에 매우 엄숙한 것이다. 서원에 관한 자료는 구약성경에 많이 있으나, 그 기원은 알 수 없다. 서원은 주로 나실인의 서원과 관계되는데, 부모에 의한 서원이나(삼상 1:11), 본인의 자유의사에 의한 서원이 있으며 서원의 기간은 영구적인 것이 있고(13:7;삼상 1:11), 일정한 기간 동안만 하는 것이 있다(6:8, 12). 서원자는 서원한 것에 대해 반드시 신속하게 행해야 하며(23:23;15:4;5:4, 5), 남용하거나 경솔하게 하지 말아야 한다(20:25;15:4-6). 또한 서원한 기간 동안 기본적으로 지켜야 할 규범으로는 독주를 마시지 말고 머리를 깎지 말며 시체를 가까이 하지 말아야 한다. 본문에 나오는 네 명의 서원은 본인의 자유 의사에 의해 일정한 기간 동안만 하는 서원이라 여겨진다(Robertson). 서원에 관한 보다 자세한내용은 민 30:1-8 주제 강해 '서원과 맹세에 대하여'를 참조하라.



 

투투스 파랄라본 하그니스데티 쉰 아우토이스 카이 다파네손 엪 아우토이스 히나 크쉬레손타이 텐 케팔렌 카이 그노손타이 판테스 호티 혼 카테켄타이 페리 수 우덴 에스틴 알라 스토이케이스 카이 아우토스 퓔라쏜 톤 노몬

 

개역개정,24 그들을 데리고 함께 결례를 행하고 그들을 위하여 비용을 내어 머리를 깎게 하라 그러면 모든 사람이 그대에 대하여 들은 것이 사실이 아니고 그대도 율법을 지켜 행하는 줄로 알 것이라 
새번역,24 이 사람들을 데리고 가서, 함께 정결 예식을 행하고, 그들이 머리를 깎게 하고, 그 비용을 대십시오. 그러면 사람들은 모두, 당신의 소문이 전혀 사실이 아니며, 도리어 당신이 율법을 지키며 바로 살아가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될 것입니다.
우리말성경,24 이 사람들을 데려가서 그 정결 의식에 당신도 함께 참여하고 그들이 머리 깎는 비용을 대십시오. 그러면 당신에 대한 그런 소문이 사실이 아니며 당신 자신도 율법에 순종하며 살고 있음을 모든 사람이 알게 될 것입니다. 
가톨릭성경,24 그 사람들을 데리고 가서 함께 정결 예식을 거행하고, 그들이 머리를 깎을 수 있도록 그 비용을 대십시오. 그러면 당신에 관한 이야기가 아무것도 아닐 뿐만 아니라 오히려 당신도 율법을 정확히 지키며 산다는 것을 모든 사람이 알게 될 것입니다.
영어NIV,24 Take these men, join in their purification rites and pay their expenses, so that they can have their heads shaved. Then everybody will know there is no truth in these reports about you, but that you yourself are living in obedience to the law.
영어NASB,24 take them and purify yourself along with them, and pay their expenses in order that they may shave their heads; and all will know that there is nothing to the things which they have been told about you, but that you yourself also walk orderly, keeping the Law.
영어MSG,24  Join these men in their vows and pay their expenses. Then it will become obvious to everyone that there is nothing to the rumors going around about you and that you are in fact scrupulous in your reverence for the laws of Moses.
영어NRSV,24 Join these men, go through the rite of purification with them, and pay for the shaving of their heads. Thus all will know that there is nothing in what they have been told about you, but that you yourself observe and guard the law.
헬라어신약Stephanos,24 τουτους παραλαβων αγνισθητι συν αυτοις και δαπανησον επ αυτοις ινα ξυρησωνται την κεφαλην και γνωσιν παντες οτι ων κατηχηνται περι σου ουδεν εστιν αλλα στοιχεις και αυτος τον νομον φυλασσων
라틴어Vulgate,24 his adsumptis sanctifica te cum illis et inpende in illis ut radant capita et scient omnes quia quae de te audierunt falsa sunt sed ambulas et ipse custodiens legem
히브리어Modern,24 הנה יש אתנו ארבעה אנשים אשר נדר עליהם אתם קח לך והטהר אתם ושלם ההוצאות בעדם למען אשר יגלחו את ראשם וידעו כלם כי שמועת שוא שמעו עליך וכי אתה בעצמך מתהלך בחקות התורה׃

 

성 경: [21:24]

주제1: [예루살렘으로 향하는 바울]

주제2: [예루살렘에 도착한 바울]

󰃨 결례를 행하고...머리를 깎게 하라 - 결례를 행하라는 것은 서원한 자들처럼 자신을 정결하게 하고 서원 기간동안 지켜야 할 규범(23절 주석 참조)을 지키라는 의미이며 비용을 내어 머리를 깎게 하라는 것은, 결례 기간이 끝나는 날에 머리를 깎고 희생 예물을 드리는 때에 드는 경비(經費)를 부담하라는 말로 이해된다. 여기에 드려지는 희생 제물로는, 번제물로 일년 된 수양 하나, 속죄 제물로 일년 된 어린 암양 하나, 화목제로 수양 하나, 그 외에 무교병 과자 등이었으므로(6:1-21) 그 비용은 결코 적은 것이 아니었다. 이 비용을 바울에게 부담하라고 한 것이다. 유대인들에게 있어서 가난한 서원자를 위하여 비용을 대신 부담하는 것은 매우 경건한 행위로 여겨졌다. 실제로 기록에 의하면 아그립바 I세가 가난한 나실인을 위해 이런 비용을 제공했다는 이야기가 있다(Jos, Ant., XIX, 6:1). 바울에게 이런 일을 하라는 것은 그의 재력으로 유대 그리스도인들의 환심을 사라는 말이 아니라 그가 율법을 부정하지 않고 지키고 있음을 분명히 보여주어 그들의 오해와 노여움을 풀기 위함이었다.



 

페리 데 톤 페피스튜코톤 에드논 헤메이스 에페스테일라멘 크리난테스 퓔라쎄스다이 아우투스 토 테 에이돌로뒤톤 카이 하이마 카이 프닠톤 카이 포르네이안

 

개역개정,25 주를 믿는 이방인에게는 우리가 우상의 제물과 피와 목매어 죽인 것과 음행을 피할 것을 결의하고 편지하였느니라 하니 
새번역,25 신도가 된 이방 사람들에게는, 우상의 제물과 피와 ㉣목매어 죽인 것과 음행을 삼가야 한다는 것을, 우리가 결정해서 써 보냈습니다." / ㉣다른 고대 사본들에는 '목매어 죽인 것'이 없음
우리말성경,25 이방의 신자들에 대해서는 우리가 이미 그들에게 우상에 바쳐진 음식과 피와 목매어 죽인 짐승의 고기와 음행을 피하면 된다고 우리가 결정한 것을 편지로 썼습니다.” 
가톨릭성경,25 그리고 신자가 된 다른 민족들에 관해서는, 우상에게 바쳤던 제물과 피와 목 졸라 죽인 짐승의 고기와 불륜을 삼가라는 우리의 결정을 이미 편지로 써 보낸 바 있습니다.”
영어NIV,25 As for the Gentile believers, we have written to them our decision that they should abstain from food sacrificed to idols, from blood, from the meat of strangled animals and from sexual immorality."
영어NASB,25 "But concerning the Gentiles who have believed, we wrote, having decided that they should abstain from meat sacrificed to idols and from blood and from what is strangled and from fornication."
영어MSG,25  "In asking you to do this, we're not going back on our agreement regarding Gentiles who have become believers. We continue to hold fast to what we wrote in that letter, namely, to be careful not to get involved in activities connected with idols; to avoid serving food offensive to Jewish Christians; to guard the morality of sex and marriage."
영어NRSV,25 But as for the Gentiles who have become believers, we have sent a letter with our judgment that they should abstain from what has been sacrificed to idols and from blood and from what is strangled and from fornication."
헬라어신약Stephanos,25 περι δε των πεπιστευκοτων εθνων ημεις επεστειλαμεν κριναντες μηδεν τοιουτον τηρειν αυτους ει μη φυλασσεσθαι αυτους το τε ειδωλοθυτον και το αιμα και πνικτον και πορνειαν
라틴어Vulgate,25 de his autem qui crediderunt ex gentibus nos scripsimus iudicantes ut abstineant se ab idolis immolato et sanguine et suffocato et fornicatione
히브리어Modern,25 ועל דבר המאמינים בגוים כתבנו וגזרנו אשר לא ישמרו דבר מאלה רק להשמר מזבחי אלילים ומן הדם ומבשר הנחנק ומן הזנות׃

