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88. 그리스도께서 우리에게 구속의 유익들을 전달하기 위해 마련하신 외적인 수단이 무엇입니까?
답. 그리스도께서 우리에게 구속의 유익들을 전달하기 위해 마련하신 외적인 수단은 그분의 규례들인데, 특별히 말씀과 성례와 기도입니다. 이 수단은 모두 선택된 자의 구원을 위해 효과를 나타냅니다.
해설.
외적인 수단
표적과 기사와 기적과 하늘로부터 오는 음성, 꿈, 환상, 특별한 하나님의 섭리 등을 외적인 수단이라고 한다. 그러나 이러한 것들은 전달된 메시지를 주목하게 하고 확증하는 것이지, 그 자체가 통상적인 구원의 수단은 아니다. 외적인 수단은 말씀과 같이 있을 때 보조적이며 2차적인 것이 된다. 유대인들은 표적을 구했는데(고전 1:22), 표적이 그들에게 구원이 일어나게 하는 수단이 되는 것은 아니다. 믿기 위해서 이러한 표적을 구하는 것은 오히려 불신앙의 증거가 된다.
하나님은 우리에게 구원이 일어나게 하는 수단을 정하셧다. 하나님은 이러한 외적인 수단을 통해서 그리스도를 계시하시고, 우리에게 그 수단을 가지고 그리스도를 찾으라고 명령하고 계신다(히 13:20-21). 외적인 수단은 그리스도께서 죙니들에게 구속의 유익들을 전달하시는 도구가 된다(엡 1:14). 외적인 수단이라고 하는 이유는 내적인 수단과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적인 수단은 성령의 유효한 역사로 인한 회개와 믿음인다(히 4:2).
규례들
규례들이란 특정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정해진 것들이다. 신앙적인 규례들은 하나님의 작정과 모두에게 부과된 의무이다. 이것은 사람이 바꿀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구원이 일어나게 하는 규례들은 사람이 만들어 낼 수 없고, 오직 하나님이 정하신 것이다. 규례들은 말씀과 성례, 기도이다. 이것들을 '은혜의 수단'이라고 부르는데, 하나님이 은혜를 베푸시는 방식이며, 우리가 하나님의 은혜를 받는 방법이다.
오직 하나님이 이 방법을 정하셨기 때문에 우리는 은혜의 수단에 먼저 굴복되어야 한다. 하나님이 정하신 방법이 어리석어 보일지라도 겸손해진 심령은 그 수단의 탁월성을 알게 되어 있으며, 그래서 그 수단 아래로 자신을 가져다 놓는다(고전 1:21).
오늘날 인간적인 예배와 방식들이 유행하고 있는데, 이러한 것들은 하나님이 정하신 방법에서 벗어났기 때문에 이를 통해서는 구원이 일어날 수 없다. 인간적인 방법들과 설득을 사용해서 죄인들을 감화할 수는 없다(고전 2:4). 오늘날 하나님이 정하신 방법이 오래되고 이 시대에 맞지 않는다고 해서 사람들이 만들어 놓은 방법들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불신앙의 극치이다. 이러한 방법들은 구원이 일어나지 못하게 하는 것이며, 구원에 대해서 효과가 없는 것들이다.
말씀, 성례, 기도
하나님이 정하신 구원의 수단은 말씀, 성례, 기도이다. 이것들을 통해서 하나님이 구원의 은혜를 베풀어 주신다. 이 방식 외에 다른 것은 없다(롬 10:17). 이러한 수단 위에 성령이 역사하셔서 실제로 구원이 일어나는 것이다. 따라서 성령이 역사하시는 통로로 이러한 수단을 사용하는 것이다. 말씀, 성례, 기도는 하나님과 사람 사이에 소통하는 수단이다. 이 수단은 서로 연결되어 있고, 분리될 수 없다. 그래서 모든 수단이 사용되어야 한다.
말씀에는 구원을 위한 하나님의 뜻이 계시되어 있다. 그래서 말씀을 읽고 설교를 들어야 한다(요 20:31; 벧전 1:23; 요 5:39). 성례에서 이것을 예증하고 확증한다. 성례는 회심의 도구가 아니라 믿음을 확증하는 수단이다. 기도는 특별한 구원의 수단이다. 성령의 역사로 죄인임을 깨달은 자는 기도로 하나님께 용서를 구하고, 기도 가운데 성령의 역사로 용서함을 체험하며, 양자 됨을 개달아서 하나님을 "아빠 아버지"라고 부른다. 그래서 우리는 기도 가운데 그리스도와 구원을 구하고 받는 것이다. 구하는 자에게 성령을 주신다는 말씀이 바로 이것을 의미한다(눅 11:13).
선택된 자에게 효과가 나타남
은혜의 수단은 특별히 선택된 자에게만 유효한 것이다. 선택되지 않은 자들도 은혜의 수단 아래에 있지만 그들에게는 이러한 수단이 유효하지 않다. 예수님이 비유로 말씀하셨을 때 선택되지 않은 자들은 그 의미를 전혀 깨닫지도 못하고, 알 수도 없었다. 그러나 예수님의 제자들은 예수님이 그 의미를 별도로 설명해 주심으로 구원의 의미를 깨달을 수 있었다(마 13:10-11, 23).
따라서 은혜의 수단을 사용하면서 그것을 통해 나타나는 효과로 그 사람이 선택된 백성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행 13:48). 은혜의 수단 아래에서 거룩함을 추구하는 성향이 나타났다면 그는 분명히 선택된 백성이다(롬 8:28-32). 선택된 자에게 은혜의 수단 아래에서 구원의 효과가 분명하게 나타난다면 그 영혼이 그리스도를 붙잡고, 그리스도 안에 있다는 것이다(엡 1:22-23).
'GOODWILL CHURCH > 조직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웨스트민스터 소교리문답 #46. 구원의 수단으로서의 성례 (46/52) (0) | 2021.07.31 |
---|---|
웨스트민스터 소교리문답 #45. 말씀 (45/52) (0) | 2021.07.31 |
웨스트민스터 소교리문답 #43. 생명에 이르는 회개 (43/52) (0) | 2021.07.31 |
웨스트민스터 소교리문답 #42. 믿음 (42/52) (0) | 2021.07.30 |
웨스트민스터 소교리문답 #41. 구원의 수단 (41/52) (0) | 2021.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