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OODWILL CHURCH/성경사전

(성경사전) 간악 / 간역자1 / 간역자2 / 간음(하다) / 간절(하다)

간악(wickedness)

간사하고 악독함을 뜻하며, 성경에서는 험담할 꼬뚜리(공동번역), 저주할 말(새번역)을 지칭하고 있다(시 41:6). 하박국에서는 백성들의 강포와 죄를 가리키는 말로 이 단어를 사용하였다(합 1:3, 새번역 '불의', 공동번역 '애매한 일').

 

간역자1(taskmaster)

집을 짓거나 고치는 일을 감독하는 사람을 일컫는 말이다. 이 말의 히브리어 동사는 '요구하다', '억지로 강요하다'(공동, 새번역 '억압')에서 파생되었는데, 간역자의 대표적인 모습은 출애굽기 3:7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스라엘 민족이 애굽에서 나오기 전에 애굽의 간역자들은 이스라엘 백성에게 짚도 주지 않은 채 벽돌을 만들어 내라고 명령하는 등의 압제를 가하였다. 이들은 애굽의 하급 관리로서 노예를 감독하였다(잠 6:7, 새번역 '지휘관').

 

간역자2(who have charge of work)

건축, 토목공사 따위에서 역사를 주관하는 사람으로서 관리의 일종이지만 정확한 성격은 군이나 관의 지휘관이다(대하 24:12, 공동번역 '공사감독').

 

간음/-하다(adultery)

결혼한 남자나 여자가 다른 이성과 성적 관계를 맺는 것을 뜻한다. 성경에서는 육체적 의미로 기혼이거나 미혼인 남자가 유부녀와 성관계를 가지는 것을 뜻하고, 이와 마찬가지로 유부녀가 자기 남편 이외의 다른 남자와 성관계를 가지는 것을 가리키고 있다. 구약에서는 초기부터 이것을 심각한 죄로 지적하여 왔고(창 39:9), 모세 때에 와서는 이것에 대한 금지를 율법의 제7계명에서 엄격히 규정하였다(출 20:14; 신 5:18). 이것을 행한 사람은 누구든지 죽이라고 명령하고 있는데(레 20:10; 신 22:22), 그 방법은 화형(창 38:24)이나 돌로 쳐서 죽이는 것이었다(신 22:23-24). 점차 상징적인 의미로 더 큰 중요성을 가지게 된 이 말은, 이스라엘 왕ㅇ국 시대로 오면서 예언자들에 의하여 하나님에 대한 불신과 우상숭배를 상징하는 것으로 확대 해석되었다(사 57:3; 렘 5:7; 겔 23:27). 예를 들면, 호세아는 이스라엘과 하나님의 관계를 부부관계로 보고 이스라엘이 하나님을 버리고 이방신을 사랑하는 행위를 이스라엘의 하나님에 대한 간음으로 비유하고 있다(호 2:2).

예수께서도 이것을 상징적인 의미와 병행해서 사용하고 있다. 예수께서는 상징적 의미로 하나님께 대하여 진실하지 못한 자들을 음란한 세대로 비유하였다(마 12:39; 16:4; 막 8:38). 또한 예수께서는 실생활에 있어서도 이 문제를 중요하게 다루고 있다. 그는 여인을 보고 음욕을 품는 것(마 5:28), 음행한 연고 없이 남자가 아내를 버리는 것(마 5:32), 버림받은 여자와 결혼하는 것(마 5:32) 등의 행위를 간음으로 규정하였다. 예수께서는 간음하다가 현장에서 붙잡힌 한 여인을 용서하심으로써 구약의 율법에 경종을 울렸다(요 8:6-11). 초대교회에서도 육체적 간음이나 영적 간음을 엄격히 금지하였고(고전 6:9; 갈 5:19-21), 특별히 세상적인 것이나 비그리스도인들의 종교적인 제도를 따르는 것도 간음으로 간주하여 금하였다(약 4:4; 계 2:20-23).

 

간절/-하다(earnest)

지성스럽고 절실함을 뜻하며(삼하 13:39; 잠 18:23), 헬라어 원어 가운데 '머리를 길게 뽑다'는 말에서 파생되었다. 신약에서는 이 말이 열성, 혹은 열심의 뜻으로 쓰였으며(빌 1:20), 고린도후서 8:7에서는 교회 교인들에게 간절함에(공동, 새번역 '열성에') 풍성한 것 같이 연보에도 풍성하라고 권면하는 내용에 사용되었다.