 

성 경: [21:25]

주제1: [예루살렘으로 향하는 바울]

주제2: [예루살렘에 도착한 바울]

󰃨 우상의 제물과...음행을 피할 것을 - 이 내용은 일찍이 예루살렘 회의에서 이방인 신자들의 신앙 생활을 위한 지침으로 결의되었던 것인데(15:20), 여기서 다시 한번 반복하여 상기(想起)시키고 있다. 본문의 내용이 결의될 때 바울도 함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15:1-20) 그 내용이 여기서 문자 그대로 반복되는 것은 다소 어색하다. 이에 대해 혹자는 본문의 내용이 주로 바울의 동료들에게 전달되기 위한 것으로 보거나 혹은 단지 독자들에게 당시의 상황을 상기시키기 위한 의도에서 삽입된 표현이라 간주하기도 한다(H. Marshall). 그러나 예루살렘 회의에서의 결정이 이방인 선교에 중심적 역할을 했던 바울의 의견을 존중하기 위해 내려진 것이라고 볼 때 이번에는 율법 준수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예루살렘 신자들을 위하여 바울이 양보해 줄 것을 간접적으로 요청하기 위함이라고 볼 수도 있다.



 

토테 호 파울로스 파랄라본 투스 안드라스 테 에코메네 헤메라 쉰 아우토이스 하그니스데이스 에이세에이 에이스 토 히에론 디앙겔론 텐 엨플레로신 톤 헤메론 투 하그니스무 헤오스 후 프로세네크데 휘페르 헤노스 에카스투 아우톤 헤 프로스포라

 

개역개정,26 바울이 이 사람들을 데리고 이튿날 그들과 함께 결례를 행하고 성전에 들어가서 각 사람을 위하여 제사 드릴 때까지의 결례 기간이 만기된 것을 신고하니라
새번역,26 그래서 바울은 그 다음날 그 네 사람을 데리고 가서, 함께 정결 예식을 한 뒤에, 성전으로 들어갔다. 그리고 정결 기한이 차는 날짜와 각 사람을 위해서 예물을 바칠 날짜를 신고하였다.
우리말성경,26 이튿날 바울은 그 사람들을 데리고 가서 그들과 함께 자기 몸을 정결하게 한 후 성전에 올라가 정결 의식이 끝나는 날짜와 각 사람이 예물 바치는 날짜를 신고했습니다. 
가톨릭성경,26 그래서 바오로는 그 사람들을 데리고 가서, 이튿날 그들과 함께 정결 예식을 거행한 다음 성전으로 들어갔다. 그리고 정결 예식 기한이 차는 날, 곧 그들 각자를 위하여 예물을 바칠 날을 신고하였다.
영어NIV,26 The next day Paul took the men and purified himself along with them. Then he went to the temple to give notice of the date when the days of purification would end and the offering would be made for each of them.
영어NASB,26 Then Paul took the men, and the next day, purifying himself along with them, went into the temple, giving notice of the completion of the days of purification, until the sacrifice was offered for each one of them.
영어MSG,26  So Paul did it--took the men, joined them in their vows, and paid their way. The next day he went to the Temple to make it official and stay there until the proper sacrifices had been offered and completed for each of them.
영어NRSV,26 Then Paul took the men, and the next day, having purified himself, he entered the temple with them, making public the completion of the days of purification when the sacrifice would be made for each of them.
헬라어신약Stephanos,26 τοτε ο παυλος παραλαβων τους ανδρας τη εχομενη ημερα συν αυτοις αγνισθεις εισηει εις το ιερον διαγγελλων την εκπληρωσιν των ημερων του αγνισμου εως ου προσηνεχθη υπερ ενος εκαστου αυτων η προσφορα
라틴어Vulgate,26 tunc Paulus adsumptis viris postera die purificatus cum illis intravit in templum adnuntians expletionem dierum purificationis donec offerretur pro unoquoque eorum oblatio
히브리어Modern,26 ויקח פולוס את האנשים ויטהר אתם וממחרת בא אל המקדש ויגד כי מלאו ימי טהרתם עד כי הקרב קרבן כל אחד מהם׃

 

성 경: [21:26]

주제1: [예루살렘으로 향하는 바울]

주제2: [예루살렘에 도착한 바울]

󰃨 결례의 만기된 것을 고하니라 - 바울은 야고보의 제안을 받아들여 그대로 행하였다. 본문의 상황은 바울 일행이 서원의 절차법에 따라 희생 제물을 바친 후 머리를 깎아 제단 불에 던져 태운 다음(6:13-18) 제사장에게 서원 기간이 끝났음을 공식적으로 보고하는 장면이라고 할 수 있다. 바울의 이러한 행위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평가가 제기되었다. 1)바울의 행동은 율법주의자들과의 타협이며 그 결과는 실패였다고 본다(Furneaux, Calvin). 2)바울은 야고보의 제안에 순종한 것 뿐이라고 본다(Bengel, Wesley). 3)바울은 그의 설교 전략 즉 유대인에게는 유대인처럼, 율법의 지배 아래 있는 자에게는, 자신은 율법의 지배 아래 있지 아니하지만, 율법의 지배 아래 있는 자같이 된다는 원칙을 따라 행동한 것이라고 본다(고전 9:20, Meyer, Weiss, Knowling). 바울은 일찍이 예루살렘에 올때 고난이 있을 것을 분명히 알고 있었고(4, 10-14;20:23), 죽음까지도 각오하고 있었다(13). 그런 바울이 신변의 위협을 느껴 율법과 타협하여 자신의 안전을 도모(圖謀)하였다고 볼 수는 없다. 따라서 3)의 견해가 타당하다고 본다.

 

 

호스 데 에멜론 하이 헾타 헤메라이 쉰텔레이스다이 호이 아포 테스 아시아스 유다이오이 데아사메노이 아우톤 엔 토 히에로 쉬네케온 판타 톤 오클론 카이 에페발론 엪 아우톤 타스 케이라스

 

개역개정,27 그 이레가 거의 차매 아시아로부터 온 유대인들이 성전에서 바울을 보고 모든 무리를 충동하여 그를 붙들고 
새번역,27 그 이레가 거의 끝나갈 무렵에, ㉤아시아에서 온 유대 사람들이 성전에서 바울을 보고, 군중을 충동해서, 바울을 붙잡아 놓고, / ㉤당시의 로마 제국의 행정 구역으로 오늘날 소아시아의 서남부에 소재했음
우리말성경,27 7일 동안의 정결 기간이 거의 끝나갈 무렵 아시아 지방에서 온 몇몇 유대 사람들이 성전에서 바울을 보고 모든 사람을 선동해 그를 붙잡고 
가톨릭성경,27 그 이레가 거의 끝날 무렵, 아시아에서 온 유다인들이 성전에서 바오로를 보고서는, 온 군중을 선동하여 그를 붙잡고
영어NIV,27 When the seven days were nearly over, some Jews from the province of Asia saw Paul at the temple. They stirred up the whole crowd and seized him,
영어NASB,27 And when the seven days were almost over, the Jews from Asia, upon seeing him in the temple, began to stir up all the multitude and laid hands on him,
영어MSG,27  When the seven days of their purification were nearly up, some Jews from around Ephesus spotted him in the Temple. At once they turned the place upside-down. They grabbed Paul
영어NRSV,27 When the seven days were almost completed, the Jews from Asia, who had seen him in the temple, stirred up the whole crowd. They seized him,
헬라어신약Stephanos,27 ως δε εμελλον αι επτα ημεραι συντελεισθαι οι απο της ασιας ιουδαιοι θεασαμενοι αυτον εν τω ιερω συνεχεον παντα τον οχλον και επεβαλον τας χειρας επ αυτον
라틴어Vulgate,27 dum autem septem dies consummarentur hii qui de Asia erant Iudaei cum vidissent eum in templo concitaverunt omnem populum et iniecerunt ei manus clamantes
히브리어Modern,27 ויהי כאשר קרבו שבעת הימים לכלות והיהודים אשר מאסיא ראו אתו במקדש ויעוררו את כל ההמון וישלחו בו את ידיהם׃

 

성 경: [21:27]

주제1: [예루살렘으로 향하는 바울]

주제2: [체포된 바울]

󰃨 그 이레가 거의 차매 - 바울과 네 명의 서원자가 7일 간의 결례를 거의 마감할 무렵을 가리킨다.

󰃨 아시아로부터 온 유대인 - 이들은 에베소에서 올라온 디아스포라 유대인들로 오순절을 지키기 위해 왔던 것같다. 왜냐하면 예루살렘의 유대인들은 바울을 몰랐을 터인데 이들은 보자마자 바울을 즉시 알아보았고(바울은 3년간 에베소에서 선교 활동을 했다), 더구나 이들이 에베소 사람 드로비모를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29).

󰃨 무리를 충동하여 - '충동하다'의 헬라어 '슁케오'(*)는 일찍이 에베소에서 이방 종교인들이 일으킨 소동을 묘사할 때 사용되었던 말로(19:23-41), 바울을 해하려는 이 무리들의 포악함을 시사한다.

󰃨 성전 - 이곳은 성전 영내의 '이스라엘의 뜰'(the Court of Israel)로 제사장이나 레위인이 아닌 유대인 남자들이 들어갈 수 있는 곳이었다.

 

 

크라존테스 안드레스 이스라엘리타이 보에데이테 후토스 에스틴 호 안드로포스 호 카타 투 라우 카이 투 노무 카이 투 토푸 투투 판타스 판타케 디다스콘 에티 테 카이 헬레나스 에이세가겐 에이스 토 히에론 카이 케코이노켄 톤 하기온 토폰 투톤

 

개역개정,28 외치되 이스라엘 사람들아 도우라 이 사람은 각처에서 우리 백성과 율법과 이 곳을 비방하여 모든 사람을 가르치는 그 자인데 또 헬라인을 데리고 성전에 들어가서 이 거룩한 곳을 더럽혔다 하니 
새번역,28 소리 쳤다. "이스라엘 동포 여러분, 합세하여 주십시오. 이 자는 어디에서나 우리 민족과 율법과 이 곳을 거슬러서 사람들을 가르칩니다. 더욱이 이 자는 그리스 사람들을 성전에 데리고 들어와서, 이 거룩한 곳을 더럽혀 놓았습니다."
우리말성경,28 소리 질렀습니다. “이스라엘 동포 여러분, 우리를 도와주시오. 이 사람은 가는 곳마다 모든 사람에게 우리 민족과 율법과 이곳 성전을 반대하며 가르칩니다. 게다가 성전에 그리스 사람들을 데려와 이 거룩한 곳을 더럽히고 있습니다.” 
가톨릭성경,28 외쳤다. “이스라엘인 여러분, 우리를 도와주십시오. 이자는 어디에서건 누구에게나 우리 백성과 율법과 이 성전을 거슬러 가르치는 사람입니다. 더군다나 그리스인들까지 성전 안으로 데리고 들어와서 이 거룩한 곳을 부정하게 만들었습니다.”
영어NIV,28 shouting, "Men of Israel, help us! This is the man who teaches all men everywhere against our people and our law and this place. And besides, he has brought Greeks into the temple area and defiled this holy place."
영어NASB,28 crying out, "Men of Israel, come to our aid! This is the man who preaches to all men everywhere against our people, and the Law, and this place; and besides he has even brought Greeks into the temple and has defiled this holy place."
영어MSG,28  and started yelling at the top of their lungs, "Help! You Israelites, help! This is the man who is going all over the world telling lies against us and our religion and this place. He's even brought Greeks in here and defiled this holy place."
영어NRSV,28 shouting, "Fellow Israelites, help! This is the man who is teaching everyone everywhere against our people, our law, and this place; more than that, he has actually brought Greeks into the temple and has defiled this holy place."
헬라어신약Stephanos,28 κραζοντες ανδρες ισραηλιται βοηθειτε ουτος εστιν ο ανθρωπος ο κατα του λαου και του νομου και του τοπου τουτου παντας πανταχου διδασκων ετι τε και ελληνας εισηγαγεν εις το ιερον και κεκοινωκεν τον αγιον τοπον τουτον
라틴어Vulgate,28 viri israhelitae adiuvate hic est homo qui adversus populum et legem et locum hunc omnes ubique docens insuper et gentiles induxit in templum et violavit sanctum locum istum
히브리어Modern,28 ויצעקו לאמר אנשי ישראל עזרו זה הוא האיש המלמד את כל אדם אשר בכל הארץ סרה על העם הזה ועל התורה ועל המקום הזה וגם הביא אל המקדש אנשים יונים ויחלל את המקום הקדוש הזה׃

 

성 경: [21:28]

주제1: [예루살렘으로 향하는 바울]

주제2: [체포된 바울]

󰃨 우리 백성과 율법과 이곳을 훼방 - 에베소에서 올라온 유대인들은 성전에서 바울을 보자 흥분하여 소리를 질러 사람들을 부르며 바울을 고발하였다. 고발 내용은 그가 하나님의 선민인 이스라엘 백성과 모세가 시내산에서 하나님께 받은 신성한 율법과 그리고 하나님의 성소인 성전을 거스리는 내용을 가르쳤다는 것이다. 이들은 이스라엘 사람들이 가장 소중하게 여기는 3요소에 대한 감정에 호소함으로써 분노를 촉발시키려 하였다.

󰃨 거룩한 곳을 더럽게 - '거룩한 곳'은 성전을 가리키고, '더럽게 하였다'(*, 케코이노켄)'평범하게 만들다'의 뜻을 갖고 있는 '코이노'(*)의 현재완료형으로서 이방인을 성전의 '이스라엘의 뜰'에 데리고 들어옴으로써 거룩한 성전을 평범하게 만들었다는 의미가 된다. 완료형으로 되어 있는 것에 주목해야 하는데 이는 더럽혀진 효과가 이미 시작되어 지속된다는 의미를 나타낸다. 성전에는 유대인 남자들만 들어갈 수 있는 '이스라엘의 뜰'과 이방인들이 들어갈 수 있는 '바깥 뜰'(이방인의 뜰)이 구분되어 있어 이방인들은 '이스라엘의 뜰'에 절대로 들어갈 수 없었다. 이것은 로마 당국도 인정하지 않을 수 없었던 종교적 금기(禁忌)였다. 만약 이방인이 이 금기를 어기고 '이스라엘의 뜰'에 들어갈 경우 죽음을 면할 수 없는 것으로 여겨졌다. 이런 불행을 예방하기 위해 양쪽 뜰을 가르는 울타리에는 경고문이 붙어 있었는데, 울타리를 넘어 침입해 들어가는 자는 사형에 처하게 된다는 내용이 적혀 있었다(Bruce). 이런 절대 금기의 규율을 바울이 어기게 하였다는 것은 사람들로 하여금 그를 죽이고야 말겠다는 분노를 분출시키기에 충분했다.



 

에산 가르 프로에오라코테스 트로피몬 톤 에페시온 엔 테 폴레이 쉰 아우토 혼 에노미존 호티 에이스 토 히에론 에이세가겐 호 파울로스

 

개역개정,29 이는 그들이 전에 에베소 사람 드로비모가 바울과 함께 시내에 있음을 보고 바울이 그를 성전에 데리고 들어간 줄로 생각함이러라 
새번역,29 이는 그들이 에베소 사람 드로비모가 바울과 함께 성내에 있는 것을 전에 보았으므로, 바울이 그를 성전에 데리고 들어왔으리라고 생각하였기 때문이다.
우리말성경,29 그들은 전에 에베소 사람 드로비모가 바울과 함께 예루살렘에 있었던 것을 보고 바울이 그를 성전 안으로 데려갔을 것이라고 짐작했습니다. 
가톨릭성경,29 그들은 전에 에페소 사람 트로피모스가 바오로와 함께 성안에 있는 것을 보고, 바오로가 그를 성전 안으로 데리고 들어갔다고 생각한 것이다.
영어NIV,29 (They had previously seen Trophimus the Ephesian in the city with Paul and assumed that Paul had brought him into the temple area.)
영어NASB,29 For they had previously seen Trophimus the Ephesian in the city with him, and they supposed that Paul had brought him into the temple.
영어MSG,29  (What had happened was that they had seen Paul and Trophimus, the Ephesian Greek, walking together in the city and had just assumed that he had also taken him to the Temple and shown him around.)
영어NRSV,29 For they had previously seen Trophimus the Ephesian with him in the city, and they supposed that Paul had brought him into the temple.
헬라어신약Stephanos,29 ησαν γαρ προεωρακοτες τροφιμον τον εφεσιον εν τη πολει συν αυτω ον ενομιζον οτι εις το ιερον εισηγαγεν ο παυλος
라틴어Vulgate,29 viderant enim Trophimum Ephesium in civitate cum ipso quem aestimaverunt quoniam in templum induxisset Paulus
히브리어Modern,29 כי היו ראים את טרופימוס האפסי בעיר אתו ויחשבו כי פולוס הביא אתו אל המקדש׃

 

성 경: [21:29]

주제1: [예루살렘으로 향하는 바울]

주제2: [체포된 바울]

󰃨 전에 - 이 표현이 지시하는 시점에 대해서는 두 가지 견해가 제시된다. 1)바울 일행이 예루살렘에 도착하기 훨씬 이전 즉 에베소에 있을 때를 가리킨다(Lenski). 2)바울 일행이 예루살렘에 도착한 후의 어느 시점을 가리킨다(Bruce). 후자일 가능성이 더 높다고 본다.

󰃨 드로비모...들어간 줄로 생각함일러라 - 바울의 적대자들이 선동하기 위해 외친 소리가 사실의 목격에 근거하지 않고 단순한 추측에 불과하다는 것이 설명되고 있다. 그들은 얼마 전에 바울과 드로비모가 예루살렘 시내에서 함께 있는 것을 목격했을 뿐이다. 그런데 지금 성전에서 바울을 보자 지레 짐작하기를 드로비모가 그를 따라 성전에 들어갔다고 본 것이다. 바울에 대한 적대감(敵對感) 더 나아가 바울을 해치려는 음모가 없이 이러한 오해가 있을 수 있는지 의문이다. 이것은 순간적이고 단순한 오해가 아니라 그를 죽임으로써 이방인에게 복음을 전하는 그의 사명을 중지시켜 유대인들의 민족적 우월감과 선민 의식을 보존하려는 의도에서 나온 계획된 행동으로 짐작된다. 사도로서 바울의 고난은 터무니없는 거짓 증인에 의한 것이라는 점에서 예수의 수난을 뒤따르는 것이었다(14:55-59).

 

 

에키네데 테 헤 폴리스 홀레 카이 에게네토 쉰드로메 투 라우 카이 에필라보메노이 투 파울루 헤일콘 아우톤 엨소 투 히에루 카이 유데오스 에클레이스데산 하이 뒤라이

 

개역개정,30 온 성이 소동하여 백성이 달려와 모여 바울을 잡아 성전 밖으로 끌고 나가니 문들이 곧 닫히더라 
새번역,30 그래서 온 도시가 소란해지고, 백성들이 몰려들어서 바울을 잡아 성전 바깥으로 끌어내니, 성전 문이 곧 닫혔다.
우리말성경,30 그러자 온 도시가 소란해지더니 사람들이 몰려와 바울을 붙잡아 성전에서 끌어 내었고 성전 문은 곧 닫혔습니다. 
가톨릭성경,30 그래서 온 도시가 소란해지면서 백성이 몰려들었다. 그들은 바오로를 붙잡아 성전 밖으로 끌어냈다. 그러자 성전 문들이 곧 닫혔다.
영어NIV,30 The whole city was aroused, and the people came running from all directions. Seizing Paul, they dragged him from the temple, and immediately the gates were shut.
영어NASB,30 And all the city was aroused, and the people rushed together; and taking hold of Paul, they dragged him out of the temple; and immediately the doors were shut.
영어MSG,30  Soon the whole city was in an uproar, people running from everywhere to the Temple to get in on the action. They grabbed Paul, dragged him outside, and locked the Temple gates so he couldn't get back in and gain sanctuary.
영어NRSV,30 Then all the city was aroused, and the people rushed together. They seized Paul and dragged him out of the temple, and immediately the doors were shut.
헬라어신약Stephanos,30 εκινηθη τε η πολις ολη και εγενετο συνδρομη του λαου και επιλαβομενοι του παυλου ειλκον αυτον εξω του ιερου και ευθεως εκλεισθησαν αι θυραι
라틴어Vulgate,30 commotaque est civitas tota et facta est concursio populi et adprehendentes Paulum trahebant eum extra templum et statim clausae sunt ianuae
히브리어Modern,30 ותהם כל העיר וירץ העם ויקבץ ויאחזו את פולוס וימשכהו אל מחוץ למקדש ופתאם סגרו הדלתות׃

 

성 경: [21:30]

주제1: [예루살렘으로 향하는 바울]

주제2: [체포된 바울]

󰃨 온 성이 소동하여 - 드디어 예루살렘의 유대인들은 흥분하기 시작하였고 적대자들의 의도는 일단 성공적이었다. '소동하여'(*, 에키네데)는 폭력적인 행동과 격앙된 감정의 상태를 표현하는 동사 '키네오'(*)의 제 1부정과거형으로서 24:5에서는 더둘로가 바울을 고발할 때 사용되기도 하였다.

󰃨 성전 밖으로 끌고 나가니...곧 닫히더라 - 사태는 매우 과격하고도 비이성적인 방향으로 돌변하고 있다. 그들은 바울에게 단 한마디의 자기 변호도 허용하지 않고 성전 밖으로 끌어내었다. 여기서 '끌고'(*, 헤일콘)'헬코'(*)의 미완료 과거 능동태로 바울을 사정없이 끌고 나가는 행위의 연속성을 보여준다. 문을 닫은 것은 유대인의 뜰과 이방인의 뜰 사이에 있는 문을 닫은 것을 가리키며, 이것은 바울을 성전 밖으로 끌고 나가는 것이 완료되었음을 뜻한다. 그런데 유대인들이 바울을 성전 밖으로 끌고 나간 데에는 두 가지 이유가 있다. 분노한 군중들이 성전으로 밀려 들어와 그곳에서 바울을 살해하는 것을 염려하였기 때문이다. 성전에서 살해 사건이 있게 되면 이는 곧 성전을 더럽히는 것이었다. 따라서 율법을 준수하며 하나님의 뜻대로 살아가고 있다고 자부하는 그들로서는 그런 일을 피하려 했을 것임에 틀림없다. 바울이 제단 뿔을 잡아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가능성을 봉쇄하기 위함이었을 것이다. 제단 뿔은 제단 가운데서도 가장 거룩한 부분이었기 때문에 그 뿔을 잡고 있는 동안에는 살륙(殺戮)이 행해질 수 없다고 믿어져 왔다(왕상 1:50).



 

제툰톤 테 아우톤 아퐄테이나이 아네베 파시스 토 킬리아르코 테스 스페이레스 호티 홀레 슁퀸네타이 예루살렘

 

개역개정,31 그들이 그를 죽이려 할 때에 온 예루살렘이 요란하다는 소문이 군대의 천부장에게 들리매 
새번역,31 그들이 바울을 죽이려고 할 때에, 온 예루살렘이 소요에 휘말려 있다는 보고가 천부장에게 올라갔다.
우리말성경,31 그들이 바울을 죽이려고 하자 예루살렘 도시 전체에 난동이 일어났다는 소식이 로마 군대의 천부장에게 알려졌습니다. 
가톨릭성경,31 그들이 바오로를 막 죽이려고 할 때, 온 예루살렘에 소동이 일어났다는 보고가 그곳 부대의 천인대장에게 올라갔다.
영어NIV,31 While they were trying to kill him, news reached the commander of the Roman troops that the whole city of Jerusalem was in an uproar.
영어NASB,31 And while they were seeking to kill him, a report came up to the commander of the Roman cohort that all Jerusalem was in confusion.
영어MSG,31  As they were trying to kill him, word came to the captain of the guard, "A riot! The whole city's boiling over!"
영어NRSV,31 While they were trying to kill him, word came to the tribune of the cohort that all Jerusalem was in an uproar.
헬라어신약Stephanos,31 ζητουντων δε αυτον αποκτειναι ανεβη φασις τω χιλιαρχω της σπειρης οτι ολη συγκεχυται ιερουσαλημ
라틴어Vulgate,31 quaerentibus autem eum occidere nuntiatum est tribuno cohortis quia tota confunditur Hierusalem
히브리어Modern,31 והמה מבקשים להמיתו והשמועה באה אל שר האלף של הגדוד כי כל ירושלים נבוכה׃

 

성 경: [21:31]

주제1: [예루살렘으로 향하는 바울]

주제2: [체포된 바울]

󰃨 죽이려 할 때에 - 바울을 끌어낸 무리들이 무자비한 폭력을 휘둘러 죽음으로 몰고가고 있는 장면이다. 최소한의 형식적 재판 절차도 없이 바울을 죽이려 하는 것은 그 무리들이 종교적 자존심의 손상에 대한 반발과 군중 심리적 흥분으로 극도로 포악해져 있음을 말해준다. 군대의 천부장 - 바울이 연루되어 성전에서 발생한 소요는 민첩한 정보망을 통해 그 지역의 치안 책임자인 천부장에게 즉각 전달되었을 것이다. 더구나 지금은 오순절 기간이었기 때문에 폭동이나 소요를 대비하기 위하여 유대인들의 움직임을 철저히 주시하던 터라 그 소식은 매우 신속하게 보고되었을 것이다. 천부장은 보통 1000여명의 병력을 통솔하는 로마군의 장교를 가리키며 이 부대의 구성은 보병 760명과 마병 240명으로 되어 있었다. 23:26에 의하면 이 천부장은 글라우디오 루시아(Claudius Lysias)였다.

 

 

호스 엨사우테스 파랄라본 스트라티오타스 카이 헤카톤타르카스 카테드라멘 엪 아우투스 호이 데 이돈테스 톤 킬리아르콘 카이 투스 스트라티오타스 에파우산토 튚톤테스 톤 파울론

 

개역개정,32 그가 급히 군인들과 백부장들을 거느리고 달려 내려가니 그들이 천부장과 군인들을 보고 바울 치기를 그치는지라 
새번역,32 그는 곧 병사들과 백부장들을 거느리고, 그 사람들에게로 달려갔다. 그들은 천부장과 군인들을 보고, 바울을 때리는 것을 멈추었다.
우리말성경,32 그는 즉시 몇몇 백부장들과 군인들을 데리고 군중에게로 달려 내려갔습니다. 난동을 일으킨 사람들이 천부장과 군인들을 보자 바울 때리던 것을 멈췄습니다. 
가톨릭성경,32 그는 바로 군사들과 백인대장들을 거느리고 그 사람들에게 달려갔다. 그들은 천인대장과 군사들을 보고 바오로에게 매질하는 것을 멈추었다.
영어NIV,32 He at once took some officers and soldiers and ran down to the crowd. When the rioters saw the commander and his soldiers, they stopped beating Paul.
영어NASB,32 And at once he took along some soldiers and centurions, and ran down to them; and when they saw the commander and the soldiers, they stopped beating Paul.
영어MSG,32  He acted swiftly. His soldiers and centurions ran to the scene at once. As soon as the mob saw the captain and his soldiers, they quit beating Paul.
영어NRSV,32 Immediately he took soldiers and centurions and ran down to them. When they saw the tribune and the soldiers, they stopped beating Paul.
헬라어신약Stephanos,32 ος εξαυτης παραλαβων στρατιωτας και εκατονταρχους κατεδραμεν επ αυτους οι δε ιδοντες τον χιλιαρχον και τους στρατιωτας επαυσαντο τυπτοντες τον παυλον
라틴어Vulgate,32 qui statim adsumptis militibus et centurionibus decucurrit ad illos qui cum vidissent tribunum et milites cessaverunt percutere Paulum
히브리어Modern,32 וימהר ויקח אתו אנשי צבא ושרי מאות וירץ אליהם ויהי כראותם את שר האלף ואת אנשי הצבא ויחדלו מהכות את פולוס׃

 

성 경: [21:32]

주제1: [예루살렘으로 향하는 바울]

주제2: [체포된 바울]

󰃨 군사들과 백부장들 - 이 군대의 군영(軍營)은 성전 북서쪽의 언덕 위에 세워진 안토니아 성에 있었다. 이들은 언제든지 신속하게 출동할 수 있는 준비를 갖추고 있었으므로 즉시 사건 현장에 도착하였을 것이다. 백부장이 대략 100명의 군대를 지휘하였고, '백부장들'로 표현되어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최소한 200명 이상의 군대가 출동한 것이 된다(본서 서론 '로마의 행정 및 군대 제도' 참조).

󰃨 바울 치기를 그치는지라 - 바울이 죽임을 당할 수 밖에 없던 위기의 상황은 천부장과 그의 부하들의 출동으로 일단 모면되었다. 유대인들이 로마 군대가 출동했을때 바울을 죽이려던 행위를 중단하였던 것은 그들의 행위가 불법적인 것이었기 때문이다. 당시에 이스라엘은 로마의 식민지 지배를 받고 있었기 때문에 로마 당국의 재판에 의하지 않고는 사형을 집행할 수 없었다. 산헤드린에서 사형 판결을 내린 후에도 빌라도에게 다시 끌고 가 재판을 받게 했던 예수의 경우도 그런 이유에서 였다(26:66;27:1, 2).



 

토테 엥기사스 호 킬리아르코스 에펠라베토 아우투 카이 에켈류센 데데나이 할뤼세시 뒤시 카이 에퓐다네토 티스 에이에 카이 티 에스틴 페포이에코스

 

개역개정,33 이에 천부장이 가까이 가서 바울을 잡아 두 쇠사슬로 결박하라 명하고 그가 누구이며 그가 무슨 일을 하였느냐 물으니 
새번역,33 천부장이 가까이 가서, 바울을 체포하였다. 그리고 그는 부하들에게 쇠사슬 둘로 바울을 결박하라고 명령하고, 그가 어떤 사람이며, 또 무슨 일을 하였는지를 물었다.
우리말성경,33 천부장이 다가가 바울을 체포하고 두 개의 쇠사슬로 묶으라고 명령했습니다. 그러고 나서 그가 누구며 또 무슨 일을 했는지 물었습니다. 
가톨릭성경,33 그러자 천인대장이 다가가 바오로를 붙잡고 쇠사슬 두 개로 그를 결박하라고 명령한 다음, 그가 누구며 무슨 일을 하였는지 물었다.
영어NIV,33 The commander came up and arrested him and ordered him to be bound with two chains. Then he asked who he was and what he had done.
영어NASB,33 Then the commander came up and took hold of him, and ordered him to be bound with two chains; and he began asking who he was and what he had done.
영어MSG,33  The captain came up and put Paul under arrest. He first ordered him handcuffed, and then asked who he was and what he had done.
영어NRSV,33 Then the tribune came, arrested him, and ordered him to be bound with two chains; he inquired who he was and what he had done.
헬라어신약Stephanos,33 τοτε εγγισας ο χιλιαρχος επελαβετο αυτου και εκελευσεν δεθηναι αλυσεσιν δυσιν και επυνθανετο τις αν ειη και τι εστιν πεποιηκως
라틴어Vulgate,33 tunc accedens tribunus adprehendit eum et iussit alligari catenis duabus et interrogabat quis esset et quid fecisset
히브리어Modern,33 ויגש שר האלף ויחזק בו ויצו לאסרו בנחשתים וישאל מי הוא זה ומה עשה׃

 

성 경: [21:33]

주제1: [예루살렘으로 향하는 바울]

주제2: [체포된 바울]

󰃨 두 쇠사슬로 결박하라 명하고 - 이것은 마치 한 피의자의 양팔에다 두 형사가 자기의 팔목과 피의자의 팔목에 수갑을 채우는 장면을 연상시킨다. 당시에 군인들은 사건 현장에 출동할 때 체포용 쇠사슬을 가지고 다녔고 죄수의 도주를 막기 위하여 자기와 함께 묶었다. 천부장이 폭력을 당하고 있던 바울을 묶으라고 명한 것은 일단 그가 죄인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며(12:6), 군중들로부터 바울을 분리시킨 것은 그가 죄를 범하였을지라도 법의 절차에 따라 재판을 받아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하여튼 이렇게 해서 11절의 예언이 성취된 것을 볼 수 있다.



 

알로이 데 알로 티 에페포눈 엔 토 오클로 메 뒤나메누 데 아우투 그노나이 토 아스팔레스 디아 톤 도뤼본 에켈류센 아게스다이 아우톤 에이스 텐 파렘볼렌

 

개역개정,34 무리 가운데서 어떤 이는 이런 말로, 어떤 이는 저런 말로 소리 치거늘 천부장이 소동으로 말미암아 진상을 알 수 없어 그를 영내로 데려가라 명하니라 
새번역,34 그러나 무리 가운데서 사람들이 저마다 다른 소리를 질렀다. 천부장은 소란 때문에 사건의 진상을 알 수 없었으므로, 바울을 병영 안으로 끌고 가라고 명령하였다.
우리말성경,34 군중이 제각각 다른 소리를 질렀습니다. 그래서 천부장은 소란만 일 뿐 진상을 알 수 없는 까닭에 바울을 병영 안으로 끌고 가라고 명령했습니다. 
가톨릭성경,34 그런데 군중 속에서 이자들은 이렇게, 저자들은 저렇게 소리를 질러 댔다. 천인대장은 그 소란 때문에 진상을 알아낼 수가 없었으므로, 바오로를 진지 안으로 끌고 가라고 명령하였다.
영어NIV,34 Some in the crowd shouted one thing and some another, and since the commander could not get at the truth because of the uproar, he ordered that Paul be taken into the barracks.
영어NASB,34 But among the crowd some were shouting one thing and some another, and when he could not find out the facts on account of the uproar, he ordered him to be brought into the barracks.
영어MSG,34  All he got from the crowd were shouts, one yelling this, another that. It was impossible to tell one word from another in the mob hysteria, so the captain ordered Paul taken to the military barracks.
영어NRSV,34 Some in the crowd shouted one thing, some another; and as he could not learn the facts because of the uproar, he ordered him to be brought into the barracks.
헬라어신약Stephanos,34 αλλοι δε αλλο τι εβοων εν τω οχλω μη δυναμενος δε γνωναι το ασφαλες δια τον θορυβον εκελευσεν αγεσθαι αυτον εις την παρεμβολην
라틴어Vulgate,34 alii autem aliud clamabant in turba et cum non posset certum cognoscere prae tumultu iussit duci eum in castra
히브리어Modern,34 ויענו מן העם אלה בכה ואלה בכה ולא יכל לדעת מאומה אל נכון מרב השאון ויצו להוליכו אל המצד׃

 

성 경: [21:34]

주제1: [예루살렘으로 향하는 바울]

주제2: [체포된 바울]

󰃨 무리 가운데서...부르짖거늘 - 천부장은 바울을 결박하게 한 후 무리들에게 바울의 신상과 그의 잘못이 무엇인지를 물었다(33). 그런데 무리들이 매우 소란스러운 가운데 여러가지 말을 했기 때문에 천부장은 그 사건의 실상을 알 수가 없었다. 여기서 '부르짖거늘'(*, 에페포눈)이라는 단어는 예수를 재판할 때에 흥분한 군중들이 예수의 죽음을 요구하는 것을 묘사하는 데도 사용되었던 것으로 '큰 고함소리로 미친듯이 부르짖는 것'을 뜻한다(23:21).

󰃨 영문 안으로 - 광적으로 흥분하여 외쳐대는 무리들의 소란은 사실을 알고자 하는 천부장의 의도를 좌절시켰다. 그리하여 천부장은 무리들의 흥분이 가라앉은 후에 심리(審理)를 하기 위하여 바울을 일단 영문 안으로 데리고 가도록 조치를 취했다. 여기서 영문은 군대의 주둔지인 안토니아 영문을 가리킨다.



 

호테 데 에게네토 에피 투스 아나바드무스 쉬네베 바스타제스다이 아우톤 휘포 톤 스트라티오톤 디아 텐 비안 투 오클루

 

개역개정,35 바울이 층대에 이를 때에 무리의 폭행으로 말미암아 군사들에게 들려가니 
새번역,35 바울이 층계에 이르렀을 때에는 군중이 하도 난폭하게 굴었기 때문에, 군인들이 그를 둘러메고 가야 하였다.
우리말성경,35 바울이 층계에 이르자 군중이 더욱 난폭하게 굴어 군인들이 그를 둘러메고 가야 했습니다. 
가톨릭성경,35 바오로가 층계에 이르렀을 때 군중이 난폭하게 구는 바람에, 군사들이 그를 둘러메고 가는 수밖에 없었다.
영어NIV,35 When Paul reached the steps, the violence of the mob was so great he had to be carried by the soldiers.
영어NASB,35 And when he got to the stairs, it so happened that he was carried by the soldiers because of the violence of the mob;
영어MSG,35  But when they got to the Temple steps, the mob became so violent that the soldiers had to carry Paul.
영어NRSV,35 When Paul came to the steps, the violence of the mob was so great that he had to be carried by the soldiers.
헬라어신약Stephanos,35 οτε δε εγενετο επι τους αναβαθμους συνεβη βασταζεσθαι αυτον υπο των στρατιωτων δια την βιαν του οχλου
라틴어Vulgate,35 et cum venisset ad gradus contigit ut portaretur a militibus propter vim populi
히브리어Modern,35 ויהי כבואו עד המעלות וישאהו אנשי הצבא מפני חמת העם׃

 

성 경: [21:35]

주제1: [예루살렘으로 향하는 바울]

주제2: [체포된 바울]

󰃨 층대...들려가니 - 이 층대는 예루살렘 성전 바깥 뜰에서 안토니아 영안으로 올라가는 돌계단을 가리킨다. 이 계단에 이르렀을 즈음에는 무리들의 난폭함이 극에 달하여 로마군인들이 바울을 손으로 높이 들어올리고 가야 할 지경이었다. 어떤 학자는 바울이 '들려갔던' 이유를 걸을 수조차 없을 정도로 쇠약한 상태였기 때문이라고 보지만(E. Haenchen) 근거없는 추측일 따름이다.



 

에콜루데이 가르 토 플레도스 투 라우 크라존테스 아이레 아우톤

 

개역개정,36 이는 백성의 무리가 그를 없이하자고 외치며 따라 감이러라
새번역,36 큰 무리가 따라오면서 "그 자를 없애 버려라!" 하고 외쳤다.
우리말성경,36 따라가는 군중은 계속 “그를 없애 버려라!”고 소리쳤습니다. 
가톨릭성경,36 큰 무리가 따라가면서 “그자를 없애라.” 하고 외쳐 댔던 것이다.
영어NIV,36 The crowd that followed kept shouting, "Away with him!"
영어NASB,36 for the multitude of the people kept following behind, crying out, " Away with him! "
영어MSG,36  As they carried him away, the crowd followed, shouting, "Kill him! Kill him!"
영어NRSV,36 The crowd that followed kept shouting, "Away with him!"
헬라어신약Stephanos,36 ηκολουθει γαρ το πληθος του λαου κραζον αιρε αυτον
라틴어Vulgate,36 sequebatur enim multitudo populi clamans tolle eum
히브리어Modern,36 כי עם רב הלך אחריו והם צעקים ואמרים הסר אתו׃

 

성 경: [21:36]

주제1: [예루살렘으로 향하는 바울]

주제2: [체포된 바울]

󰃨 그를 없이 하자고 외치며 따라 감이러라 - 무리들의 포행이 구체적으로 언급된다. 이들은 연행되어 가는 바울을 향하여 '그 놈을 죽여라'(공동 번역)고 외치며 따라갔다. 한편 '따라감'의 헬라어 '에콜루데이'(*)'아콜루데오' (*)의 미완료 과거 능동태로 되어 있어 무리들이 끈질기게 따라붙으며 바울을 죽이라고 외쳐대고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런 행위는 여기선 한번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계속되고 있고(22:22;28:19),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면 예수의 수난 때에도 그러했다(23:18;19:15). 더 거슬러 올라가면 그들의 조상들 또한 하나님이 보내신 예언자들을 죽였었다(11:47, 48). 실로 이 백성은 역사를 '따라가면서' 하나님을 거역(拒逆)하여 '그를 죽여라'고 외치고 있는 것이다.



 

멜론 테 에이사게스다이 에이스 텐 파렘볼렌 호 파울로스 레게이 토 킬리아르코 에이 엨세스틴 모이 에페인 티 프로스 세 호 데 에페 헬레니스티 기노스케이스

 

개역개정,37 바울을 데리고 영내로 들어가려 할 그 때에 바울이 천부장에게 이르되 내가 당신에게 말할 수 있느냐 이르되 네가 헬라 말을 아느냐 
새번역,37 바울이 병영 안으로 끌려 들어갈 즈음에, 그는 천부장에게 "한 말씀 드려도 됩니까?" 하고 물었다. 천부장이 "당신은 그리스 말을 할 줄 아오?
우리말성경,37 군인들이 바울을 병영 안으로 데리고 가려는데 바울이 천부장에게 “제가 한 말씀 드려도 되겠습니까?” 하고 물었습니다. “그리스 말을 할 줄 아시오? 
가톨릭성경,37 그렇게 진지 안으로 끌려 들어가던 순간에 바오로가, “당신에게 말을 좀 해도 되겠소?” 하고 천인대장에게 물었다. 그러자 천인대장이 되물었다. “당신은 그리스 말을 줄 아오?
영어NIV,37 As the soldiers were about to take Paul into the barracks, he asked the commander, "May I say something to you?" "Do you speak Greek?" he replied.
영어NASB,37 And as Paul was about to be brought into the barracks, he said to the commander, "May I say something to you?" And he said, "Do you know Greek?
영어MSG,37  When they got to the barracks and were about to go in, Paul said to the captain, "Can I say something to you?" He answered, "Oh, I didn't know you spoke Greek.
영어NRSV,37 Just as Paul was about to be brought into the barracks, he said to the tribune, "May I say something to you?" The tribune replied, "Do you know Greek?
헬라어신약Stephanos,37 μελλων τε εισαγεσθαι εις την παρεμβολην ο παυλος λεγει τω χιλιαρχω ει εξεστιν μοι ειπειν τι προς σε ο δε εφη ελληνιστι γινωσκεις
라틴어Vulgate,37 et cum coepisset induci in castra Paulus dicit tribuno si licet mihi loqui aliquid ad te qui dixit graece nosti
히브리어Modern,37 וכאשר הקריב פולוס להאסף אל המצד אמר אל שר האלף התניח לי לדבר אליך דבר ויאמר הידעת יונית׃

 

성 경: [21:37]

주제1: [예루살렘으로 향하는 바울]

주제2: [체포된 바울]

󰃨 네가 헬라 말을 아느냐 - 로마 병사가 바울을 연행하여 영문(34) 안으로 들어가기 직전에 바울은 천부장에게 자신을 변호할 수 있게 해줄 수 있는지의 여부를 물었다. 이때 바울은 헬라어로 이야기한 것으로 보이며, 천부장은 바울이 헬라어 할 줄 아는 것을 의외의 일로 생각하여 '네가 헬라 말을 아느냐'고 되물었다. 당시에 헬라어는 '코이네'(*)로 로마 제국권 내에서는 공통 언어였다. 그렇지만 이 말을 할 줄 아는 사람은 어느 정도 교양을 갖춘 문화인에 국한되었다.



 

우크 아라 쉬 에이 호 아귚티오스 호 프로 투톤 톤 헤메론 아나스타토사스 카이 엨사가곤 에이스 텐 에레몬 투스 테트라키스킬리우스 안드라스 톤 시카리온

 

개역개정,38 그러면 네가 이전에 소요를 일으켜 자객 사천 명을 거느리고 광야로 가던 애굽인이 아니냐 
새번역,38 그러면 당신은 얼마 전에 폭동을 일으키고 사천 명의 자객을 이끌고 광야로 나간 그 이집트 사람이 아니오?" 하고 반문하였다.
우리말성경,38 그렇다면 당신은 얼마 전에 폭동을 일으켜 4,000명의 자객을 이끌고 광야로 나간 이집트 사람이 아니오?” 
가톨릭성경,38 그렇다면 당신은 얼마 전에 폭동을 일으켰다가 자객 사천 명을 이끌고 광야로 나간 그 이집트 사람이 아니오?”
영어NIV,38 "Aren't you the Egyptian who started a revolt and led four thousand terrorists out into the desert some time ago?"
영어NASB,38 "Then you are not the Egyptian who some time ago stirred up a revolt and led the four thousand men of the Assassins out into the wilderness?"
영어MSG,38  I thought you were the Egyptian who not long ago started a riot here, and then hid out in the desert with his four thousand thugs."
영어NRSV,38 Then you are not the Egyptian who recently stirred up a revolt and led the four thousand assassins out into the wilderness?"
헬라어신약Stephanos,38 ουκ αρα συ ει ο αιγυπτιος ο προ τουτων των ημερων αναστατωσας και εξαγαγων εις την ερημον τους τετρακισχιλιους ανδρας των σικαριων
라틴어Vulgate,38 nonne tu es Aegyptius qui ante hos dies tumultum concitasti et eduxisti in desertum quattuor milia virorum sicariorum
히브리어Modern,38 האם אינך המצרי אשר לפני הימים האלה העיר מרד והוציא המדברה ארבעת אלפים אנשי דמים׃

 

성 경: [21:38]

주제1: [예루살렘으로 향하는 바울]

주제2: [체포된 바울]

󰃨 난을 일으켜...애굽인 - 바울이 헬라어로 말하는 것을 듣는 순간 천부장은 한편 놀라면서 다른 한편, 그렇다면 바울이 과거에 난을 일으켰던 애굽인이 아닌가 하고 추측하였다. 천부장이 말하는 이 난()은 역사가 요세푸스가 자세히 전해주고 있는데, 그의 기록에 의하면 A.D. 54년경 한 애굽인 거짓 선지자에 의해 예루살렘에 반란 사건이 발생했다고 한다. 스스로를 위대한 선지자로 자처한 이 애굽인은 추종자 3만여명을 이끌고 예루살렘으로 와 광야와 감람산 등에 웅거하면서 예루살렘 성벽 파괴 및 로마군의 멸망을 예언하며 때가 되면 반란을 일으키려 했던 자였다. 본문에 나오는 사천 명은 그 가운데 자객으로 선별된 무리들로 보인다. 그러나 이 음모는, 로마 총독 벧릭스(Felix, A.D. 52-58)의 군대에 의해 일부는 죽임을 당하고 일부는 생포되고 이 애굽인 거짓 선지자는 감쪽같이 도망감으로 해서 좌절되었다. 그러니까 천부장의 질문은 바울이 바로 이 거짓 선지자가 아닌가 하는 것이다.



 

 

에이펜 데 호 파울로스 에고 안드로포스 멘 에이미 유다이오스 타르슈스 테스 킬리키아스 우크 아세무 폴레오스 폴리테스 데오마이 데 수 에피트렢손 모이 랄레사이 프로스 톤 라온

 

개역개정,39 바울이 이르되 나는 유대인이라 소읍이 아닌 길리기아 다소 시의 시민이니 청컨대 백성에게 말하기를 허락하라 하니 
새번역,39 바울이 대답하였다. "나는 길리기아의 다소 출신의 유대 사람으로, 그 유명한 도시의 시민입니다. 저 사람들에게 내가 한 마디 말을 하게 허락해 주십시오."
우리말성경,39 바울이 대답했습니다. “나는 길리기아 지방의 다소에서 태어난 유대 사람으로, 그 유명한 도시의 시민입니다. 제가 저들에게 한마디 전할 수 있도록 허락해 주십시오.” 
가톨릭성경,39 바오로가 대답하였다. “나는 유다 사람으로, 킬리키아의 저 유명한 도시 타르수스의 시민이오. 청컨대 내가 저 백성에게 이야기할 수 있도록 허락해 주시오.”
영어NIV,39 Paul answered, "I am a Jew, from Tarsus in Cilicia, a citizen of no ordinary city. Please let me speak to the people."
영어NASB,39 But Paul said, "I am a Jew of Tarsus in Cilicia, a citizen of no insignificant city; and I beg you, allow me to speak to the people."
영어MSG,39  Paul said, "No, I'm a Jew, born in Tarsus. And I'm a citizen still of that influential city. I have a simple request: Let me speak to the crowd."
영어NRSV,39 Paul replied, "I am a Jew, from Tarsus in Cilicia, a citizen of an important city; I beg you, let me speak to the people."
헬라어신약Stephanos,39 ειπεν δε ο παυλος εγω ανθρωπος μεν ειμι ιουδαιος ταρσευς της κιλικιας ουκ ασημου πολεως πολιτης δεομαι δε σου επιτρεψον μοι λαλησαι προς τον λαον
라틴어Vulgate,39 et dixit ad eum Paulus ego homo sum quidem iudaeus a Tarso Ciliciae non ignotae civitatis municeps rogo autem te permitte mihi loqui ad populum
히브리어Modern,39 ויאמר פולוס איש יהודי אנכי מטרסוס בן עיר קיליקיא אשר איננה בלי שם ועתה אשאלה מאתך הניחה לי לדבר אל העם׃

 

성 경: [21:39]

주제1: [예루살렘으로 향하는 바울]

주제2: [체포된 바울]

󰃨 길리기아 다소 성 - 바울은 자신이 천부장이 말한 애굽인이 아니라 혈통은 유대인이며 출생지는 길리기아의 다소 성이라는 사실을 차분하게 말하고 있다. 바울은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를 불식(拂拭)시키기 위하여 자신의 출신지인 길리기아 다소 성이 결코 작은 도시가 아님을 강조하고 있다. 실제로 다소는 헬레니즘의 중심지로 훌륭한 대학이 있는 문화적 수준이 높은 도시였다. 바울이 다소 출신이라는 사실을 뒷받침 해주는 것으로는 제롬(Zerome)의 기록이 있는데, 그에 의하면 바울의 부모들은 본래 갈릴리의 기스칼라(Gischala) 출신이었다. 그런데 주전 1세기 경에 로마군에 의해 북부 팔레스틴이 침탈을 당한 후에 바울의 부모들이 길리기아 다소로 이주해 왔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바울은 다소에서 태어난 것이 틀림없는 사실이 된다. 바울은 자신을 소개하여 천부장의 의혹을 해소한 후 자신의 안전을 도모하는 것이 아니라 유대 백성들에게 복음을 전할 기회를 찾고 있다. 그는 사실 그 일을 위하여 예루살렘에 왔던 것이다(13).

 

 

 

에피트렢산토스 데 아우투 호 파울로스 헤스토스 에피 톤 아나바드몬 카테세이센 테 케이리 토 라오 폴레스 데 시게스 게노메네스 프로세포네센 테 헤브라이디 디알렠토 레곤

 

개역개정,40 천부장이 허락하거늘 바울이 층대 위에 서서 백성에게 손짓하여 매우 조용히 한 후에 히브리 말로 말하니라 
새번역,40 천부장이 허락하니, 바울은 층계에 서서, 무리에게 손을 흔들어 조용하게 하였다. 잠잠해지자, 바울은 ㉥히브리 말로 연설을 하였다. / ㉥아람어를 가리킴
우리말성경,40 천부장의 허락을 받고 바울은 층계 위에 서서 군중들에게 손을 흔들어 조용하게 했습니다. 잠잠해지자 바울이 히브리 말로 연설을 했습니다. 
가톨릭성경,40 천인대장이 허락하니, 바오로는 그 층계에 서서 백성에게 조용히 하라고 손짓을 하였다. 그리하여 아주 잠잠해지자 바오로가 히브리 말로 연설하였다.
영어NIV,40 Having received the commander's permission, Paul stood on the steps and motioned to the crowd. When they were all silent, he said to them in Aramaic:
영어NASB,40 And when he had given him permission, Paul, standing on the stairs, motioned to the people with his hand; and when there was a great hush, he spoke to them in the Hebrew dialect, saying,
영어MSG,40  Standing on the barracks steps, Paul turned and held his arms up. A hush fell over the crowd as Paul began to speak. He spoke in Hebrew.
영어NRSV,40 When he had given him permission, Paul stood on the steps and motioned to the people for silence; and when there was a great hush, he addressed them in the Hebrew language, saying:
헬라어신약Stephanos,40 επιτρεψαντος δε αυτου ο παυλος εστως επι των αναβαθμων κατεσεισεν τη χειρι τω λαω πολλης δε σιγης γενομενης προσεφωνησεν τη εβραιδι διαλεκτω λεγων
라틴어Vulgate,40 et cum ille permisisset Paulus stans in gradibus annuit manu ad plebem et magno silentio facto adlocutus est hebraea lingua dicens
히브리어Modern,40 וינח לו ויעמד פולוס על המעלות הניף ידו אל העם ותהי דממה רבה וידבר בלשון עברית ויאמר׃

 

성 경: [21:40]

주제1: [예루살렘으로 향하는 바울]

주제2: [체포된 바울]

󰃨 천부장이 허락하거늘 바울이 층대 위에 서서...히브리 방언으로 - 백성들에게 말할수 있게 해달라는 바울의 요청은 받아들여졌고 바울은 자신과 복음에 대해 변증(辨證)하기 시작했다. 바울은 영문으로 들어가기 직전에 계단 맨 윗부분에 쇠사슬로 그의 양팔을 결박한 채 함께 서 있다. 그리고 그 앞에는 흥분한 무리들로부터 그를 보호하기 위하여 수백명의 로마 병사들이 서 있고 그 뒤편으로는 예루살렘의 유대인들과 디아스포라 유대인들이 흥분된 감정을 큰소리로 표출하고 있다. 이때 바울은 그의 양손을 들어올려 백성들을 조용히 시킨 다음 히브리 방언으로 말하기 시작하였다. 여기서 '히브리 방언'은 구약성경 시대의 히브리어와는 다른 것로 포로기 이후 아람어화한 언어를 가리킨다. 당시에는 이 아람어가 팔레스틴의 유대인들이 상용하는 언어였기 때문에 바울이 이 언어로 말한 것은 원활한 의사 소통을 위함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